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11월까지 우리나라 선박 수주액이 4개월 연속 세계 1위를 지킨 것으로 나타났다.
영국의 조선해운시황 분석기관 클락슨리서치에 따르면, 11월까지의 누적 선박 수주량은 한국 712만CGT(168척, 36%), 중국 708만CGT(304척, 35%), 일본 257만CGT(153척, 13%), 이탈리아 114만CGT(15척, 6%) 순으로 집계됐다. 누계 수주액도 한국이 164억달러로, 2위인 중국(153억달러)을 누르고 4개월 연속 1위를 차지했다.
한국은 누계 수주량 중 LNG운반선 비중이 38%인 반면 중국과 일본은 벌크선 비중이 각각 33%, 47%로 가장 높아 주력 선종에서 큰 차이를 보였다.
11월 전세계 선박 발주량은 79만CGT(37척)을 기록했는데 이중 69%를 수주한 중국(54만CGT, 21척)이 1위를 기록했고, 15%를 수주한 일본(11만CGT, 5척), 8%를 수주한 한국(6만CGT, 3척)이 뒤를 이었다. 다만, 이번 집셰에는 삼성중공업이 지난 11월22일과 29일 각각 체결한 LNG운반선(15억달러 규모) 및 내빙 원유운반선 2척 계약이 포함되어 있지 않아 이를 포함할 경우 중국에 앞설 것으로 추정된다.
최근 3년간 1~11월 누계 발주량은 2017년 2,519만CGT, 2018년 3,172만CGT, 2019년 2,006만CGT를 기록, 올해 발주량이 전년동기대비 37%나 감소했다. 선종별로 살펴보면, S-Max급 유조선(75만CGT, 25척)은 전년동기대비 발주가 79% 증가했으며 A-Max급 유조선(98만CGT, 38척)도 32% 증가했다. 그러나 대형 LNG선(301만CGT, 35척, 30%↓), 초대형 유조선(90만CGT, 21척, 58%↓), 컨테이너선(207만CGT, 30척, 19%↓) 및 벌크선(173만CGT, 49척, 49%↓) 등의 발주량은 감소했다.
2019년 11월 말 전세계 수주잔량은 10월 말 대비 118만CGT(2%↓) 감소한 7,433만CGT로 나타난 가운데, 한국(△53만CGT), 중국(△39만CGT), 일본(△18만CGT) 모두 수주잔량이 감소했다. 국가별 수주잔량은 중국 2,629만CGT(35%)에 이어 한국 2,075만CGT(28%), 일본 1,176만CGT(16%) 순으로 집계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