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우수 나노기업들이 일본과의 무역마찰에도 불구하고 일본에서 열린 소재 전문 전시회에 출품해 기술력을 바탕으로 의미있는 수출계약 성과를 거뒀다.
나노융합산업연구조합(이사장 정칠희)은 지난 4일부터 6일까지 일본 도쿄 마쿠하리메쎄에서 열린 ‘2019 고기능신소재전시회’에 8개사 14개 부스 규모로 나노융합제품 T+2B((나노기술 상용화) 공동관을 마련해 출품했다.
고기능신소재전은 총 55개국, 1,340개사, 3,000여 부스규모로 개최된 세계 최대 규모 첨단소재부품 전시회로 올해 10회째를 맞이했다. 올해는 전자파차폐, 전자용 세라믹 등의 5G 통신소재와 셀룰로오스 바이오소재, 친환경 생분해성 바이오소재 등 새로운 고기능신소재가 대거 출품됐다.
나노조합은 산업통상자원부의 ‘T+2B활용 나노융합 R&BD촉진사업’의 일환으로 매년 국내 나노기업의 국내외 판로개척을 지원하기 위해 본 전시회에 참여하고 있다. 올해 공동관에는 △수양켐텍(불소실리콘이형제, 내지문방지제, 대전방지제 등) △엔젯(eNanoJet Coater/Printer) △코오롱글로텍(나노섬유) △도은(광학용 하드코팅액, 진공증착재료) △무림PNP(나노소재, 필름) △아모텍(열가소성 나노복합재, 방열 플라스틱) △나노와(실버 나노페이스트, 은 코팅 구리소재) △창성(금속분말, 도전성 페이스트, EMC 시트) 등이 참가했다.
이들 기업들은 이번에 일본을 비롯한 미국, 중국 등 새로운 해외 바이어를 발굴해 수출·협력계약논의 84억원, 유효구매상담 92건 등 120여건의 수출상담과 240억원 규모의 제품거래·협력 계약을 논의하는 등 가시적 성과를 거두었다.
대전방지제를 출품한 수양켐텍은 일본의 대표 소재부품기업인 히타치 화학, 미쓰비시 화학, JC 광학소재 등과 대전방지 코팅액 및 원소재의 납품과 관련해 120만달러 규모의 상담이 이뤄졌다.
플레이트형 실버 나노페이스트 소재를 출품한 나노와는 반도체 전도성 접착제용 소재 및 페이스트 잉크 관련 상담을 진행했다. 특히, 일본의 소재전문기업 교세라(KYOCERA)와 100만달러 규모의 거래협력을 논의하고 있다.
코오롱글로텍은 PET, 나일론, PP 등의 산업용 수지에 적용되는 나노섬유용 재료를 출품해 미국, 일본 등 해외기업들로부터 많은 관심을 받았다. 적극적인 샘플대응과 협의를 통해 성과창출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나노조합 한상록 전무이사는 “요즘 대일관계 악화로 인해 전시 기간 내 구매상담 및 방문자의 수가 경색될 것으로 우려됐으나 다행스럽게도 이런 우려가 무색할 정도로 많은 상담이 이루어진 것은 대한민국 나노기업들의 기술과 상용화 수준이 일본시장에서 통할 정도로 높다는 의미”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