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삼척 사회단체, 삼척화력발전 원안 추진 일제 환영
신근순 기자
2017-12-13
-
에기평, 韓 기술 해외 진출 앞장
배종인 기자
2017-12-11
-
S-OIL, 이웃돕기 성금 20억 기부
고봉길 기자
2017-12-11
-
韓, EV 충전기술 특허 확보 시급
편집국 기자
2017-12-11
-
민관, 美 태양광 셀·모듈 세이프가드 피해 최소화 협력
미국이 한국산 태양광 셀·모듈에 최대 35%의 관세를 부과하는 등 수입규제 조치를 추진하고 있는 가운데 우리나라 민관이 함께 피해를 최소화하는데 나서고 있다.
외교부 수입규제대책반장, 산업부 통상협력총괄과장, 한화큐셀, LG전자, 현대그린에너지 등 관계자들은 현지시간으로 지난 6일 미국 무역대표부(USTR)에서 개최된 ‘태양광 셀·모듈에 대한 긴급수입제한조치(세이프가드) 공청회’에 참석해 미국의 수입규제 조치에 대한 반대 입장을 적극 표명했다고 밝혔다.
미국 수니바(Suniva), 솔라월드(Solarworld) 등 태양광 기업들은 지난 4월26일 미국 국제무역위원회(ITC)에 한국산 태양광 셀·모듈로 인해 산업피해를 받고 있다고 제소했으며, 이에 ITC는 지난 10월31일 한국산 태양광전지에 대해 최대 35%의 관세를 부과해야 한다는 권고안을 내린 바 있다.
우리나라가 미국에 수출하고 있는 태양광 셀·모듈은 2016년 기준 13억달러 규모로 말레이시아. 중국에 이어 3번째 규모다.
이날 정부는 공청회 발언을 통해 수입규제 조치로 인한 가격 상승 등은 미국 공공이익에도 막대한 비용을 초래할 것임을 강조하는 한편 한국산 셀·모듈이 미국 산업피해의 실질적 원인이 아님을 설명하면서 한국산 제품의 시장접근을 저해하는 수입규제 도입에 반대 입장을 표명했다.
또한 EU, 중국, 대만, 태국, 캐나다 등 외국 정부 인사뿐만 아니라 미국 태양광산업협회 등 내부의 세이프가드 반대 진영에서도 대거 참석해 태양광 셀·모듈에 대한 수입제한을 반대했다.
수니바, 솔라월드 등 제소자측은 쿼터와 관세를 동시에 부과하는 강력한 수입제한이 필요하다는 기존 입장을 다시 확인했으며 FTA 체결국 등을 통한 우회 수입 방지 필요성도 함께 제기했다.
USTR은 금일 공청회 결과를 토대로 트럼프 대통령에게 구체적인 세이프가드 조치를 권고할 예정이며, ITC 및 USTR 권고안 등을 기반으로 내년 1월 중 최종 조치가 도출될 예정이다.
신근순 기자
2017-12-07
-
한전, 英 NuGen社 인수 우선협상대상자 선정
한국전력이 영국에서 신규원전을 건설 중인 NuGen社의 인수를 추진한다.
한전은 일본 도시바가 매각 중인 NuGen社의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돼 본격적인 협상을 추진한다고 7일 밝혔다.
NuGen社는 도시바가 지분 100%를 보유한 기업으로 현재 잉글랜드 북서부 무어사이드 지역에 약 3GW 규모의 신규원전을 2030년경 완료목표로 추진 중이다. 인수가 완료되면 원전수주 및 원전시공 기술력 향상을 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인수완료까지 우리나라 정부의 예비타당성조사 및 영국 정부의 승인을 통과해야하며, 한전-도시바간 주식매매계약 등 과정이 남아있다.
이와 관련해 백운규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지난 11월27일 영국 런던에서 그렉 클라크(Greg Clark) 영국 기업에너지산업전략부(BEIS) 장관과 ‘원전 협력을 위한 양국 장관간 각서(Memorandum)’를 체결한 바 있으며 한전의 무어사이드(Moorside), 한수원의 윌파(Wylfa) 사업 등의 참여에 대한 양국간 협의 채널을 구축하기로 합의 한 바 있다.
산업부 관계자는 “한전이 그간 국내 및 UAE 등에서 보여준 우수한 기술력과 시공역량을 원전 선진국인 영국에서도 보여줄 수 있는 가능성이 열린 것”이라며 “정부는 면밀한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해 동 사업이 국익에 도움이 되도록 최선을 다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신근순 기자
2017-12-07
-
해자협, 해외자원개발 심포지엄 개최
배종인 기자
2017-12-05
-
해자협, “예산 삭감됐지만 자원개발 멈출 수 없어”
배종인 기자
2017-12-05
-
하나로 재가동, 신소재·연료전지 개발 지원 나선다
신근순 기자
2017-12-05
-
포스코에너지, 대학생봉사단 7기 해단식 개최
신근순 기자
2017-12-05
-
내년 유가 상승세, 韓 산업 경쟁력 악화 우려
신근순 기자
2017-12-01
-
해외자원개발 부실재발 방지·대응방안 마련한다
해외지원개발사업이 잘못된 투자와 부실한 관리로 ‘돈먹는 하마’가 된 가운데 부실재발을 방지하고 안정적인 공급선 확보를 위한 대책마련이 추진된다.
산업통상자원부(장관 백운규)는 29일 드래곤시티호텔에서 ‘해외자원개발 혁신 티에프(TF)’ 착수회의를 개최했다.
티에프(TF)는 해외자원개발 실태와 문제점을 정확히 파악하고, 향후 부실이 재발하지 않도록 근본적인 대책을 수립하기 위해 구성됐으며 이를 위해 학계, 회계, 법률, 시민단체 전문가로 위원을 구성하고, 위원장도 민간을 대표해 박중구 서울과기대 교수가 맡는다.
이번 착수회의를 통해 TF는 산업부와 석유공사, 광물공사, 가스공사 등이 추진한 해외자원개발 실태 자체점검 결과를 공유하고 향후 해외자원개발사업 평가 연구용역 등을 추진키로 했다.
해외자원개발 자체점검 결과에 따르면 2008년 이후 해외자원개발 사업의 외형은 확대된 반면, 성과는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해외자원개발 투자액은 43억4천억에 달하는 반면 회수액은 16조7천억원으로 회수율이 38%에 불과했고 현재까지 확정된 손실액은 13조6천억원으로 투자비의 30%를 상회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이에 광물공사는 자본잠식 상황이며, 석유공사의 부채비율은 2008년 73%에서 2016년 529%로 상승하는 등 자원 공기업 재무구조가 악화됐다.
이러한 부실이 발생한 원인에 대해 산업부는 △정확치 않은 시장전망 하에 전통유전 등에 집중적 투자 △경험과 역량이 부족한 상황에서 고비용-고위험 사업 참여 △공기업의 압축적 성장 추진에 따른 손실 △부실한 경제성 평가로 성급한 인수합병 추진 △자원 처분권이 없는 해외주식을 매입해 자주개발률 실적 충당 △과도한 차입과 무분별한 자회사 채무지급 보증 △책임회피를 위한 부실사업 추가투자 △자원개발 역량 부족에 따른 탐사 실패로 대규모 손실 발생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했다고 분석했다. 즉 보여주기식으로 자주개발률 실적을 달성하는데 급급해 수익성을 제대로 고려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TF에서는 대규모 부채와 잔존부실로 추가손실 위험을 배제할 수 없으며, 제3자의 객관적, 전문적인 경제성 분석과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평가했다.
이에 TF는 3개 공사의 81개 사업에 대한 평가 연구용역을 실시하고, 내년 상반기까지 이들 사업을 우량, 관리, 조정 등 3개군으로 분류할 예정이다. 또한 3개 공사가 실태조사 결과를 반영하여, 중장기 재무관리 및 부채감축 계획 등 구조조정 방안을 수립하여 보고하도록 할 계획이다.
박중구 위원장은 “이번 회의를 통해 정부와 공기업이 그간의 문제점들을 인정하고, 반성했다는 점에서 의미있는 진전”이라고 평가하고 “해외자원개발 사업은 국가 에너지안보 측면에서도 매우 중요한 사업으로 향후 국가적인 차원에서 대안을 모색하고, 비전을 가지고 추진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신근순 기자
2017-11-30
-
군산, 국내 최대 수상태양광 발전소 들어선다
배종인 기자
2017-11-30
-
에너지공단, 에너지절감 우수 25社 인증서 수여
배종인 기자
2017-11-30
-
현대重, 세계 최대 ESS센터 본격 가동
배종인 기자
2017-11-24
- 많이 본 뉴스
-
-
1
’24년 LIB 양극재 수요, 전년比 24%↑
-
2
이엠엘, 300억 새만금 첨단금속 소재 공장 착공
-
3
철도공단, “학익역 사업 정상적 진행 실시설계 완료”
-
4
산업부, 4300GWh 수소발전 입찰시장 개설
-
5
㈜위드피에스, 한화시스템 ‘L-SAM 주전원공급유닛’ 계약
-
6
PMI바이오텍, 굴껍질 재활용 칼슘 120억 계약
-
7
코스모화학, 1Q 영업익 1억…흑자전환
-
8
링크솔루션, 98억 주형 3D프린팅 공정개발 주관
-
9
신재생E, 국내 발전 비중 10% 첫 돌파
-
10
1~3월 非中 전기車 인도량, 전년比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