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훈 한국디스플레이산업협회 회장이 ‘디스플레이 혁신공정 플랫폼 구축사업’ 예타 통과가 의미 있는 성과라며 미래 시장 주도권 선점을 위한 차별화 기술 확보와 인재 육성을 강조했다.
한국디스플레이산업협회(회장 이동훈)는 18일 쉐라톤 서울 팔래스 강남 호텔에서 협회 임직원과 회원사 1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2019년 정기총회를 개최했다.
이날 행사에서는 최근 경쟁국(중국·대만)의 대형 LCD 신규공장 가동에 따른 가격하락, 중국의 중소형 OLED 투자확대에 따른 글로벌 OLED 경쟁 심화 등으로 2019년 우리나라 디스플레이 산업 환경이 더 어려워질 수 있다는 위기 속에 현 상황을 극복하고 향후에도 지속 가능한 경쟁력 우위확보를 위해 ‘글로벌 혁신기반 구축 및 핵심기술개발로 디스플레이산업의 세계 Hub화’라는 비전과 함께 7대 핵심전략 및 주요 사업계획을 확정했다.
디스플레이협회는 불확실한 대내외 여건 속에서도 회원사간 유기적 협력과 정부의 지원을 통해 디스플레이 산업이 더 큰 성장과 발전을 지속할 수 있도록 2019년 총회에서 확정한 7대 핵심전략 중심으로 세부사업계획을 적극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디스플레이협회의 2019년 비전은 ‘글로벌 혁신기반 구축 및 핵심기술개발로 디스플레이산업의 세계 Hub화’로 정했으며, 7대 전략으로는 △디스플레이 글로벌 R&D 허브센터 구축·지원 △디스플레이 제조혁신 2025 추진 △디스플레이 핵심기술의 효율적 보호지원 △디스플레이산업 진흥·규제 혁신 지원 강화 △IMID 전시회·학술대회 단일화, 글로벌화 △국제협력사업 전략적 지원 △회원사간 협력·교류 활동 지원으로 정했다.
이날 이동훈 협회장은 인사말을 통해 “선진국의 성장둔화와 보호무역주의의 확산, 미중 미역전쟁 등 시장의 불확실성과 중국업체들의 신규라인 가동 확대로 글로벌 시장선점 경쟁이 더욱 치열해질 것”이라고 말하면서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경쟁국 대비 차별화 기술을 확보하고 전문성을 가진 창조적 인재 육성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또한 “지난해 ‘디스플레이 혁신공정 플랫폼 구축사업(2019년∼2025년)’에 대한 예비타당성 조사를 잘 마무리하고 2019년도부터 본격적으로 사업을 추진할 수 있도록 협조해준 정부, 산학연 관계자의 노고를 치하한다”며 “동 사업을 통해 확보된 정부R&D예산을 잘 활용하여 원천기술 확보, 우수 인재 양성, 중소기업의 신기술 검증 및 평가, 개방형 글로벌 R&D 허브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관련 산학연관이 함께 힘을 합쳐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뿐만 아니라 최근 디스플레이 시장이 중국의 Capa.확대로 어려움이 예상되고 있지만 ‘8K 및 초대형제품’, ‘폴더블 스마트폰 등 새로운 폼팩트 혁신제품 출시’, ‘5G 통신인프라 확대’ 등의 더 많은 기회요인들도 있으므로 회원사간 열린 마음으로 협력하고 협업해 한국디스플레이 산업의 새로운 도약과 발전의 기회를 만들어 나가자고 말했다.
프로필은 기사 하단에 위의 사진과 함께 제공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