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KT·창원, ‘스마트그리드’ 사업 본격화
SK텔레콤이 선도적 IT기술을 기반으로 국가 산단 스마트그리드 활성화에 적극 나설 전망이다.
SK텔레콤(사장 장동현)이 경상남도 창원시(시장 안상수)와 스마트그리드 확산사업 추진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2일 밝혔다.
이번 MOU 체결을 통해 SK텔레콤과 창원시는 최근 에너지비용 상승, 탄소배출권 거래제도 시행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창원 지역 제조업체와 공공기관의 에너지 효율화 및 생산성 향상을 위해 적극 협력할 계획이다.
산업부는 지난 2013년 10월 스마트그리드 확산사업 예비사업자로 창원·제주시 등이 포함된 SK텔레콤 컨소시엄을 선정했고, 이후 창원시와 SK텔레콤은 사업 추진을 지속적으로 협의해왔다.
이번 MOU를 통해 추진되는 스마트그리드 확산사업은 공장·빌딩 에너지를 비롯해 공공부문까지 적용될 예정으로 총 사업비는 889억원, 수혜대상 기업은 최대 60개에 이를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기자재·시스템 개발운영 등 관련 시장의 성장도 기대된다고 SK텔레콤 측은 밝혔다.
SK텔레콤과 창원시는 2015년 창원시 내 가로등 에너지 효율화 사업을 시작으로 2016년부터 2018년까지 공장·빌딩 에너지 효율화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또 MOU 체결 이후 관련기업 및 기관의 의견을 적극 수렴해 빠르게 사업 착수에 나설 방침이다.
SK텔레콤 이형희 MNO총괄은 “본 협약을 시작으로 SK텔레콤이 창원지역 기업 에너지 효율화의 든든한 파트너로 자리매김하길 기대하며, 앞으로도 SK텔레콤의 앞선 IoT 기술이 국가 산업단지 에너지 효율화 및 생산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성겸 기자
2015-02-02
-
중·소형 원전 ‘SMART’ 수출 나선다
강지혜 기자
2015-01-29
-
신재생에너지協, 신년인사회
배종인 기자
2015-01-29
-
로이드인증원, 배출권 거래제 전문가 양성
1월부터 시작된 배출권거래제에 대한 전문인력 양성 과정이 진행된다.
로이드인증원(LRQA)(한국법인, 대표이사 유상근)은 2015년 1월 시행하는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ETS)와 관련해 국내 최초로 국제상품선물거래소(ICE) 온실가스 배출권 거래제 전문가 양성과정을 진행한다.
정부는 2020년 국가 온실가스 총 배출량을 2005년 대비 4% 로 감축하는 목표를 정했으며 기업의 배출권거래기법, 투자전략, 가격예측 기법등 기업의 수익과 직결되는 배출권 거래에 대한 전문적인 정보에 대한 수요도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많은 기업들은 구체적인 온실가스 감축계획을 세우고, 목표량을 달성하기 위해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시장에 대한 전문성을 필요로 하고 있다.
LRQA는 온실가스 배출권 거래제 제도소개나 전반적인 대응방안에 대한 거래제 교육 뿐만아니라 기술적이고 전문적이며 실전에서 즉시 활용할 수 있는 정보도 더불어 제공하며, 감축기술을 비롯한 금융 및 법률 등 구체적인 분야에 대한 내용도 다루고 있다.
또한 교육을 수료한 참가자들에게는 전세계 최대 배출권 거래기관인 ICE의 공식 인증 수료증이 발급된다.
유상근 LRQA 한국법인 대표이사는 “LRQA는 온실가스를 보다 효율적으로 감축하고, 새로운 규제에 부합하는 전략적 계획을 세우는 통찰력을 제공 한다”며 “또한 온실가스 배출권 거래제와 관련된 전문가들이 온실가스 배출권 및 부채관리를 통해 수익 정보와 온실가스 배출권 거래제 대응을 위한 구체적인 전략을 수립토록 지원한다."고 말했다.
한편, 신설된 ICE 온실가스 배출권 거래제 전문가 양성과정에 대한 보다 자세한 사항은 웹사이트(www.lrqa.c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강지혜 기자
2015-01-29
-
발전사업 허가건수, 연평균 36%↑
김성겸 기자
2015-01-29
-
포스코에너지, 1MW급 스팀터빈 공급계약
신근순 기자
2015-01-29
-
에너지신산업, 투자 확대로 위기돌파
강지혜 기자
2015-01-22
-
2016년 자예드 미래에너지상 후보 모집
강지혜 기자
2015-01-22
-
파나소닉, 2015 자예드 미래에너지상 수상
강지혜 기자
2015-01-21
-
에너지복지, 나눔 · CSR 활동 필요
강지혜 기자
2015-01-20
-
‘에너지를 나누는 이로운 기업단’ 출범
강지혜 기자
2015-01-20
-
머크 액정 윈도 기술 시연
머크는 독일 뮌헨에서 1월19일부터 24일까지 열리는 건축 자재 박람회 BAU 2015에 처음 참가했다고 밝혔다.
이번 전시회를 통해 머크는 최신 액정 윈도(LCW) 기술을 선보인다. 머크는 TV, 스마트폰, 노트북 등에 광범위하게 사용된 고유 액정 기술을 스마트 윈도 시스템에 적용해 새로운 응용 분야를 창출했다.
BAU는 세계 최대의 건축, 자재, 시스템 박람회로 머크는 이번 전시회를 통해 액정 윈도를 많은 업계 전문가에게 선보이겠다는 계획이다.
머크 ‘리크리비전™(licrivision™)’ 브랜드로 출시될 예정인 액정 윈도는 건물 벽면에 닿는 빛이나 온도의 영향을 조절할 수 있어 에너지 절감에 일조할 수 있다.
이 기술은 두 장의 유리판 사이에 특수 액정 혼합물을 주입해 작동하는 것으로 액정 디스플레이처럼 유리판 내부의 액정 입자는 인가되는 전압에 따라 다양한 배열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런 배열에 따라 액정층과 유리창을 통과하는 빛의 양이 조절된다.
머크 디스플레이 소재 사업부 이네스 로벤스타인 대표는 “액정 윈도 기술은 액정을 새롭게 응용한 혁신적 기술이며 각광을 받을 것”이라며 “기존의 모든 창호 시스템을 이용해 생산할 수 있기 때문에 창문의 크기, 형태, 색상 등에서 건축 분야에 자유로운 응용이 가능하다”고 덧붙였다.
머크는 기존 창호 업체들과 협력해 액정 윈도 크기에 대한 시범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다. 또한 태양광을 이용해 저절로 빛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는 제품도 연구하고 있어 외부 전원 없이도 작동이 가능한 윈도의 개발이 기대된다.
머크 관계자는 “액정 윈도 기술을 이용하면 건물에 입사되는 빛의 세기를 단 몇 초 만에 조절할 수 있고 건물의 태양열취득률도 제한할 수 있다”면서 “색깔 조정이 가능한 액정을 이용하면 창문과 파사드의 디자인 뿐만 아니라 창문 배치에 따라 개별적으로 조절할 수도 있을 것”이라며 자사 제품을 홍보했다.
김은경 기자
2015-01-19
-
에기평, 부패 근절 ‘앞장’
배종인 기자
2015-01-19
-
에관공-국토부-건기연, 제로E빌딩 업무협약
배종인 기자
2015-01-16
-
한화, 日 태양광 시장 1위 ‘굳히기’
김성겸 기자
2015-0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