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선박 발주량이 급감한 가운데 중국이 자국 발주 물량을 기반으로 다시 세계 수주 1위 자리에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영국의 조선해운시황 분석기관 클락슨리서치에 따르면, 3월 전세계 선박 발주량은 전월대비 26% 증가한 72만CGT(21척)을 기록했다. 이 중 중국이 65만CGT(17척, 90%)를 수주하며 1위를 기록했으며 한국이 3만CGT(1척, 4%)로 2위, 일본이 2만9천CGT(2척, 4%)로 3위를 차지했다.
이는 3월 중국 수주 선박의 88%(56만CGT)가 유조선, 컨테이너선 위주의 자국 발주 물량에 기반한데 따른 것이다. 한국 수주 실적에는 현대중공업(LPG선 1척), 대우조선해양(VLCC 1척)의 3월 수주 물량이 미반영됐다.
이로써 올해 1분기 국가별 누계 수주는 중국 151만CGT(55척, 65%)로 1위를 기록했으며, 한국 36만CGT(13척, 16%), 일본 18만CGT(12척, 8%) 등으로 나타났다.
올 1분기 선박 발주량은 전년동기대비 71% 감소한 233만CGT를 기록했다. 지난 2018년 1분기 발주량(1,083만CGT), 2019년 1분기 발주량 810만CGT과 비교하면 가뭄 수준이다.
선종별 발주량을 살펴보면, S-Max급 유조선과 A-Max급 유조선은 전년동기대비 각각 150%(12만CGT→30만CGT, 10척), 70%(8만CGT→13만CGT, 5척) 증가한 반면, 초대형 유조선(VLCC, 13만CGT, 3척, -72%), 컨테이너선(51만CGT, 7척, -11%) 및 벌크선(7만CGT, 2척, -79%) 발주량은 감소했다.
한국 조선소의 주력 선종인 대형 LNG운반선(140,000㎥ 이상)의 경우 지난해 1분기에는 14척이 발주됐으나 올해는 아직까지 발주가 없는 상황이다. 향후 카타르, 모잠비크 등 향후 대규모 LNG 프로젝트 발주가 본격화되면 전세계 발주량 및 한국 수주량이 급속히 회복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3월 말 전세계 수주잔량은 2월말 대비 104만CGT(-1%) 감소한 7,330만CGT로 나타난 가운데, 중국은 11만CGT 소폭 증가한 반면 일본은 55만CGT(-5%), 한국은 44만CGT(-2%) 감소했다.
전년동월대비로는 일본 510만CGT(-33%), 중국은 428만CGT(-14%)로 10% 이상 감소한 반면, 한국은 111만CGT(-5%)로 소폭 감소했다.
국가별 수주잔량은 중국 2,650만CGT(36%)에 이어 한국 2,074만CGT(28%), 일본 1,049만CGT(14%) 순이다.
3월 전세계 선박 인도량은 162만CGT로 2월 말 대비 3만CGT(-2%) 감소한 가운데, 한국은 21만CGT(-31%), 일본은 7만CGT(-10%) 인도량이 감소한 반면 중국은 33만CGT(412%↑) 증가했다.
국가별 인도량은 일본 58만CGT(36%), 한국 47만CGT(29%), 중국 41만CGT(25%)이며 전년동기대비 중국(-41만CGT, -50%), 일본(-40만CGT, 41%↓), 한국(-27만CGT, 36%↓) 모두 인도량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