-
서울반도체, 매출 전년 比 67%↑
LED 전문기업 서울반도체의 1분기 매출이 전년동기 대비 67% 증가했다. 서울반도체(대표 이정훈)는 올해 1분기 매출 2,074억원, 영업이익 141억원을 달성했다고 지난 28일 밝혔다.이번 실적발표에 따르면, 서울반도체의 1분기 매출은 전년동기 대비 67%, 영업이익은 4% 증가했다. 이는 직전 분기와 비교했을 때는 다소 감소한 실적이지만, TV 시장 수요의 계절적 요인을 감안한다면 괄목할 만한 성과라고 회사는 평가했다. 회사는 특히 이번 1분기 매출 실적이 국내 대형 TV 제조업체의 BLU용 LED 수요가 큰 폭으로 성장한 것과 함께 자동차·조명 분야에서 LED 수요가 더해지면서 성장세를 보였다고 설명했다. 국내 최대 TV 제조업체에 대한 LED 공급량은 작년 대비 약 3배 성장했다. 또 최근 진행 중인 대형 TV 프로젝트 승인도 임박한 상황이어서 향후 실적 향상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했다. 회사는 1분기 실적발표와 함께 올해 목표실적을 하향 조정해 발표했다. 당초 1조3,500억원이었던 올해 매출목표는 1조1,000억원으로, 2,400억원이던 영업이익 목표도 1,300억원으로 내려잡았다. 이 같은 목표치 하향은 주력 제품인 TV용 백라이트유닛(BLU) 시장의 수요 감소에 따른 것이다. 서울반도체의 자회사인 서울옵토디바이스 역시 매출 3,500억원과 영업이익 110억원으로 목표치를 하향 조정했다.
회사는 단기적인 수익 보다 중장기적인 전략을 가지고 핵심 역량을 강화하는데 집중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박선주 기자
2011-04-29
-
필립스, 실내외 LED조명 라인업 강화
박선주 기자
2011-04-28
-
2025년 IT융합 유망 제품과 서비스는?
IT융합이 하나의 패러다임으로 정착해가고 있는 가운데 2025년 IT융합 R&D의 흐름을 한눈에 볼 수 있는 보고서가 나왔다.지식경제부 산하 정부 연구·개발(R&D) 지원사업 전담기관인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KEIT, 원장 서영주)은 정보기술(IT) 융합 분야의 유망 제품 및 서비스를 담은 ‘IT융합 미래기술예측조사 2025’ 보고서를 발간, 일반에 공개한다고 29일 밝혔다.이 보고서는 자동차와 조선, 건설, 기계, 로봇 등 10대 산업과 IT를 접목해 세부 기술 분야별로 2025년 미래 사회의 유망 제품과 서비스를 제시하고 있다.세부적으로는 △세포 암화과정 제어기술 △인체이식형 전자칩 기술 △자동 온습도 조절 섬유 △변형이 자유로운 섬유컴퓨터 △지능형 원격 첨단건설로봇 △무충전 휴대기기 △인구 100만이 거주하는 메가 빌딩 △초고속 물자이동 신(新)물류네트워크 △교통사고 99%이상 예방하는 방지시스템 △환경 적응형 스마트차량 △연료전지와 태양전지를 접목한 하이브리드전지 △원자력 추진선 등 산업별로 IT융합 미래핵심 기술이 상세하게 소개돼 있다.이 보고서는 발간에 앞서 IT융합 미래사회 분석 및 산·학·연 전문가와 일반인의 다양한 의견을 수렴·반영해 총 200개의 미래 필요기술을 도출했으며 기술성, 시장성 등의 평가를 통해 50개 미래핵심 기술을 선정했다.박종만 KEIT 사업기획단장은 “본 보고서는 미래유망 IT융합 R&D 과제도출 지원과 IT융합 발전전략 및 기술로드맵 수립 등에 활용될 계획”이라면서 “이를 통해 과학적이고 신뢰성 높은 R&D 기획시스템 구축에도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한편 보고서는 KEIT 웹사이트(www.keit.re.kr)의 ‘KEIT 발간물’ 코너에서 내려 받을 수 있다.
신근순 기자
2011-04-28
-
광주시, LED제품 5조7,000억 美 수출 MOU
박선주 기자
2011-04-26
-
EU, ‘유해물질제한’ 전기전자제품 확대
EU의 납, 수은 등 유해물질 규제가 모든 전기전자제품으로 확대된다. EU는 전기전자제품 유해물질제한지침(RoHS)을 모든 전자제품 뿐 아니라, 케이블 및 교체부품까지 적용할 예정이다. 전자정보통신산업진흥회(회장 윤종용, 이하 전자진흥회)가 브뤼셀의 KEA EU대표부를 통해 입수한 정보에 따르면, 현재 RoHS 개정안(이하 ‘RoHS Ⅱ’)은 유럽 이사회(Council)의 채택 결정만을 남겨놓고 있으며, 개정안 채택 3년 후부터 적용될 예정이다. RoHS Ⅱ의 강화 내용으로는 △첫째 감시제어기기와 의료기기를 포함한 모든 전자제품을 대상 △둘째 TV, 휴대폰 등의 완제품뿐만 아니라, 케이블 및 교체부품도 적용대상에 포함 △셋째 유럽판매시 필수사항인 CE마크를 받으려면 유해물질제한규제를 만족해야한다 등이다. RoHS Ⅱ가 전자업계에 미치는 영향으로는 첫째 모든 전자제품 (케이블 및 교체부품 포함) 으로 범위가 확대되어 지금까지 적용받지 않았던 의료기기, 감시제어기기 및 부품 제조업체 등 모든 중소기업의 비용부담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둘째 CE 마킹을 위한 완제품 업체의 공인기관성적서 제출요청 증가에 따라 중·소 부품 업체에 시간과 비용의 부담이 증가.셋째 제한 물질 추가 시, 유해물질관리를 위한 테스트 비용증가와 함께 전담 인원이 필요함에 따라 중소 부품·소재업체에 부담이 가중될 것으로 보인다. EU의 강화되는 규제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모든 중소 수출기업들은 대체물질 개발, 공정상의 친환경시스템 구축 등 철저한 사전준비 뿐만 아니라, 정부차원의 연구개발, 컨설팅 등 공통애로의 지원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EU로의 전기전자제품 수출액은 지난해(2010년) 기준 약 189억달러로 우리나라의 EU 총수출액 약 535억달러의 35%를 차지하고 있으며, 중국 등 해외 생산수출을 감안하면 2배이상 될 것으로 추정된다. 한편 전자진흥회는 2007년 7월부터 주요 해외유관단체와 공조해, RoHS Ⅱ가 PVC등 7개 물질 및 2개 나노물질이 추가되는 것을 저지하여 우리업계 부담을 사전에 경감시켜왔으며, RoHS Ⅱ에 대비해 전자업체들에 대한 컨설팅, 가이드 개발·보급, 교육 등 구체적인 방안을 마련하여 지원할 계획이다. 한편, EU는 2006년부터 가전, 컴퓨터 등의 제품을 대상으로 납, 수은, 카드뮴 등 6대 유해물질을 0.1%(카드뮴 0.01%)로 제한해 오고 있다.
박선주 기자
2011-04-26
-
광주시, LED 세계시장 공략 본격화
박선주 기자
2011-04-26
-
[1분기 경영실적] 삼성전기
삼성전기는 지난 1분기 연결기준으로 매출 1조7,137억원, 영업이익 921억원, 순이익 856억원을 기록했다고 26일 밝혔다. 지난해 4분기와 비교해 매출 8%, 영업이익 10%가 증가했으며, 전년 동기대비 매출이 6% 증가했고, 영업이익은 23% 감소했다. 삼성전기는 계절적 영향으로 카메라모듈, 파워(전원공급장치) 등 일부 제품의 물량이 감소했으나, 시장 지배력을 확대하고 있는 MLCC(적층세라믹콘덴서)의 출하량이 증가해 1분기 기준 최대의 매출을 기록했다고 설명했다. 또 고부가 MLCC 판매 증가, LED 가동률 상승 효과와 더불어 적극적으로 펼쳐 온 내부 효율 극대화 활동이 이익 증가에 기여했다고 평가했다. 사업부별 1분기 매출을 살펴보면, LCR사업부는 PC, TV, 스마트폰용 초고용량 MLCC의 출하량 증가로 전분기 대비 8% 증가한 4,296억원을 달성했으나, ACI(기판)사업부는 반도체용 기판의 호조에도 불구하고, 휴대폰용 기판의 전략거래선 수요가 감소해 전분기 대비 3% 감소한 3,512억원을 기록했다. CDS사업부는 스마트폰 등 모바일 기기용 무선랜 모듈의 성장으로 전분기 수준인 4,400억원의 매출을 올렸으며, OMS 사업부는 카메라모듈 등의 부진으로 전분기 대비 3% 감소한 1,773억원을 기록했다. 삼성전기는 2분기에는 MLCC 등 핵심사업의 영업력을 강화해 시장점유율을 더욱 높이고, 신규거래선 진입에 매진하며, 어떠한 환경에서도 고수익을 창출하는 안정적 사업구조를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올해 경영 방침을 ‘소통과 협업을 통한 SEMCO 2X 달성’으로 선정한 삼성전기는 Speed(속도), Efficiency(효율), M/S(시장 점유율), COst saving(원가절감)을 지금보다 2배 이상 향상시켜 글로벌 리더십을 더욱 확대해 나갈 방침이다.
고봉길 기자
2011-04-26
-
이오니스, LED조명 한지공예 공기청정기 출시
박선주 기자
2011-04-26
-
SEMI, ‘반도체 공정기술 교육’ 실시
SEMI에서 반도체 제조공정에 대한 기술 교육을 실시했다.세계 반도체 장비·재료 협회(SEMI, Semiconductor Equipment and Materials International)는 ‘SEMI 반도체 공정기실교육 2011’을 통해 반도체와 반도체 제조와 관한 기초 및 전문지식을 소개했다.지난 25일에는 1일 과정으로 기초과정이 진행됐고 26일부터 28일까지 3일간 중급과정이 진행된다.반도체 제조, 유통, 재료, 장비 관계자들이 참석한 25일 기초과정에선 홍익대학교 김영민 교수가 강의자로 나서 △반도체의 정의 △반도체의 역사 △반도체의 기본이 되는 트랜지스터의 구동 원리 △반도체 제조공정에 대해 강의했다.특히 이날 강의에서 김 교수는 반도체의 역사를 설명하면서 “현제 전 세계 200여국 가운데 10개국만이 반도체를 제조 할 수 있다”며 “반도체 제조 기술 보유가 그 나라의 국력을 나타내는 지표”라고 설명했다.또한 김 교수는 “미국, 일본, 독일, 네덜란드 등 대부분의 반도체 제조국들이 1950년 이전에 이미 선진 기술을 가지고 있던 나라들”이라며 “한국이 유일하게 후발주자로 출발해 반도체 선도국의 지위에 올랐다”며 대한민국 반도체 산업의 신화와 위상을 설명했다.100명 안팎의 참석자들은 강의 중간, 중간 마다 열띤 질문을 하며 반도체에 대한 높은 관심을 나타냈다.
이일주 기자
2011-04-26
-
광주시, LED수출 대미 통상활동 나서
박선주 기자
2011-04-26
-
페어차일드, 실리콘 카바이드로 기술혁신 확대
페어차일드 반도체(NYSE: FCS)가 실리콘 카바이드(SiC) 전력 트랜지스터 회사인 TranSiC 인수로 기술적 리더십 역량을 확대한다. 이번 인수로 페어차일드는 넓은 온도 범위에 걸쳐 업계를 선도하는 입증된 효율 및 탁월한 성과를 지닌 바이폴라 SiC 트랜지스터 기술과 함께 MOSFET 및 JFET의 기술적 접근에 대한 우수한 성과를 보유하게 됐다. 또한 페어차일드는 SiC 기술에 있어 매우 경험 많은 엔지니어들과 과학자들 그리고 다수의 특허를 획득하게 됐다. 마크 톰슨 CEO겸 사장은 “기존 페어차일드의 MOSFETs, IGBTs 및 멀티칩 모듈과 실리콘 카바이드 기술의 조합, 그리고 고객들에 대한 글로벌 서비스로 페어차일드는 혁신적인 고성능 전력 트랜지스터 기술에 있어서 지속적인 리더로 자리하게 될 것이다”라고 말했다. Dan Kinser CTO는 “SiC기술로 달성된 성능 수준은 전력변환에 있어 매우 높은 수준의 효율을 허락한다”며 “더 높은 스위칭 스피드를 제공하는데 이는 더 작은 최종 시스템 폼팩터를 가능케 한다”고 말했다. 그는 또 “실리콘 카바이드 기술은 600V이상의 전압을 요구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위한 폭넓은 밴드갭에서 대체적인 방법 대비 강력한 우수성으로 시장에서 인정받았고 탁월한 내구성과 신뢰성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고봉길 기자
2011-04-22
-
우리LED, 中 LED 패키징 시설 준공
박선주 기자
2011-04-22
-
SEMI-산업기술大, LED 전문인력 양성 ‘맞손’
김성준 기자
2011-04-21
-
서울반도체, 고효율 LED 신제품 출시
박선주 기자
2011-04-21
-
대구시, LED 산·학·연·관 전문가 '한자리'
박선주 기자
2011-04-21
- 많이 본 뉴스
-
-
1
“韓 AI 투자 中 1/3 불과, AI 강국 4년 골든 타임”
-
2
2024년 철강 31社 경영실적
-
3
1~3월 전기車 배터리 사용량, 전년比 39%↑
-
4
LG화학, 제철소 CO2 포집 CO·H2 전환 추진
-
5
1~3월 글로벌 전기車 인도량, 전년比 35%↑
-
6
제이앤티씨, TGV 유리기판 신사업 본격 추진
-
7
탄소산업진흥원, “기관장 업추비 4800만원 사실 아냐, 공시 단위 입력 오류”
-
8
한화방산 3社, 중남미 방산 新시장 개척
-
9
국토부, ’28년 상용화 수소열차 실증 착수
-
10
화학연, 수중 로봇용 인공 근육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