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국내 전 수소 시설에 대한 안전점검을 완료하고, 수소 안전관리 종합대책을 수립하는 등 수소 안전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
정부와 관계기관(가스안전공사, 행정관청)은 올해 5월28일부터 7월312일까지 수소 전시설 총 797개 시설과 운송차량 569대에 대해 긴급 안전점검을 실시했다고 7일 밝혔다.
점검을 받을 수소 시설은 수소충전소 29개, R&D시설 9개, 수소 제조·충전·저장·사용시설 759개 등이다.
점검 내용은 수소품질검사, 점화원 관리, 안전장치 설치, 용기재검사 여부, 수소 누출 여부 등 안전관리전반에 대해 진행됐다.
점검 결과 대부분의 시설은 안전기준에 따라 적합하게 운영 중이나, 배관절연 불량, 접지불량, 안전교육미이수, 압력용기 재검사 누락 등 안전관리에 관한 일부 미흡한 부분이 있는 시설에 대해서는 가스안전공사가 재점검 후 개선 조치를 완료했다.
산업부 관계자는 “유사사고 재발방지를 위해 연내 ‘수소 밸류체인 전반의 안전관리 강화방안’을 수립하고, 국회 심의중인 ‘수소안전법’이 조속히 제정될 수 있도록 노력함으로써 수소 안전관리에 대한 법적 근거를 마련해 안전성을 기반으로 한 ‘수소경제 이행 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2019년 말 제정 될 수소 설비에 대한 ‘수소 안전관리 종합대책’은 미국, 일본, 유럽 등의 수소 안전관리 제도 현황을 분석해 글로벌 기준에 적합하도록 안전기준을 강화하고, 수소충전소를 포함해 수소의 생산·저장·운송·활용 등 수소 관련 시설 전반의 안전관리 강화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또한 고압가스법에 적용되지 않는 저압수소 설비의 안전기준, 검사제도 등 근거 마련을 위한 수소안전법 제정을 추진하고, 가스안전공사에 수소 전담부서를 설치운영하고, 장기적으로 수소안전관리 전문기구를 설립하는 방안도 검토되고 있다.
프로필은 기사 하단에 위의 사진과 함께 제공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