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력반도체 3,230억 투자, 국산화 추진
배종인 기자
2012-10-26
-
서울반도체 3Q, 매출 2,340억…전기 比 11%↑
이일주 기자
2012-10-26
-
‘세계 반도체시장 석권, 우리가 이룬다’
신근순 기자
2012-10-25
-
SK이노베이션, 전기차 인프라 확대 시동
배종인 기자
2012-10-24
-
IEEE-SA, 코리아 SG위크 행사 참가
배종인 기자
2012-10-23
-
세계적 SG기술·제품 서울에 모인다
스마트그리드 선도국인 우리나라의 기술과 산업의 위상을 알리고 세계 스마트그리드 제품과 기술을 만나볼 수 있는 자리가 마련된다.
지식경제부가 주최하고 한국스마트그리드사업단과 한국스마트그리드협회 공동주관으로 ‘제3회 코리아 스마트그리드 위크’가 오는 10월30일부터 11월2일까지 코엑스에서 열린다.
이번 행사는 최신 스마트그리드 관련 제품을 살펴볼 수 있는 전시회인 월드 스마트그리드 엑스포와 세계적 수준의 기술을 습득할 수 있는 국제 스마트그리드 컨퍼런스가 동시에 진행된다.
전시회는 △스마트그리드 표준화관 △K-MEG특별관 △ 특허상담관 △지자체관 △스마트 인프라·인더스트리·홈·빌딩·서비스관 △EV·충전인프라광 △배터리 특별관 등으로 구성됐다.
행사에 관한 기타 자세한 사항은 웹사이트(www.ksgw.or.kr)를 참조하면 된다.
신근순 기자
2012-10-19
-
KERI, ‘연구자와 함께 하는 진로상담’
배종인 기자
2012-10-17
-
전자정보통신산업대전in
배종인 기자
2012-10-12
-
웨이퍼 출하량, 내년부터 회복세
신근순 기자
2012-10-12
-
IEEE-SA, S/G 통신 신 표준 잇따라 발표
스마트그리드 통신기술을 위한 신 표준이 잇따라 발표됐다.
IEEE 표준협회(IEEE-SA)가 지난 26일 글로벌 스마트 그리드 시장에 필요한 통신 및 운용능력 관련 IEEE 1815™-2012 등 신 표준 4개와 신 표준 개발 프로젝트를 발표했다.
이번에 새롭게 발표되는 표준은 기존 표준들을 한 단계 업그레이드해 스마트 그리드 기기 및 시스템 간의 통신을 지원하는 표준들이다.
먼저, IEEE 1815™-2012(전력시스템통신 – 분산망 프로토콜(DNP3)) 표준은 2010년 발표된 표준에 전력, 에너지, 수력발전 등과 같은 인프라의 통신시스템을 해칠 수 있는 디지털 사이버보안 위협을 완화시키는 역할을 보완했다.
이에 유틸리티 자동화 시스템에 사용되는 통신미디어의 DNP3 프로토콜 구조와 기능 및 상호운용성 옵션을 명시한다.
공공설비 운용업자들과 규제기관들이 배전 시스템, 변전소, 회로, 그리드 구획 등의 신뢰도 비교지수를 위한 IEEE 가이드인 IEEE 1366™-2012 표준은 비교지수의 계산에 영향을 주는 변수들을 정의하기도 한다.
공공설비 산업 계량 프로토콜 응용계층 (단말장치 데이터 표) 표준인 IEEE 1377™-2012는 최첨단 계량 인프라와 스마트 그리드를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를 암호화 하는 기본 구조를 제공한다. 기존 IEEE-1377™-1977 표준을 보완하는 표준이며 ANSI C12.19와 MC12.19 명칭으로도 상용화 되고 있다.
또한, IEEE C37.104™-2012표준은 AC 배전 및 전송 선로에 적용되는 자동 회로 차단기 재투입을 위한 IEEE 가이드로 자동 재투입의 혜택과 타 배전 및 전송 시스템 간의 올바른 연계를 위해 재투입 기술을 적용하는 공공설비 운용업자들이 고려해야 할 사항들을 명시하고 있다.
추가로 IEEE 표준협회는 스마트 그리드를 위한 스마트 배전 시스템 개발과 배전관리 시스템에 적용 되는 기술들을 분류하고 설명하는 신 표준개발 프로젝트 IEEE P1854™ 를 승인했다.
IEEE P1854™ 표준은 배전기술과 배전기술의 적용이 진화하면서 함께 확장될 핵심적인 가이드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빌 애쉬 (Bill Ash) IEEE 표준협회 전략프로그램 담당자는 “IEEE는 끊임없는 표준 업데이트와 개발 활동으로 세계 공공설비 운용업자들이 기술을 새로 도입하거나 기존 시스템을 업그레이드 할 때 필요한 부분들을 채워나가고 있다”며 “특히 오늘 날의 스마트 그리드 운용서비스는 물론이고 미래까지 생각해 표준 개발 목표를 세워 연구하고 있다”고 밝혔다.
배종인 기자
2012-09-28
-
IEEE-SA, 원전 장비 국제 가이드라인
원자력 발전소에 설치된 전기 장비의 상태관리를 위한 국제 가이드라인이 발표됐다.
국제전기전자표준협회(IEEE-SA)는 지난24일 국제전기전자기술자협회(IEEE)·국제전기기술위원회(IEC)와 공동으로 ‘IEC/IEEE 62582’를 발표했다고 밝혔다.
‘IEC/IEEE 62582’ 표준은 원자력 발전소의 안전성을 책임지고 있는 전기 장비의 상태관리에 초점을 두고 개발한 중요한 표준이다.
발표된 ‘IEC/IEEE 62582’ 표준 가이드라인은 다음과 같은 3가지 표준 기술로 구성됐다.
첫 번째는 상태관리의 필요성과 발전소 운용자들이 적용할 수 있는 다양한 기술을 종합적으로 명시하는 IEC/IEEE 62582-1개괄, 두 번째는 저전압 환경에서 케이블 자켓, 절연처리, O-링 등에 주로 사용되는 인덴터계수(indenter modulus) 측정 기술을 기반으로 한 상태관리 방법을 구체적으로 묘사하는 IEC/IEEE 62582-2, 세 번째는 케이블 자켓, 절연처리 등과 같은 전기 장비에 사용 되는 유기 및 중합 재질 샘플을 채취하는 방법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한 IEC/IEEE 62582-4 산화 인덕션기술 이다.
그 외 개발 중에 있는 IEC/IEEE 62582-3 판단점신율과 IEC/IEEE 62582-5 광 시간 영역 반사 측정법 두 가지 기술은 개발이 완료 되는대로 IEC/IEEE 62582에 추가 될 예정이다.
사티시 아갈왈(Satish Aggarwal) IEEE 원자력공학위원회 의장은 “IEC/IEEE 62582는 새로 설치되거나 기존에 설치된 장비들의 실질적 상태를 검사할 수 있는 상태관리 기술을 최초로 제공하고 있다”며 “이를 통해 심각한 사고가 발생해도 장비의 수명을 정확히 파악할 수 있는 기초를 마련한 것에 큰 의의가 있다”고 밝혔다.
또한, IEC SC45A 회장이자 국제원자력기구(IAEA) 수석 안전담당관 개리 존슨(Gary Johnson)은 “많은 국가들과 개별 전력설비업자들이 재생에너지원을 적용한 스마트 그리드 전략을 추구하고 있지만 원자력 발전소는 전력생산에 있어서 앞으로도 오랫동안 중요한 공급원으로 남을 것이다”며 “업계는 원자력 발전소의 안전성을 지속적으로 챙겨야 할 것이다”고 말했다.
기자
2012-09-26
-
KERI, 초전도·전기차 기술 본격 상용화
배종인 기자
2012-09-25
-
일진디스플레이, 공장 신축에 272억 투자
터치패널 전문 생산기업인 일진디스플레이가 공장을 신축한다.
일진디스플레이는 472억원을 투자해 약 2만9,800㎡(6,696평)에 생산동을 건설한다. 오는 10월1일 착공해 내년 6월30일 완료를 목표로 하고 있다.
일진디스플레이 관계자는 “터치폰, Tablet PC 및 Notebook PC용 등 터치시장 성장에 따른 양산 공간 확보와 Flexible Touch 대응을 위한 양산 공간 확보 차원에서 공장 신축이 진행된다”고 밝혔다.
기자
2012-09-21
-
대한전선, 감자안 원안대로 통과
고봉길 기자
2012-09-20
-
원익아이피에스, 반도체 장비 특허
반도체용 기계제조 기업인 원익아이피에스(대표 이문용)가 반도체 제조 장비용 신규 특허를 획득했다.
‘기판 이송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이란 명칭으로 지난 14일 등록 확정된 이번 특허는 처리될 기판의 이송 시간을 단축시키고 정확한 위치에 기판을 놓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대한 것이다.
원익아이피스에서는 이 특허를 자사 반도체 장비 경쟁력 강화를 위해 활용한다는 계획이다.
이일주 기자
2012-09-19
- 많이 본 뉴스
-
-
1
“韓 AI 투자 中 1/3 불과, AI 강국 4년 골든 타임”
-
2
2024년 철강 31社 경영실적
-
3
1~3월 전기車 배터리 사용량, 전년比 39%↑
-
4
제이앤티씨, TGV 유리기판 신사업 본격 추진
-
5
LG화학, 제철소 CO2 포집 CO·H2 전환 추진
-
6
1~3월 글로벌 전기車 인도량, 전년比 35%↑
-
7
탄소산업진흥원, “기관장 업추비 4800만원 사실 아냐, 공시 단위 입력 오류”
-
8
한화방산 3社, 중남미 방산 新시장 개척
-
9
국토부, ’28년 상용화 수소열차 실증 착수
-
10
화학연, 수중 로봇용 인공 근육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