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D프린팅이 시제품 제작에서 벗어나 양산화 공정에 적용되고 있는 가운데 3D시스템즈가 고품질의 부품을 지속 생산할 수 있는 양산 플랫폼을 중점 소개한다.
세계적인 3D프린팅 솔루션 기업 3D시스템즈는 오는 3월12일부터 16일까지 일산 킨텍스에서 개최되는 ‘인터몰드 코리아 2019’ 전시회에 부스를 마련하고 업계 최초로 확장 가능한 완전 통합형 3D프린팅 플랫폼인 ‘Figure4™’와 정밀하면서 작은 부품을 빠르게 프린팅 할 수 있는 산업용 데스크탑 DLP 프린터 ‘FabPro1000’를 출품한다고 밝혔다.
3D프린팅이 양산 공정에 적용되기 위해선 소재 다양화, 속도 개선, 출력 크기 증대, 자동화 등에 대한 개발이 필요하다. 3D시스템즈가 이를 위해 개발한 ‘Figure 4’는 레이어링 없는 연속출력방식을 채택해 기존 3D프린터 대비 최대 15배나 빠른 속도를 자랑하는 비접촉식 연속적층 DLP( Non-contact membrane DLP) 방식 3D프린터다.
특히 고객의 니즈에 따라 △고속 다품종 소량 생산을 위한 독립형 프린터 ‘Standalone’ △생산량 증가에 따라 발전하는 모듈형 시스템 ‘Modular’ △다품종 대량 생산이 가능한 자동화 통합형 시스템인 ‘Production’ 등 자동 생산 모듈 시스템 구축이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Figure 4는 개별 모듈로 초고속 적층 제조 기술을 구현하여 조립 라인에서도 최종 완제품의 세척, 건조 및 경화 공정을 포함해 자동 조립 라인의 보조 공정에 사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고객의 공구 세공 비용과 시간을 단축시켜 개발 비용을 절감하고 생산성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Figure 4는 CAD 데이터를 그대로 재현한 부품을 자동으로 빠르게 반복 생산할 수 있다.
소재 다양성과 경제성 확보를 위해 3D시스템즈의 소재 디자인 센터는 Figure 4에 사용되는 생산 등급 소재 중 기존 성형 제품 및 우레탄 주조를 실제로 대체할 수 있도록 개발했다. 또한 3D시스템즈의 소프트웨어인 ‘3D Sprint™’를 사용해 워크플로를 개선한 Figure 4 소프트웨어 솔루션은 단일 인터페이스에서 파일 준비, 편집, 프린팅 및 관리까지 가능하다. 3D Sprint 사용 고객은 고가의 타사 소프트웨어 라이센스를 별도 구매할 필요가 없으며, 서포트를 효율적으로 자동 생성하여 재료 사용량을 크게 감소시켜 주기 때문에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다.
3D시스템즈는 한국에 우선 독립형 프린터인 Standalone을 출시했는데, 이 제품은 시간당 103mm에 달하는 빠른 출력 속도를 자랑한다. 적용 소재는 자동차, 전기 전자, 정밀 소형 기계 부품 등 정교한 품질의 기능성 부품 제작과 강성을 지닌 부품 제작이 가능한 플라스틱 계열 소재와 탄성 소재, 보석 가공과 기타 산업용 캐스팅 제작이 가능한 소재 등 다양하다.
백소령 3D시스템즈코리아 본부장은 “Figure 4는 생산성, 내구성 및 반복 생산성을 높이고 총 운영비용(TCO)을 낮춰 다품종 대량 3D프린팅 생산을 가능하게 한다”며 “또한 다양한 산업용 등급의 소재를 사용해 정교한 부품 제작이 가능하며 빠른 속도와 자동화 생산 환경으로 제조업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한다”고 밝혔다.
한편 3D시스템즈코리아는 한국기술, 씨이피테크, 세중정보기술, 한국아카이브 등 협력사와 함께 킨텍스 제1전시장 1홀 M227에 부스를 마련하고 공정혁신 3D프린팅 솔루션을 소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