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두산重, 中 하이양 원전용 원자로 수출
이일주 기자
2011-11-05
-
STX, 고등학교 방문 입사 설명회
고봉길 기자
2011-11-05
-
두산인프라코어, 中 진출 협력社와 동반성장
고봉길 기자
2011-11-05
-
STX조선해양, 독립형 LNG 화물창 개발
STX조선해양이 건조비용과 시간, 로열티를 절감할 수 있는 LNG선 관련 기술을 국산화하는데 성공했다.STX조선해양은 자체 기술로 독립형 LNG 화물창의 개발을 완료했으며 노르웨이 선급협회(DNV; Det Norske Veritas)로부터 기본승인(AIP:Approval In Principle)을 받았다고 지난 2일 밝혔다. 기존 비독립형 화물창은 선박을 건조한 후 선체 내부에 단열재를 붙여 LNG를 저장하기 위한 화물창 공사를 별도로 진행하는 방식이지만 독립형은 외부에서 화물창을 제작해 선체에 탑재하기 때문에 시간과 비용이 적게 드는 장점이 있다. 또한 독립형 화물창은 선박 운항시 가스선의 특성상 발생되는 극저온 액화가스의 유동과 외부 충격에 의해 내부가 손상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특히 독립형 LNG 화물창은 기술 적용의 어려움 때문에 80,000CBM급 LNG선에 주로 설치됐으나 STX조선해양은 최초로 213,000CBM급 LNG선에 적용이 가능하도록 개발해냈다는 점이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또한 대형 LNG운반선은 물론 LNG FPSO 등 해양플랜트와 LNG 연료 추진선박의 연료창 등에도 적용 가능하다.STX조선해양의 독립형 LNG 화물창은 세계적인 선급협회의 기본승인과 함께 국내에도 화물창 구조체, 조립체, 지지구조 등에 대한 6건의 특허를 출원한 상태다. STX조선해양은 자체 기술로 개발한 독립형 대용량 LNG 화물창을 ITS(Independent Tank of STX)로 명명했으며 향후 관련 분야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개발을 통해 외부 로열티 지출을 없애나갈 계획이다. 허주호 STX조선해양 기술연구소장은 이번 연구개발 성과에 대해 “안전이 가장 중요시되는 친환경 고부가가치선종인 LNG선박, LNG 해양플랜트는 물론 LNG 연료 추진선박에 모두 적용 가능한 기술을 개발해냈다”며 “극지시장과 친환경 에너지선박 시장 진출에 중요한 이정표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신근순 기자
2011-11-03
-
첨단 IT로 무장, ‘고급형’ 굴삭기 나왔다
김성준 기자
2011-11-01
-
어린 꿈나무에 과학자 꿈을
엄태준 기자
2011-11-01
-
현대重-아산병원, 의료용 로봇 개발
김성준 기자
2011-11-01
-
클린디젤車, 택시로 보급확대 ‘첫발’
신근순 기자
2011-11-01
-
두산인프라코어, 中 제2생산기지 준공
두산인프라코어가 26일 중국 장쑤성(江蘇省) 쑤저우(蘇州)에 세운 제2 생산기지의 준공식을 갖고 소형 굴삭기 양산을 시작한다고 밝혔다. 이날 준공식에는 박용현 두산 그룹 회장을 비롯해 김용성 두산인프라코어 총괄 사장, 토니 헬샴 두산인프라코어 건설기계BG 사장, 안총기 상하이 총영사, 쑤저우 정치협상회 왕진화 주석, 쑤저우 공업원구 관리위원회 주임 양즈핑 부시장 등 주요 인사들이 참석했다. 연면적 24만㎡ 규모로 조성된 쑤저우 공장은 두산인프라코어의 중국 자회사인 DICI(25%), DICC(75%)가 2007년부터 729억 원을 투자해 완공했다. 이 공장은 연간 9,800 대 규모의 생산 능력을 갖추고 8톤 이하 소형 굴삭기를 생산하게 된다. 두산인프라코어는 중국 내 자회사를 통해 2015년까지 2단계 공장 확장을 추진, 연간 1만3,600 대 규모로 생산량을 늘릴 계획이다. 쑤저우 공장은 급성장하는 소형 굴삭기 수요에 대처하기 위한 것으로 두산인프라코어는 중국 내 굴삭기 시장 누적판매 대수 1위인 옌타이 공장에서 중대형 굴삭기를 전문 생산하고쑤저우 공장은 소형 굴삭기를 생산하는 등 투톱 체제로 중국 시장 및 글로벌 시장 공략을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공장이 위치한 쑤저우 지역은 중국의 첨단 공업지역으로 육상, 해운 교통이 발달했고 소형 굴삭기의 최대 소비지인 중국 남부 지역과 가까워 물류 비용 절감 효과도 기대되고 있다.한편 중국의 소형 굴삭기 시장은 2010년 현재 중국 전체 굴삭기 시장의 약 33%를 차지했으며 중국 정부의 도시화 추진에 따라 양후 연 10 % 가량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신근순 기자
2011-10-27
-
해양설비 시장에서 ‘힘센’ 현대重
김성준 기자
2011-10-21
-
강관업계, “연계강화 및 고부가강 개발 나서야”:
최근들어 에너지 분야에서의 강관 수요 급증으로 인해 강관산업이 주목되고 있는 가운데, 국내 강관산업이 지속적인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선 소재-강관-수요산업간 연계강화 및 고부가가치강 개발을 통한 차별화 등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시됐다.한국철강협회 강관협의회(회장 신성재)는 20일 서울 강남구 역삼동 포스코피앤에스타워에서 ‘제7회 강관산업 발전세미나’를 개최했다. 이번 세미나는 ‘강관산업의 고부가가치화를 위한 기술전략’이라는 주제로 소재 분야를 비롯한 조선해양, 발전소, 자동차 등 다양한 수요산업에서 강관산업의 기술전략 현황을 알아보고 미래발전 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자리다.이에 신성재 강관협의회 회장을 비롯, 한국철강협회 오일환 부회장, 세아제강 이휘령 사장, 휴스틸 안옥수 사장, 동양철관 박종원 사장, 한국주철관 김태형 대표이사, 스틸플라워 김병권 사장, 대한금속·재료학회 홍준화 회장, 한국강구조학회 김종락 회장 등 국내 강관업계 CEO 등 학계 대표 등 250여명이 참석해 강관산업 발전을 모색했다. 신성재 회장은 개회사를 통해 “석유 및 천연가스분야 즉 에너지용 강관과 플랜트용 강관수요는 에너지 수요증가와 더불어 지속적으로 증가할 전망하고 있다”며 “기존 강관산업이 지속적인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소재-강관-수요산업 간 연계 강화, 유통구조 개선을 통한 고객밀착 서비스를 증대하는 등 마케팅 역량을 확충해 나가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기조발표를 한 포스코 강기봉 상무는 “소재-강관산업이 세계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 공동협력을 통해 제품 차별화, 신속한 개발, 핵심 인력 확보가 필요하다”며 ‘강관용 고부가가치강 소재개발 및 전략’이라는 주제로 자신의 의견을 밝혔다.또한 미국 에디슨용접연구소(EWI, Edison Welding Institute)社의 존 재닝스 박사가 ‘Future Directions of Tubulars and Line Pipes’란 발표를 통해 강관산업의 동향과 기술에 대해 발표했으며 노르웨이선급협회(DNV)의 션 브로시아 전무는 ‘Future Oil and Gas Industry Trends and Needs for Steel Tubulars’ 주제로 해양 에너지 시장 및 수요 동향에 대해서 발표했다. 이외에도 △KEPCO E&C 장현영 박사 ‘발전산업용 고부가가치 강관’ △현대기아자동차 오승택 박사 ‘자동차용 강관의 현재와 미래 동향’ △서울시립대 최성모 교수 ‘건설내진용 강관 현황 및 발전 방향’이란 주제로각 수요산업별 강관 고부가가치화를 통한 경쟁력 강화에 대해 설명했다.
최혜란 기자
2011-10-20
-
내년 7월부터 전기車 빌려탄다
신근순 기자
2011-10-18
-
전기車 구입시 최대 420만원 稅 감면
내년부터 전기차 구입시 최대 420만원의 세금감면 혜택이 주어진다.지식경제부는 각 소관부처별로 내년 1월 시행을 목표로 추진 중인 ’전기차 세제지원’의 일관성 확보를 위해 이같은 내용을 담은 ‘전기차 세제지원 대상’ 공통 기준을 마련했다고 밝혔다.이에 전기차 한 대당 최대로 개별소비세 260만원, 취득세 140만원, 공채 20만원 등 420만원의 세금이 감면된다. 예를 들어 5,000만원짜리 전기차의 경우 420만원이, 4,000만원짜리 의 경우 382만원이 감면되는 것이다.이번에 마련된 공통기준은 전기차를 저속(시속 60km이하)·고속(60km 이상)전기차로 분류하고, 하이브리드차 지원기준을 참조해 전기차의 에너지소비효율 기준과 기술적 세부사항도 규정했다. 전기차의 에너지소비효율(연비) 기준은 km(이동거리)/kWh(배터리 용량)으로 규정했으며, 기술적 세부사항은 ‘1회 충전 주행거리’와 ‘최고 속도’를 주요 고려사항으로 설정했다. 이에 저속·고속전기차의 연비는 5km/kWh 이상으로 설정됐으며 1회 충전 주행거리는 저속전기차 27km 이상, 고속전기차 82km이상으로 각각 규정됐다.이같은 규정을 만족하는 전기차는 지경부 자동차조선과가 구성한 위원회의 심사를 거쳐 고시에 포함돼 세제지원을 받게 된다. 지경부는 향후 전기차 기술발달 추이와 전기차 보급 확산 필요성 등을 고려해 세제지원 대상차량을 지속적으로 수정 및 보완할 예정이다.
신근순 기자
2011-10-15
-
고려大, ‘로봇융합관’ 준공
고려대학교(총장 김병철)는 최근 ‘로봇융합관 준공식’을 열었다. 로봇융합관은 ‘로보틱 크레인 기반의 고층 건물 구조체 시공 자동화 시스템 개발’이라는 연구 비전 아래 △자동화 시공을 통한 노무량 감소 △기후영향 절감을 통한 공기 단축 △지능형 타워크레인을 통한 생산성 향상을 이뤄 하이테크 미(美)를 표현하게 된다. 로봇융합관은 지하 1층, 지상 7층에 총 면적 약 1,530평으로 일반 연구실, 첨단연구실, 연구과정실, 강의실 등이 복합적으로 구축돼 있으며 전시공간에 각종 과제의 연구 자료를 전시할 수 있도록 했고 주변에 Sunken Garden을 설치하여 방문객 및 관람자들로 하여금 접근성과 기능성을 부여했다. 또한 자연 친화적인 녹지와 첨단 과학건물이 잘 조화돼 보다 쾌적한 연구 공간이 구현될 수 있도록 했고 구과정에서 도출된 건설공장의 일부를 건물 외벽에 설치함으로써 최첨단 융합건물이라는 취지를 표현했다. 김병철 고려대 총장은 “앞으로 이 건물이 ‘로봇 융합 기술’의 메카로서 성공적으로 자리매김하는 한편 과학고대의 발전과 국내 첨단기술의 세계화에 있어서도 전초 기지로서 그 역할을 다해나가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로봇융합관은 국토해양부 소관의 한국건설교통기술평가원 건설기술혁신사업의 일환으로 고려대에서 수주한 대규모 프로젝트인 “로보틱 크레인 기반 고층건물 구조체 시공자동화 시스템 개발”이라는 국책연구과제를 수행하기 위해 지어졌다. 고려대 고층건물시공자동화 연구단은 고려대를 총괄기관으로 연세대, 건국대 등 5개 대학과 두산 건설 등 15개 건설업체, 원자력 연구원, 일본의 국책연구기관인 AIST등 국내 유명대학과 건설업체로 구성돼 있다. 2012년 세계최고 수준의 상용화된 건축시공 자동화 시스템 개발을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엄태준 기자
2011-10-14
-
STX유럽, 해양플랜트 모듈 2기 수주
STX유럽의 자회사인 STX핀란드가 해양플랜트 모듈 2기를 수주했다고 현지시각으로 12일 밝혔다.
STX핀란드가 건조하게 되는 해양플랜트 모듈은 길이 63m, 폭 52m, 높이 47m 크기의 1기와 길이 40m, 폭 45m, 높이 13m 크기의 1기로, 규모는 총 5,000톤에 달한다. 가격은 비공개다.
STX핀란드는 해양플랜트 모듈을 핀란드 투르크(Turku) 조선소에서 2012년 상반기까지 건조한 후 노르웨이로 옮겨 후반 작업을 마무리할 계획이다.
해양플랜트 모듈은 해상, 극한지방 등 조립여건이 나쁜 현장에서의 수월한 설치 작업을 위해 하나의 블록 형태로 생산되는 부분을 뜻하며 해양플랜트의 선체를 제외한 상부 구조물, 선원 주거 시설 등이 여기에 포함된다.
STX 관계자는 “STX핀란드는 지난해 말 러시아 국영 조선소와 함께 합작법인인 ‘아크텍 헬싱키 조선소(Arctech Helsinki Shipyard Oy)’를 설립하는 등 적극적인 사업 확장에 나서고 있다”며 “이번 계약을 통해 크루즈선, 페리선 등에 집중되어 있던 STX유럽의 비즈니스 포트폴리오를 한층 다각화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신근순 기자
2011-10-14
- 많이 본 뉴스
-
-
1
’24년 LIB 양극재 수요, 전년比 24%↑
-
2
이엠엘, 300억 새만금 첨단금속 소재 공장 착공
-
3
철도공단, “학익역 사업 정상적 진행 실시설계 완료”
-
4
산업부, 4300GWh 수소발전 입찰시장 개설
-
5
㈜위드피에스, 한화시스템 ‘L-SAM 주전원공급유닛’ 계약
-
6
PMI바이오텍, 굴껍질 재활용 칼슘 120억 계약
-
7
코스모화학, 1Q 영업익 1억…흑자전환
-
8
링크솔루션, 98억 주형 3D프린팅 공정개발 주관
-
9
신재생E, 국내 발전 비중 10% 첫 돌파
-
10
1~3월 非中 전기車 인도량, 전년比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