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재부품·장비 경쟁력 강화를 위해 이차전지 소재, 탄소소재 등 4개 핵심품목에 대한 수요·공급기업 협력사업이 본격 추진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20일 율촌화학에서 개최된 ‘제2차 소재부품장비 경쟁력위원회’에서 4개 수요-공급기업간 협력사업을 최초로 승인하고 범부처차원에서 R&D 예산, 정책자금, 규제완화 등 다양한 패키지 지원에 나선다고 밝혔다.
이번에 승인된 협력사업은 △이차전지 핵심소재를 개발하여 연 3천톤 생산하는 협력사업 △수입의존도가 90% 이상인 반도체 장비용 부품 개발사업 △자동차·항공 등 핵심소재인 고품질 산업용 탄소소재 생산사업 △전량 수입중인 전자부품 핵심소재에 대한 기술개발 및 공급사업 등이다.
이번 사업은 지난 8월5일 정부가 발표한 ‘소재부품장비 경쟁력 강화 대책’에서 제시된 기업간 협력모델을 구체화한 것으로, 4개 품목 모두 해외에서 전량 또는 90% 이상 의존하고 있어, 기술력 확보가 시급한 상황이다. 이에 주로 공공 연구기관이 보유한 기초·원천기술을 기반으로, 수요기업과 공급기업이 함께 해당 소재·부품의 기술개발부터 상용화 테스트까지 연계해 일괄 추진하게 된다.
위원회는 패키지 지원을 통해 4개 협력사업이 차질없이 진행될 경우 향후 5년간 중소기업 투자 1,800억원, 연간 3,600억원 매출 및 추가고용 330명 창출과 함께, 품목에 따라 다르지만 해당 소재부품에 대한 국내수요의 최대 60% 수준을 안정적으로 생산하는 효과가 기대된다고 밝혔다.
이번 수요-공급기업간 협력사업을 시작으로 정부는 사업의 진행 상황을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성과를 철저히 점검해 나가는 한편, 협력사업의 성과를 제고하기 위해 협력사업 추진 단계별로 수요기업의 참여 수준을 높여 나간다는 계획이다.
또한 위원회는 이날 산학연 융합을 통한 소재부품·장비 기초·원천기술 조기확보와 성과 조기창출을 위해 4P(Portfolio, Pipeline, Process, Platform) 전략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를 위해 시행계획 마련, 관련 연구단 선정, 부처 연계 전용트랙 신설, 플랫폼 시범과제 선정 등 후속조치를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홍남기 부총리는 “2,732억원 규모의 추경사업 집행과 소재부품·장비특별법 개정 등 핵심품목의 항구적인 공급안정화를 위한 대책들이 차질없이 추진중”이라며 “일본의 수출제한조치는 한일 양국에 공히 피해를 초래함은 물론 글로벌 밸류체인을 현격히 약화시킬 것이기 때문에 원상회복을 위한 일측의 진전된 조치를 촉구한다”고 말했다.
성윤모 산업부 장관은 “소재부품장비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는 수요-공급기업 협력과 생태계 구축이 핵심”이라며 “이번에 승인된 4개 협력사업은 첫번째 사례로 매우 중요하고, 계획대로 추진되어 소기의 성과를 거둘수 있도록 범정부차원에서 패키지 지원하고, 지속적이고 철저하게 이행점검하여 성과를 낼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