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소재부품 경쟁력 강화를 위해 세계 소재부품 강국과 협력 세미나 및 상담회가 집중적으로 열린다.
산업통상자원부는 글로벌 소재부품 강국인 프랑스, 미국, 이스라엘, 러시아와 소재·부품협력을 위해 10월28일부터 10월31일을 ‘소재부품 국제협력 WEEK’로 설정하고 각종 협력행사를 개최해 구체적인 협력사업을 발굴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첫 행사로 항공기부품, 화학, 기계 등 첨단 분야 고도기술의 본고장인 프랑스와의 파트너십을 위해 28일 대한상의 의원회의실에서 ‘한-불 소재부품장비 산업협력 세미나’가 열렸다. 이날 행사에서는 글로벌밸류체인(GVC) 재편과 한국 소재부품산업 대응, 한-불 소재부품 협력 유망 분야와 방향 등이 공유됐다.
이번 행사에 참석한 김용래 산업통상자원부 통상차관보는 축사를 통해 “4차 산업혁명에 따른 기술의 발전과 이에 따라 급변하고 있는 GVC 내에서 지속가능성과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핵심이 바로 소재부품의 기술 경쟁력”이라고 강조했다.
미국은 세계적인 제조업 강국이자 소재부품·장비 강국인 미국과의 반도체·디스플레이 등 산업 협력을 위해 29일 대한상의 의원회의실에서 ‘한-미 소재부품장비 산업협력 세미나’가 열린다.
이번 세미나에는 양국 반도체·디스플레이 업계가 참석하여 산업현황과 기술동향을 공유하고, 특히 상담회를 통해 양국 업계간 무역 확대와 기술협력 상담을 진행할 예정이다.
세계 최고 수준의 기초과학·원천기술 보유국인 러시와와의 기술·소재·부품 공동연구개발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29일 웨스틴조선호텔에서 ‘한-러 ICT·소재·부품산업 투자포럼’이 열린다. 포럼에서는 기술 투자 및 금융협력 세션을 통해 양국은 민간 공동 펀드 조성 등 금융지원 방안을 논의하고, 양국 기업 간 교류를 통해 ICT첨단기술·소재·부품산업 투자 확대 기반을 구축할 것으로 기대된다.
반도체 제조용 장비, 소프트웨어 등 High-tech 기술 강국인 이스라엘과는 30일 일산 킨텍스 제2전시장 303호에서 ‘한-이스라엘 소재부품 협력 세미나’가 개최된다. 세미나에서는 양국이 보유한 첨단기술 및 그간의 기술·투자 협력 우수사례를 소개하고, 1:1 강소기업 매칭 등을 통한 소재부품·장비 협력이 추진될 예정이다.
산업부 관계자는 “이번 ‘소재부품 국제협력 WEEK’를 계기로 주요 소재부품 강국과의 국제협력 활동을 통해 해외기술 도입, M&A, 인력 교류 등 국내 소재부품·장비 기업의 기술경쟁력이 더욱 강화될 것으로 기대된다”며 새로운 국가와의 협력체계 구축도 지속 추진할 예정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