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9월 선박 수주량이 중국에 이어 세계 2위를 기록했으나 누적 수주량은 세계 1위 자리를 지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국의 조선해운시황 분석기관 클락슨리서치에 따르면, 9월 전세계 선박 발주량은 114만CGT(44척)로 이중 한국은 28%(32만CGT, 9척)를 수주하며 65%를 차지한 중국(74만CGT, 30척)에 이어 2위를 기록했다. 일본은 8만CGT(5척)를 수주해 3위를 기록했다.
이는 중국의 높은 자국 발주물량 비중(53%)에 따른 것이다. 선종별로도 중국은 중형 벌크선(8만톤급), MR탱커(5만톤급)가 50% 이상인 반면, 한국은 초대형 유조선(VLCC), LNG선 등 고부가선 위주로 수주했다.
이에 한국의 누계 수주액은 126억7천만달러로, 126억5천만 달러를 기록한 중국을 근소한 차이로 제치고 2개월 연속 1위를 유지 중이다.
1~9월 누계 수주 실적은 중국이 598만CGT(253척, 39%), 한국 527만CGT(135척, 34%), 일본 196만CGT(109척, 13%), 이탈리아 114만CGT(15척, 7%) 순으로 나타났다. 다만, 3분기 누계 수주 실적은 한국 170만CGT(48척, 51%), 중국 135만CGT(60척, 41%), 일본 16만CGT(9척, 5%) 순으로 나타났다.
9월 전세계 발주량은 지난 8월 122만CGT(41척)에 비해 7% 감소했으며, 1~9월 누계 발주량은 전년대비 43% 감소한 1,539만CGT를 기록했다. 누계 발주량을 선종별로 살펴보면, S-Max급 유조선은 전년동기대비 64% 증가한 54만CGT, A-Max급 유조선도 57% 증가한 96만CGT를 기록했으나. 대형 LNG선(30%↓), 초대형 유조선(53%↓), 컨테이너선(12,000TEU급 이상, 78%↓) 등은 감소했다.
9월말 전세계 수주잔량은 전월대비 2% 감소한 7,577만CGT이며, 이중 일본이 505만CGT(28%↓)로 감소폭이 가장 크며, 뒤를 이어 중국 305만CGT(10%↓), 한국은 125만CGT(6%↓)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별 수주잔량은 중국 2,727만CGT(36%), 한국 2,024만CGT(27%), 일본 1,284만CGT(17%) 순으로 집계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