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웅CT, 본사 확장 이전 통해 ‘제2도약’
초저온저장탱크 전문기업 ㈜대웅CT(대표 김태섭)가 본사의 확장 이전을 통해 새로운 제2의 도약을 준비하고 있다.
대웅CT는 최근 부산광역시 강서구 미음산단로 136번지로 새로 이전했다고 밝혔다.
부지는 3,000여평 규모로 김해에 있는 구 본사보다 큰 것으로 알려졌다.
회사는 12월 영업부, 구매부, 생산부, 품질관리부, 기술부, 관리부 등 대부분의 부서가 이전을 마친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확장 이전을 통해 회사는 대형설비 수주에 박차를 가할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한편 대웅CT는 지난 2005년 1월에 설립해 올해 10주년을 맞이한 초저온 저장탱크(CE), 초저온 탱크로리 및 트레일러, LNG저장탱크, CO₂저장탱크, 압력용기 분야에 주력해온 초저온 전문기업이다.
지난 2011년 중소기업청으로부터 기술혁신형 중소기업 인증을 받았고, 2012년에는 부산지방국세청장으로부터 모범납세자 표창을 받은바 있다.
현재 회사의 핵심가치인 ‘고객존중’, ‘인간존중’, ‘기본중시’, ‘봉사와 행복’을 바탕으로 대한민국 초저온 기술을 한 단계 끌어올리는 데 기여하고 있다.
배종인 기자
2015-01-06
-
NF₃, 올해 품귀현상 지속된다
신근순 기자
2015-01-06
-
CO2 포장 딸기 수출 성공
배종인 기자
2015-01-06
-
고압가스연합회, 2014년 마무리
배종인 기자
2015-01-05
-
산업용 도시가스 요금 6.1% ↓
배종인 기자
2015-01-05
-
냉매관리기록부 1월31일까지 제출
냉매관리기록부 미제출사업장은 반드시 2015년 1월31일까지 제출해야 하며 유예기간 내에 기록부를 제출하지 않을 경우 100만원 이하의 과태료에 처해진다.
환경부는 최근 2013년 냉매관리기록부 미제출사업장의 의무 유예기간과 2014년 냉매관리기록부 제출 안내문을 공고 했다.
2013년 냉매관리기록부 미제출 유예기간 대상 사업자는 ‘대기환경보전법’ 제9조의3 및 동법 시행규칙 제14조의5의 규정에 해당하는 자다.
2014년 냉매관리기록부 대상자는 ‘고압가스안전관리법’ 시행령 제3조제1항4호 및 제4조제2호에 따른 고압가스 제조 허가 및 신고대상 시설로 공기조화기로서 수소염화불화탄소(HCFC) 등 냉매를 모두 합산한 충전용량이 100㎏ 이상인 시설을 모두 만족하는 사업자다.
제출방법은 냉매정보관리시스템(www.rims.or.kr) 등록 또는 우편으로 제출하면 된다. 제출서류는 ‘대기환경보전법’ 시행규칙 제14조의5 제6항 및 7항에서 규정하는 냉매관리기록부 및 기타 증빙서류다.
제출기한은 양 당사자 모두 2015년 1월31일로 이를 위반해 제출하지 않는 경우는 100만원 이하의 과태료가 부과된다.
정부에서는 오존층 파괴 및 지구 온난화 등 기후생태계변화를 유발하는 냉매의 배출을 줄이고 회수·처리하는 등의 적정한 관리를 위해 ‘대기환경보전법’에 ‘공기조화기냉매관리 의무’에 근거를 마련했으며, 2013년 5월24일부터 시행하고 있다.
이에 따라 냉매 관리내역을 기록한 냉매관리기록부(기타 증빙서류 포험)를 매년 1월31일까지 전자문서(냉매정보관리시스템, www.rims.or.kr) 등을 통해 제출하도록 하고 있으며, 이를 위반해 제출하지 아니한 경우에는 100만원 이하의 과태료를 부과하도록 하고 있다.
반면에 정책시행에 대한 의무 대상자의 인식부족 등으로 제출하지 않은 사례가 있었으며, 법률에서 정하는 엄격한 처분보다 제도시행에 대한 이해와 당위성을 우선적으로 확보해야 한다는 정책적 판단에 따라 정부는 미제출 사업장에 대한 의무유예기간을 설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환경부 관계자는 “이번 유예기간에 제출하는 경우 법률적 처분이 면제되나, 유예기한이 경과한 이후에는 미제출 사업자에 대해 철저한 단속을 실시함과 더불어 법률에서 부여한 권한을 엄격하게 행사할 것”이라며 “2013년 냉매관리기록부를 제출하지 않은 사업자(또는 시설 관리자)는 반드시 유예기간 이내에 제출해 주길 바라며, 2014년도 냉매관리 기록부 제출 대상 사업자 또한 ‘대기환경보전법’에 따른 제출기한을 엄수하기를 바란다”고 전했다.
냉매정보관리시스템 등록 및 기타 문의는 032-590-3470, 3473∼5로 하면 된다.
배종인 기자
2015-01-05
-
송원그룹
2015년 1월1일부
■승진(임원급)
◇태경산업
▷전무 임헌찬
▷상무보 이재훈
▷이사보 임동주
▷이사보 최이철
◇태경화학
▷상무 최민교
◇동신에너텍
▷상무보 김형재
◇경인에코화학
▷상무보 권돈희
◇백광소재
▷이사보 권세동
편집국 기자
2015-01-05
-
광신기계공업, 충남 수소충전소 낙찰
광신기계공업주식회사(대표 권환주)가 충남 수소연료전지 자동차용 수소충전시스템 제작 설치를 담당하게 됐다.
대전지방조달청은 충남 홍성군에 설치 예정인 수소연료전지 자동차용 수소충전시스템 제작 설치에 관한 입찰에서 광신기계공업이 낙찰했다고 26일 밝혔다.
이번 입찰에는 총 6개의 업체가 참가했다.
광신기계공업은 15억9,999만4,000원을 적어내 67.847%의 투찰률로 1위를 기록했다.
이어 이엠코리아는 17억4,900만원으로 74.166%의 투찰률로 2위를 기록했다.
이외 주식회사 가스로드, 한양이엔지, 주식회사 지앤씨, 주식회사 효성 등 4개 업체는 제안서 평가부적격으로 탈락했다.
입찰 평가는 공급시스템 구축 기술수준이 중요하게 작용해 기술과 가격을 분리 입찰하고, 제안서 평가결과 80점 이상 획득 업체를 대상으로 가격 입찰이 실시됐다.
충남 수소스테이션은 충남테크노파크에서 계획 중인 사업으로 충청남도 홍성군 홍북면 내포신도시 내 산업 단지 인근 주유소부지 옆 일원에 마련된다.
총 예산은 24억8,500만원이 책정돼 있으며, 수소충전시스템은 35/70MPa 겸용으로 설치된다.
시스템은 수소차(투싼ix 기준) 1대 충전시간 5분이내, 피크 시 6대/hr, 1일 40대 충전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낙찰 업체는 수소충전소 시스템의 무상 A/S를 최소 2년 이상 실시해야 하며, 수소시스템 관련 교육훈련과 기타 기술지원을 해야 한다.
계약이 완료되면 계약일로부터 10개월 안에 설치를 완료해야 한다.
충남TP 관계자에 따르면 충남도는 12월31일까지 계약을 완료할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충남 수소스테이션도 충전소 내 수소를 제조하는 방식이 아닌 외부에서 튜브트레일러로 공급하는 방식으로 알려졌다.
충남TP 관계자는 수소 공급과 관련해서는 차후 입찰을 통해 업체를 선정할 것이라고 밝혔다.
배종인 기자
2014-12-31
-
후성, 343억 특수가스 투자
후성이 반도체특수가스 생산 라인의 증설을 통해 늘어나는 반도체용 특수가스 수요에 적극 대처한다.
후성은 24일 신규 시설투자에 대한 공시를 실시했다. 이에 따르면 투자 대상은 반도체특수가스 생산라인으로 투자금액은 343억원규모다. 이는 자기자본대비 25.98%에 해당하는 금액이다.
투자기간은 2015년 1월1일부터 9월30까지다.
신규 시설투자와 관련된 품목은 C4F6(육불화부타디엔)과 WF6(육불화텅스텐)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증설은 반도체 미세화 공정에 따른 이들 특수가스의 수요 증대에 선제 대응하기 위한 것으로 알려졌다.
C4F6는 반도체공정용 에칭가스로 세계적으로 한국이 가장 큰 시장을 형성하고 있으며, 2개업체가 전세계 시장 과점 중인 고부가가치 제품이다. 현재 후성은 연 25톤 규모의 생산설비를 갖추고 있다.
WF6은 반도체 배선공정 증착가스로 열적 안정성이 우수하다. 이 제품 역시 세계적으로 한국이 가장 큰 시장을 형성하고 있으며 반도체 1개 라인 증설에 50∼90톤의 추가 수요가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집적도 향상과 웨이퍼 크기 확대에 따른 소요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후성 관계자는 “이번 시설증설을 통해 시장 수요의 증가와 지속적인 수급 불균형 현상에 대해 적극적으로 대처하겠다”며 “자금조달은 내부유보자금과 시설 차입금으로 이뤄질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이번 결정은 지속적인 수요증가에 따른 수급 불균형에 대한 고객사의 요청에 의해 해당사항을 결정하게 됐다”며 “앞으로의 반도체 특수가스 시장의 수요 증가세에 따라 적시적인 대응을 통해 시장 수요에 맞는 생산 및 매출을 이루고 이를 통해 사업을 확장하고자 한다”고 전했다.
한편 후성은 2013년 12월31일부로 특수가스 주요 품목인 NF3의 생산을 중단한 바 있다.
배종인 기자
2014-12-31
-
LSY산업가스, 본격 영업개시
배종인 기자
2014-12-25
-
산업가스시설 정밀 안전관리 강화
배종인 기자
2014-12-24
-
독성가스, 전주기 맞춤형 안전관리
배종인 기자
2014-12-24
-
천연가스 직접 연료 사용 연료극 소재 개발
배종인 기자
2014-12-23
-
2014년 가스운반차량 총 294대
배종인 기자
2014-12-20
-
2014년 산업가스 사고 총 12건
배종인 기자
2014-12-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