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수소산업협회(회장 장봉재)가 수소충전소에 적합한 실행 방법을 제안했다.
수소협회는 ‘최적의 지자체 수소충전소 보급방식’이라는 제안 방안을 각 지자체 수소충전소 보급 담당자에게 전달하고 새해부터 복합충전소 보급에 적극 협력한다고 밝혔다.
이번 협력을 통해 정부에서 발표한 2022년 수소충전소 310기 보급 목표 달성과 2019년부터 수소충전소 구축 계획을 가진 지자체가 충전소 구축 시에 겪는 난제들을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 한다.
보급방안 자료에는 협회가 1년간 지자체 간담회 및 LPG, CNG, 주유소 사업자 570여명을 대상으로 개최한 설명회를 바탕으로 수렴된 의견과 개선방안이 반영한 결과다.
단독 수소충전소가 아닌 △부지확보 용이 △운영비 절감 △구축비용 절감 △주민수용성 해소 △운영노하우 활용 등에서 탁월한 효과가 있는 복합충전소형태로 보급하는 것이다.
이는 현재 진행하고 있는 정부-지자체 수소충전소 보급 사업에 서 일부를 보완하는 것으로 환경부 15억원 지원에 지자체 5억원 출자하여 수소충전소 복합형태로 구축하고, 나머지 지자체 지원금 10억원은 수소전기차 지원보조금으로 전용하여 복합충전소 1기에 수소전기차 80대를 동시에 보급한다는 것이다.
또한 현재 지자체별 수소충전소 보급을 위한 입찰 공고 시 수소충전소 설비만 입찰 공고하는데, 이를 수소충전소 설비+부지를 함께 입찰공고 한다는 내용이다.
설비 평가+부지 및 사업자 적합성을 함께 평가 실시할 경우, 부지선정의 특혜시비가 해결될 것으로 판단된다.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지자체별 수소충전소 보급 담당자 약 90여명에게 제안 내용을 전달했다고 한다.
수소협회 관계자는 “지자체와의 협력을 통해 기존 LPG, CNG, 주유소 사업자들의 강한 복합충전소 보급 요구에 부응하도록 지속적인 부지확보와 기술, 행정지원을 통해 정부의 수소충전소 보급에 차질이 생기지 않도록 할 것”이라고 전했다.
프로필은 기사 하단에 위의 사진과 함께 제공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