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ED의 형광등 대체, 가로등이 주도
배종인 기자
2014-02-26
-
도시바, 절전 블루투스 IC 출시
김은경 기자
2014-02-26
-
1월 북미반도체장비산업 BB율 1.04
2014년 1월 북미반도체장비산업 BB율이 지난해 12월에 비해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제반도체장비재료협회(SEMI)는 25일 ‘2014년 1월 북미반도체장비산업 BB율’을 발표했다.
SEMI에 따르면 북미 반도체 장비업체들의 2014년 1월 순수주액(3개월 평균값)이 12억8,190만달러로 지난 12월 최종수주액 13억8,080만달러에서 7.2%가 하락했다.
2014년 1월 BB율은 1.04(이는 출하액 100달러 당 수주액이 104달러라는 의미이다)다.
총 수주액은 전년도 같은 시기에 보고된 수치보다 19.1% 증가했다. 후공정장비 1월 수주액은 지난 12월과 비교해서 20.7% 증가했으며, 전공정장비 수주액은 9.8% 감소했다.
1월 반도체 장비 출하액은 12억3,800만달러로, 지난 달 12월 최종 출하액인 13억4,970만달러보다 8.3% 감소했다.
2013년 1월 장비 총 수주액은 10억7,600만달러, 출하액은 9억6,800만달러였다.
1월 전공정장비 예비 수주액은 11억3,940만달러로, 12월에 보고된 12억6,270만달러와 비교되며, 전년 동기(2013년 1월)보다 17.7% 증가한 수치다.
1월 출하액은 11억2,650만달러로, 전공정장비 BB율 1.01로 나타난다.
지난 12월의 전공정 장비 최종 출하액은 12억3,800만달러였고, 2013년 1월 출하액은 8억 5,990만달러였다.
1월 후공정 장비 예비 수주액은 1억4,250만달러이며, 12월에 보고된 수치는 1억1,810만달러다.
1월 출하액은 1억1,150만달러로, 후공정장비 BB율은 1.28로 나타났다.
후공정 장비 12월 최종 출하액은 1억1,170만달러였으며 전년도 1월 출하액은 1억810만달러였다.
배종인 기자
2014-02-25
-
삼성전자, ‘갤럭시 S5’ 전격 공개
김은경 기자
2014-02-25
-
삼성, 세계 TV 판매 1위 고수
김은경 기자
2014-02-24
-
삼성전자, ‘삼성 기어 2’ 공개
김은경 기자
2014-02-24
-
금호전기, 매출 4,560억…전년 比 18% ↑
이일주 기자
2014-02-24
-
반도체산업協 신임 회장에 김기남 삼성전자 사장
신근순 기자
2014-02-21
-
삼성전자, ‘갤럭시 카메라 2’ 국내 출시
배종인 기자
2014-02-20
-
루미마이크로, 매출 1,339억…전년 比 14% ↑
이일주 기자
2014-02-20
-
한국단자공업, 매출 5,660억…전년 比 17% ↑
이일주 기자
2014-02-20
-
삼성, 세계 최초 ‘커브드 UHD TV’ 국내 출시
이일주 기자
2014-02-20
-
유양디앤유, 매출 1,157억…전년 比 19.3% ↓
이일주 기자
2014-02-19
-
광명전기, 매출 1,178억…전년 比 0.5% ↑
이일주 기자
2014-02-19
-
산업교육硏, 스마트그리드 사업 활성화 세미나
스마트그리드사업이 본격화되고 있는 가운데 정부의 추진정책과 함께 배터리, ESS(에너지저장시스템), EMS(에너지관리시스템), 전기차 등 관련 시장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는 자리가 마련된다.
산업교육연구소(www.kiei.com)는 오는 2월26일부터 27일 이틀에 걸쳐 서울 여의도 사학연금회관에서 ‘2014 스마트그리드 유망사업 모델과 시장활성화 및 성공전략 세미나’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세미나에서는 스마트그리드와 관련된 ESS, EMS, 전기차 등에서 파생되는 신시장 및 수익창출 모델 방안을 살펴보고 절약한 전력량을 거래하는 신비즈니스 모델과 성공전략에 이르기까지의 제반정보를 집중적으로 논의하게 된다.
26일에는 △2014년 스마트그리드 확산사업 추진정책(전망)과 시장 활성화 방안 및 로드맵 △2014년 ESS보급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지원과 자금조달 방안 및 사례 △ESS를 구성하는 배터리+전력변환시스템+시스템연계(배전반, BMS)기술개발 및 성능 발전방안 △스마트그리드 확산사업 관련 건물용/전기차용/신재생에너지 융합형 ESS 실증사례 △리튬이온 배터리 ESS로서의 기술 및 시장 경쟁력 분석 △리튬폴리머 배터리 ESS로서의 기술 및 시장 경쟁력 분석 △납 축전지 ESS로서의 기술 및 시장 경쟁력 분석 △플로우 배터리 ESS로서의 기술 및 시장 경쟁력 분석 등의 주제가 발표된다.
27일에는 △전기차충전기+ESS융합 기술개발과 비즈니스 모델 확대방안 △전기차 대여서비스 비즈니스 및 수익창출모델 △지능형 수요관리(DR)시장과 EMS의 연계성 및 수익모델 방안 △EMS의 분야별 구축사례와 최적화 설비 운영관리 및 에너지절감 효과방안 △BEMS(빌딩에너지관리시스템)의 분야별 구축사례와 최적화 설비 운영관리 및 에너지 절감 효과방안 △FEMS(공장에너지관리시스템)의 분야별 구축사례와 최적화 설비 운영관리 및 에너지절감 효과방안 △EMS 및 ESS의 연계를 위한 수요자원의 발전 경쟁시장 통합과 효율화 방안 등의 주제가 발표된다.
산업교육연구소 관계자는 “금번 세미나가 ICT를 기반으로 한 스마트그리드 연관사업의 제반 유용한 정보를 공유함과 아울러 새로운 사업기회를 모색하고자 하는 기업체 및 일반인에게도 큰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기타 자세한 사항은 웹사이트(www.kiei.com) 또는 전화 (02-2025-1333~7)로 문의하면 된다.
신근순 기자
2014-02-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