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태성에스엔이·스타코·링크솔루션, 3D프린팅 제조혁신 실증사업 선정
방산·우주·車 등 3개 제조분야에 적용될 적층제조 부품 공정개발이 본격 추진돼 고부가 부품 개발과 주력산업 경쟁력 강화에 기여할 전망이다. 업계에 따르면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이 지난 2월 공고한 ‘2020년 3D프린팅 제조혁신 실증지원 사업’ 결과 △태성에스엔이 컨소시엄(참여기관: LIG 넥스원,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강원본부 등) △스타코 컨소시엄(이노스페이스, 생기원 대경본부 등) △링크솔루션 컨소시엄(덕양산업, 생기원 시흥센터 등)이 선정됐다. 3D프린팅 제조혁신 실증지원 사업은 경량화·일체화 등이 가능한 3D프린팅 기술로 항공·우주·車·방산·조선·발전·플랜트 등 7개 제조분야의 고도화에 기여할 부품을 제작하고 최적의 3D프린팅 양산 공정기술을 확보해 사업화를 추진하는데 목적이 있다. 올해는 7개 제조분야 중 3개 분야에서 각각 1개 컨소시엄이 선정됐다. 사업은 3D프린팅 출력서비스 기업이 주관기관을 맡고 제조기업과 연구기관이 참여기관으로 컨소시엄을 구성하도록 했는데 국내 내로라하는 자동차, 항공 관련 대기업들이 참여기관으로 참여해 제조업계에서 3D프린팅에 대한 관심이 높음을 입증했다. 총 10개 컨소시엄이 평가를 받아 경쟁률은 3.3대 1에 달했다. 이번에 선정된 컨소시엄을 살펴보면 방산분야에 지원한 태성에스엔이는 요격 미사일 안테나 부품 양산 공정기술 개발에 나선다. 세계적인 시뮬레이션 소프트웨어 기업 앤시스(ANSYS)의 한국총판인 태성에스엔이는 출력서비스 사업을 새로 추진 중으로 GE Additive의 금속 3D프린터를 구축 중이다. 우주분야에 지원한 스타코는 소형위성 발사용 로켓엔진 부품 양산 공정기술 개발을 추진한다. 스타코는 GE Additive의 금속 3D프린터를 구축해 우주항공 부품 제조에 나서고 있다. 자동차분야에 지원한 링크솔루션은 SLA 방식 3D프린터로 자동차 도어트림 부품 금형코어 양산 공정기술 개발에 나선다. 한국산업기술대학교의 기술지주회사인 링크솔루션은 자동차 시제품을 3D프린팅하기 위해 대형 SLA 방식 3D프린터를 제작한 바 있으며 아모레퍼시픽과 ‘아이오페 맞춤형 3D 마스크’를 개발한 바 있다. NIPA는 이들 컨소시엄과 올해부터 2022년까지 3년간 평가결과에 따라 1년 단위로 협약을 체결한다. 과제당 연간 9억5천만원씩 총 28억5천만원이 지원될 예정이다.
신근순 기자
2020-05-07
-
스트라타시스, 가성비 높은 폴리젯 3D프린터 출시
신근순 기자
2020-05-06
-
㈜컨셉션, 중기부 ‘BIG3 중소벤처 혁신성장 지원기업’ 선정
신근순 기자
2020-05-04
-
자이브솔루션즈, 고강도·고탄성 3D프린팅용 광경화 수지 개발
신근순 기자
2020-04-24
-
인천TP, 스타트업·中企 시제품 제작 500만원 지원
인천테크노파크(인천TP)는 내달 8일까지 ‘시제품 제작지원사업’에 참여할 인천지역 기업을 모집한다고 24일 밝혔다. 이번 사업은 제품기획 및 디자인 개발을 마친 기업과 제조 분야별 전문가 등을 보유한 온라인 제조 플랫폼사인 에이팀벤처스, 아이디어오디션을 연결해 시제품 제작을 돕는 것이다. 지원대상은 창업 7년 미만의 스타트업 등 인천지역 중소기업으로, 인천TP는 2개 기업을 선정, 기구 설계 및 모크업(mock-up) 제작비용 등 시제품 제작비를 많게는 500만 원까지 지원할 예정이다. 자세한 내용은 비즈오케이 또는 인천TP 홈페이지를 참조하거나, 인천TP 스마트제조혁신센터(032-260-0661~2)로 문의하면 된다. 인천TP 관계자는 “민간 제조 플랫폼과의 협업을 통해 시제품 제작 시간을 크게 줄일 수 있을 것”이라며 “경영난 등으로 시제품 제작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중소기업의 제품 조기 출시에 적잖은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신근순 기자
2020-04-24
-
3D프린팅연구조합, 제조기업 대상 3D프린팅 경진대회 개최
신근순 기자
2020-04-23
-
3D프린팅연구조합, 3D프린팅 서비스 바우처 공급사 모집
신근순 기자
2020-04-21
-
울산정보산업진흥원, ‘제4회 DfAM 경진대회’ 공모
신근순 기자
2020-04-17
-
VELO3D, 높이 1m 적층 금속 3D프린터 출시
신근순 기자
2020-04-16
-
울산시, 3D프린팅 부품 양산화 박차
3D프린팅 강소기업들이 울산시에 3D프린팅 부품 양산공장 구축에 나선다. 울산시는 9일 오후 3시 울산시청 상황실에서 송철호 울산시장과 협약기업인 3D프린팅 합작법인 ㈜글로윈즈 대표 정필상, ㈜에이원우주항공 대표 임성구, 한국헥산곤 메트롤로지(유) 지사장 김성완 등 기업인 8명과 수요기업, 유관 기관장 등 20여명이 참가한 가운데 기업 이전 및 기술 협력에 대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식에는 수요기업인 현대자동차의 최정호 책임이 참여해 자동차산업 분야 3D프린팅 제품 양산 사례와 시장성에 대해 발표했다. 주요 협약 내용은 합작을 통해 ㈜글로윈즈를 설립한 경기, 경남, 경북, 부산의 기술력 있는 강소기업 6개사의 기업 이전과 기술협력, ㈜에이원우주항공의 신규공장 설립, 한국헥사곤 메트롤로지(유)의 검·교정 센터 구축 등이다. 기술협력 협약을 체결한 글로윈즈는 제조업과 3D프린팅 기술 융합을 위해 3D프린팅, 기계가공, IoT기술, 장비, 소프트웨어 등의 전문 기술을 보유한 ㈜라오닉스 등 관내외 8개 기업이 공동 설립한 합작법이다. 이들은 ‘OMT(Optimizing Manufacturing TEAM in ULSAN)’라는 컨소시엄을 구성해 제조업 공정개발의 종합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협약에 따라 이들은 국내 최대 규모 3D프린팅 특화 집적지인 울산 테크노일반산업단지의 인프라 활용을 위해 올 10월 준공되는 3D프린팅 벤처집적 지식산업센터에 각 기업의 지사를 설립하고 공동 사무실을 운영할 예정이며, 올해 안으로 3D프린팅 제품 양산화 공장을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이 합작법인 설립을 주도적으로 추진한 울산기업인 ㈜라오닉스는 현대자동차와 수요연계형으로 진행 중인 비즈니스모델 발굴 지원사업을 통해 3D프린팅 기업으로는 최초 자동차 1차 벤더로 등록됐으며 3D프린팅을 통해 지그 등 부품을 양산하고 있다. 울산시는 3D프린팅을 4차 산업혁명 시대 제조혁신 성장의 핵심 기술로 육성하고자 이번 협약을 통해 향후 대규모 수요에 대한 유기적 협력 체계를 구축하고 3D프린팅 기술 산업적용 표준가이드를 마련해 지역 주력산업 고도화 및 신규 벤처회사의 창업을 적극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송철호 울산시장은 “급변하는 시장 환경에 전략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산학연의 긴밀한 협력으로 3D프린팅 시장에서의 확고한 경쟁력을 갖추어 나가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번 협약에 따라 경남 사천에서 이전해 오는 ㈜에이원우주항공은 2013년에 설립한 우주항공 부품 및 검사구 전문업체로 올해 울산 테크노일반산업단지로 본사를 이전하고 생산라인 구축에 나선다. 새롭게 건립되는 공장에는 보유 중인 대형 장비와 신규로 27억원 상당의 30미터 규모 정밀 가공기계 등 10여 종을 구축해 정밀함이 요구되는 대형 기계가공이 필요한 다양한 산업군에 활용할 예정이다. 스웨덴에 위치한 헥사곤 그룹의 한국 지사인 한국헥사곤 메트롤로지(유)(이하 한국헥사곤)는 올해 안에 울산 지사와 센터를 설립하고 2021년에는 기존 창원·용인 센터를 순차적으로 흡수해 아시아 최고 수준의 검·교정 센터를 운영할 계획이다. 이에 따라 해외에서 교정서비스를 받아야 하는 번거로움은 물론 그에 따른 비용 절감과 시간 단축을 통해 자동차, 항공, 중공업, 기계, 금형 등의 산업 분야에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신근순 기자
2020-04-09
-
NIPA, ‘3D프린팅 활용·인식 확산 사업’ 본격 추진
신근순 기자
2020-04-09
-
메탈3D, 적층제조 부품 품질관리 공정 모니터링 개발
신근순 기자
2020-04-09
-
㈜신도리코, 케이씨모터스 산업용 3D프린터 공급
신근순 기자
2020-04-09
-
3D시스템즈, 의료부품 부족 대란 3D프린팅으로 극복
신근순 기자
2020-04-08
-
[인터뷰]손용 한국생산기술연구원 3D프린팅 제조혁신 시흥센터 센터장
신근순 기자
2020-04-07
-
ICT디바이스 판교팹, 코로나19 대응 시제품제작 할인
신근순 기자
2020-04-03
-
신도리코, 복합기·3D프린터 브랜드파워 1위
60년간 국내 사무용 복합기 시장을 선도하고 3D프린터 시장까지 진출한 신도리코가 브랜드 경쟁력을 인정 받았다. 2D&3D 전문기업 신도리코는 한국능률협회컨설팅(KMAC)에서 주관하는 ‘2020한국산업의 브랜드파워(Korea-Brand Power Index, 이하 K-BPI)’ 사무용 복합기 및 3D 프린터 부문에서 1위를 차지했다고 2일 밝혔다. ‘K-BPI’는 소비자 조사를 통해 브랜드가 구매의사 결정 및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력을 지수화 한 브랜드 진단평가 제도로, 신도리코는 사무용 복합기 부문에서 2012년 이래 9년 연속 1위를 인증 받았고, 작년에 신규 개설된 3D 프린터 부문에서도 2년 연속 선정의 영예를 안았다. 신도리코는 1960년 설립 이후 전국 14개의 서비스센터 및 2개 리페어센터, 총 500여곳에 이르는 서비스 전문점 및 지정점, 대행점 네트워크를 통해 국내 최고의 복합기 서비스 경쟁력을 갖추고 있다. 이러한 서비스 네트워크를 활용해 3D프린터에 대한 서비스와 지원도 함께 운영 중이다. 또한, 중국 칭다오, 베트남 하노이 등지에 공장을 설립하고 판매법인을 설립해 아시아 시장 공략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미국 CES, ITEX 및 중동의 GITEX를 비롯해 다양한 글로벌 전시회에 참가하며 직접 개발한 제품을 전 세계로 수출하며 기술력을 인정받고 있다. 회사는 개별 3D프린터에 장착된 필라멘트 종류 및 잔량, 출력과 관련된 세부 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해 다량의 3D프린터를 통합 관리할 수 있는 3D솔루션인 ‘WISDOM 3D’ 등을 연달아 출시했다. 신도리코는 올해로 창립 60주년을 맞아 ‘Start, New Sindoh’라는 슬로건과 함께 변화와 혁신을 꾀하고 있다. 특히 2015년부터 진출한 신사업 분야인 3D프린팅과 관련해 3D프린팅 소프트웨어 전문 기업 머티리얼라이즈(Materialise)와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 올해 중 대형 산업용 3D프린터를 출시할 계획을 가지고 있다. 또한 적층제조 전문기업 라이즈(RIZE)와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해 지속 가능성 및 내구성이 뛰어난 라이지움(RIZIUM) 재질의 필라멘트를 적용할 예정이다. 신도리코 홍보실 이철우 상무는 “신도리코가 K-BPI 사무용 복합기와 3D프린터 부문에서 1위를 차지하게 돼 매우 기쁘다”며, “앞으로도 신도리코를 사랑해주시는 소비자들께 최고의 서비스와 제품을 제공할 수 있도록 꾸준히 발전해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신근순 기자
2020-04-02
-
HP, 코로나19 대응 3D프린팅 솔루션 지원
신근순 기자
2020-04-01
-
KAMUG-영상大, 산업용 3D프린팅 인재육성 맞손
신근순 기자
2020-03-30
-
현대엔지니어링, 3D 프린팅 비정형 철근 제작
엄태준 기자
2020-03-27
- 많이 본 뉴스
-
-
1
“韓 AI 투자 中 1/3 불과, AI 강국 4년 골든 타임”
-
2
2024년 철강 31社 경영실적
-
3
1~3월 전기車 배터리 사용량, 전년比 39%↑
-
4
제이앤티씨, TGV 유리기판 신사업 본격 추진
-
5
LG화학, 제철소 CO2 포집 CO·H2 전환 추진
-
6
1~3월 글로벌 전기車 인도량, 전년比 35%↑
-
7
탄소산업진흥원, “기관장 업추비 4800만원 사실 아냐, 공시 단위 입력 오류”
-
8
한화방산 3社, 중남미 방산 新시장 개척
-
9
국토부, ’28년 상용화 수소열차 실증 착수
-
10
화학연, 수중 로봇용 인공 근육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