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수소경제 활성화를 위해 수소승용차와 연료전지 보급을 연내 추가로 확대하고 수소 충전소 구축 및 기술개발 로드맵을 8월까지 마련한다.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성윤모)는 10일 오후 3시 정부서울청사에서 성윤모 장관과 조용성 에너지경제연구원장, 김창섭 에너지공단 이사장, 박중구 서울과학기술대 교수 등 에너지 위원회 위원 등이 참석한 가운데 제16차 에너지위원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회의에서는 제3차 에너지기본계획(안)에 대한 심의와 수소 기술로드맵 추진현황 및 계획, 수소경제 활성화 이행현황 2개 안건에 대한 보고가 이뤄졌다.
지난 1월에 발표된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 발표 이후 수소승용차 186대 보급, 도심충전소 허용(제1호 규제샌드박스), 수소충전소 SPC(HyNet) 설립, 연료전지 전용요금제 시행 등 가시적인 성과가 창출됐다.
이에 정부는 수소의 생산, 활용, 기술개발 등 전분야에 걸쳐 수소경제를 활성화하기 위해 올해 △수소승용차 보급 확대 △연료전지 추가 보급 △수소충전소 구축 방안 마련 △분산형 수소생산기지 구축사업 선정 △재생에너지 P2G(Power to Gas) △수소경제법 제정 △기술개발 로드맵 수립 등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우선 수소승용차는 올해 당초 목표 물량(4,000대)을 35%(1,467대) 상향해 연말까지 총 5,467대가 신규 보급된다. 이에 올해말까지 전년대비 7배 늘어난 총 6,358대의 수소승용차가 운행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또한, 올해 수소택시(10대, 8월) 및 수소버스(35대, 6월부터) 보급사업도 개시될 예정이다.
올해 15개의 발전용 연료전지 프로젝트(139.3MW) 및 6.5MW 규모의 가정·건물용 연료전지가 추가로 보급될 계획이다. 이에 올해말 연료전지 보급용량은 전년대비 45% 이상 확대될 전망이다.
수소차 사용자의 접근성과 충전편의성을 높이기 위해 수소 공급, 수소충전소 최적배치 등을 고려한 ‘수소충전소 구축 방안’이 8월까지 발표된다. 5월말에는 도시가스 배관망 인근에서 중·소규모 추출기를 설치해 1일 600kg의 수소를 생산할 수 있는 ‘분산형 수소생산기지 구축사업’ 대상지역(3개)이 선정돼 수소 운송이 어려운 지역에도 수소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전망이다.
탄소 배출이 없는 그린수소 생산을 위해 한국전력이 사업자를 맡아 ‘태양광·풍력 P2G+계통운영’, ‘MW급 수소생산 통합플랜트’ 등 재생에너지 연계 P2G 사업이 연내에 착수될 예정이다.
이밖에도 수소 경제 관련 정부-지자체-공공기관간 협력을 강화하고, 수소경제법을 연내 조속히 제정될 계획이다.
산업부, 기재부, 과기정통부, 환경부 등 6개 부처는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의 후속조치로 기술 혁신을 통한 수소경제 선도국가로의 도약을 위해, 수소 기술개발 로드맵을 8월말까지 수립·발표할 예정이다. 로드맵에는 수소 생산, 저장·운송, 활용(수송), 활용(발전), 안전·환경·인프라 등 5개 분야 관련 기술이 세분화돼 중·장기 기술 확보 전략이 마련된다.
산업부 관계자는 “앞으로 5월과 7월 두 차례의 산업계 간담회를 통해 산업계의 의견을 적극 수렴·반영하고, 현실적이고 구체적인 중·장기 기술개발 전략이 수립되도록 할 계획”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