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중소기업이 개발한 초음파 검사장비를 활용한 비파괴 검사기술이 국제표준으로 제정돼 국산장비 수출이 기대되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이승우 원장)은 우리나라가 국제표준화기구(ISO)에 제안한 ‘폴리에틸렌(PE) 소재 가스배관 연결부위의 결함 검사법’이 국제표준(ISO/TS 16943)으로 제정됐다고 9일 밝혔다.
이번 국제표준은 지하에 매설되는 폴리에틸렌(PE) 소재 가스배관의 전기융착 연결 부위를 초음파 장비로 검사하는 비파괴 검사법과 합격기준을 규정한 것이다.
이 검사법은 배관용 첨단 초음파 검사장비를 개발한 ㈜인디시스템(대표 신현재)과 한국가스안전공사가 지난 2001년부터 2003년까지 공동 연구를 통해 개발됐으며, 이후 4년간의 현장 운용을 통해 검사법의 신뢰성이 확인됐다.
우리나라는 전 세계적인 대형 폴리에틸렌 배관 수요 증가에 맞춰 초음파 비파괴 검사기술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2010년에 국제표준안으로 최초 제안(제안자:한국가스안전공사 길성희 부장)했으며, 9년에 걸친 ISO 기술위원회의 논의와 까다로운 검증을 거쳐 국제표준으로 확정됐다.
이번 국제표준의 제정은 해외 검사장비에 의존하는 국내 환경에서 국내 개발 장비를 기반으로 만들어졌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며, ㈜인디시스템과 같은 국내 중소업체의 국제적 인지도 향상 및 해외 시장을 확대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배관 초음파검사기술 시장은 2015년 기준으로 국내 151억원, 해외 1조5,463억원 규모다.
이승우 국가기술표준원장은 “선진국이 시장과 표준을 주도하고 있는 검사장비 분야에서 국내에서 개발한 중소기업 검사장비가 해외에 진출할 수 있는 기회를 갖는 성공사례”라면서, “국표원은 앞으로도 국내 업체가 해외 시장을 확대할 수 있도록 국내에서 개발된 시험·검사장비를 국제표준으로 제정하는 표준화 활동을 적극적으로 지원할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