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L이 2022년 전세계 전기차용 배터리 업체별 판매 순위에서 1위를 차지했다.
SNE리서치는 전기차용 배터리 업체별 판매 실적은 690GWh이며, 배터리 팩 기준 시장 규모는 1,250억달러로 집계됐다고 최근 밝혔다.
이중 Top10 배터리 업체의 비중은 매출액 기준 71%, 용량 기준으로는 93%를 기록해 일부 업체에 대부분의 비중이 쏠린 것을 알수 있다.
특히, 중국 CATL이 매출액 기준 점유율 28%, 출하량 기준 39%를 차지하며 1위를 차지했으며, K-배터리는 매출액 기준으로 LGES가 점유율 12%로 2위, SDI가 점유율 6%로 4위, SK On이 점유율 5%로 5위에 올랐다.
테슬라를 제치고 글로벌 전기차 판매 1위를 기록한 BYD는 매출액 기준 점유율 10%, 출하량 기준 점유율 12%를 차지하며 3위로 올랐고, 강세를 이어갈 전망이다.
파나소닉은 테슬라향 배터리 셀 판매 형태의 매출 구조를 가져, 출하량 점유율은 7%로 4위이지만, 매출액 기준으로는 점유율 4%로 6위를 기록했다.
Top 10내 글로벌 배터리 회사는 한국3사와 일본 파나소닉 밖에 없으며, 그밖에는 모두 중국 회사로, 배터리 업체의 판도 역시 당분간 큰 변화는 보이지 않을 전망이다.
Top 10내에서도 업체별 매출 규모적인 측면에서 보면 차이가 많다. 출하량을 기준으로 보면, CATL이 39%의 점유율을 기록했으며, Top3 업체의 시장점유율이 66%에 달해 시장 지배력이 높아졌다.
4~6위 업체의 점유율은 매출액 기준 4~6%, 출하량 기준 5~7%로 Top3와 격차가 벌어졌으며, 7~10위 업체의 점유율은 매출액 및 출하량 기준 1~3%로 4~6위 업체와 차이가 발생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자동차 OEM과 배터리업체의 협력이 긴밀해 현재 자동차 OEM들이 배터리 내재화를 위해 자체 배터리 공장 증설 등 JV공장 설립을 진행, 해당 배터리공장들이 정상가동되기 전까지는 현재 구도가 크게 변동없이 유지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