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의료기기 생산규모가 인구 고령화와 건강보험 적용 확대로 성장하고 있는 치과용임플란트 수요에 힘입어 7조원대를 돌파한 것으로 나타났다.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이의경)는 2019년 국내 의료기기 생산실적이 7조2,794억원으로 전년대비 11.8% 증가했다고 20일 밝혔다. 수출은 전년대비 8.9% 늘어난 4조2,791억원을, 수입은 13.3% 증가한 4조8,490억원으로 국내 의료기기 시장규모는 7조8천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로써 의료기기 생산실적은 최근 5년간 해마다 평균 9.8% 성장세를 기록했으며 같은기간 시장규모 또한 연평균 10.3%씩 성장하고 있다.
의료기기 생산 품목별로는 치과용임플란트(1조3,621억원)가 부동의 1위를 기록한데 이어 △범용초음파영상진단장치(4,706억원) △성형용 필러(2,435억원) 순으로 나타났으며 상위 10개 품목이 전체 생산의 41.1%(2조 9,953억원)를 차지했다.
치과용임플란트는 3년 연속 생산 1위를 차지하였는데 이는 인구 고령화와 건강보험 적용 확대에 따른 것이다. 2018년 7월 치과용임플란트 건강보험이 확대되면서 만 65세 이상은 본인부담률이 30%로 낮아져 임플란트 시술이 2018년 약 66만건에서 2019년 약 84만건으로 대폭 증가했다.
또한 전년대비 생산액 증가율이 가장 높은 품목은 치과용전산화단층촬영장치(75.3%)와 치과용임플란트(26.9%) 순으로 나타났다.
의료기기 수출 품목 1위는 범용초음파영상진단장치(5,615억)가 3년 연속 차지했고, 치과용임플란트(3,640억원), 성형용 필러(2,549억원) 순으로 나타났다. 수출액 증가율 1위 품목은 치과용임플란트(33.9%)로 중국(7,152억원), 독일(2,763억원) 등에 수출이 증가한 것으로 분석됐다.
의료기기 수입 품목 1위는 3년 연속 ‘매일착용 소프트콘택트렌즈’(1,771억원)가 차지했다. 전년에 이어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다초점인공수정체(73.8%, 1,046억원)의 수입 증가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백내장 수술환자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등 사회 고령화에 따른 것이다.
코로나19로 주목을 받은 체외진단용 시약의 경우 2019년 생산액은 3,780억원, 수출액은 5,012억원으로 전년대비 각각 9.2%, 3.1% 감소했으며 수입액은 5,128억원으로 11% 증가했다. 식약처는 코로나19의 확산으로 인해 체외진단용 시약 생산·수출이 올해부터 본격적으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했다.
식약처 관계자는 “올해 코로나19 체외진단용 시약의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체외진단용 의료기기의 안전성 확보와 국제경쟁력 강화를 위해 체외진단의료기기법이 제정되는 등 체외진단용 시약 분야는 지속적으로 규모가 커질 것”이라며 “올해 의료기기산업법과 체외진단의료기기법 본격 시행을 통해 우수한 의료기기의 신속한 제품화를 지원하고 국민 건강 증진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