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 중소기업 경기가 부진을 지속할 것으로 예상됐다.
중소기업중앙회(회장 김기문)가 지난 9월16일부터 23일까지 3,150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2019년 10월 중소기업경기전망조사’를 실시한 결과, 10월 업황전망 경기전망지수(SBHI, Small Business Health Index, 중소기업건강도지수)는 86.3으로 전월보다 3.1p 상승했고 전년동월보다는 3.2p 하락했다.
제조업의 2019년 10월 경기전망은 전월보다 3.3p 상승하고 전년동월대비 3.7p 하락한 86.1로 조사됐다.
△비제조업은 전월보다 3.0p 상승하고 전년동월대비 2.9p 하락한 86.4로 나타났다.
△건설업은 전월대비 7.7p 상승, 전년동월대비 6.1p 상승했고, △서비스업은 전월대비 2.0p 상승, 전년동월대비 4.9p 하락했다.
제조업에서는 △‘인쇄 및 기록 매체 복제업’(76.0→95.0) △‘의복 의복액세서리 및 모피제품’(66.1→82.4) △‘가죽 가방 및 신발’(75.2→87.6) 등 17개 업종이 전월대비 상승한 반면 △‘음료’(103.3→91.6) △‘비금속 광물제품’(85.1→82.4) 등 5개 업종이 하락했다.
비제조업에서는 △건설업(83.6→91.3)이 하반기 이후 SOC 예산확대 등으로 상승했으며, △서비스업(83.4→85.4)은 명절이후 야외활동이 많아지고 다소 경기가 상승할 것으로 전망돼 △‘숙박 및 음식점업’(77.5→92.3) △‘사업 시설 관리 및 사업 지원 서비스업’(84.5→99.0) △‘수리 및 기타 개인 서비스업’(75.0→88.1) 등 7개 업종이 상승했다.
반면에 △‘출판 영상 방송 통신 및 정보 서비스업’(96.3→93.1), △‘교육 서비스업’(84.3→83.9) 등 3개 업종은 다소 하락했다.
전산업 전망을 살펴보면 △내수판매(82.7→85.7) △수출(86.4→91.9) △영업이익(80.5→82.6) △자금사정(79.2→80.6) 전망이 전월대비 상승했고, 역계열인 △고용수준(97.6→96.7) 전망은 감소해 모든 항목에서 개선될 것으로 전망됐으나 전년동월에 비해서는 고용수준을 제외하면 대체로 악화될 것으로 나타났다.
2019년 10월의 SBHI와 최근 3년간 동월 항목별 SBHI 평균치와 비교해본 결과 △제조업에서는 경기전반, 생산, 내수판매, 수출, 영업이익, 자금사정 전망은 물론 역계열인 설비·재고·고용 전망이 모두 이전 3년 평균치보다 악화됐다. △비제조업에서도 경기전반, 내수판매, 영업이익, 자금사정은 악화됐으나 수출과 고용전망은 개선됐다.
2019년 9월의 중소기업의 경영애로(복수응답) 응답을 살펴보면 △‘내수부진’(63.2%) △‘인건비 상승’(48.7%) △‘업체간 과당경쟁’(43.3%) △‘판매대금 회수지연’(21.5%) △‘원자재 가격상승’(20.1%) 순으로 나타났다.
2019년 1∼9월의 중소기업의 경영애로(복수응답)와 전년 같은 기간(2018년 1∼9월)과 비교해본 결과 △‘내수부진’ △‘업체간 과당경쟁’ △‘판매대금 회수지연’ △‘환율불안정’ 등의 항목은 악화됐으나, △‘인건비 상승’ △‘원자재 가격상승’ △‘인력확보 곤란’ 등은 다소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2019년 8월 중소제조업 평균가동률은 하계휴가철 등의 영향으로 전월보다 2.3%p 하락하고 전년동월보다 0.5%p 하락한 72.2%로 나타났다.
이중 소기업은 전월대비 2.2%p 하락한 69.2%, 중기업은 2.4%p 하락한 75.0%로 조사됐다. 계절조정지수는 전월(7월)보다 2.3%p 하락하고 전년동월(2018.8월)보다 0.5%p 하락한 72.7%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