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D프린팅산업 발전에 필수적인 소재 및 출력물에 대한 신뢰성을 지원하는 센터가 울산에 들어선다.
울산시는 산업통상자원부가 공모한 ‘2019년 지역산업 거점 신규 사업’에 ‘3D프린팅 소재 상용화 품질평가 체계구축 사업’을 응모하여 지난 4월20일 최종 선정됐다고 최근 밝혔다.
이 사업은 2019년부터 2023년까지 5년간 총 230억원(국비 100억원)이 투입되며, 울산테크노파크가 사업 주관을 맡고, 울산정보산업진흥원, 한국건설생활환경연구원, 울산대학교 등이 참여한다.
주요 사업 내용은 △3D프린팅 품질평가센터 건립 △장비구축 △품질평가 규격개발 △기업지원 등이다.
‘3D 프린팅 품질평가센터’는 울산테크노산업단지 내 부지 3,220㎡, 건축연면적 3,967㎡ 규모로 건립된다. 이곳에서는 3D프린팅 기술의 수요산업 적용 확산을 위해 △소재, 물성, 환경성, 안전성 등 규격개발 및 표준화 기준 마련 △품질평가 장비 구축 △분말소재 실증화 △품질평가 분석 등을 추진한다.
울산시는 이번 사업을 통해 온산국가 산단을 중심으로 3D프린팅 소재(화학·비철금속) 중소기업들이 지역 범용 소재산업을 3D프린팅용 첨단 신소재로 국산 상용화 개발을 촉진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울산시 관계자는 “현재 국산 소재·장비의 성능평가 및 환경성·안전성 검증 체계가 미흡해, 국산제품의 신뢰성 저하로 이어지고 있어 이번 사업을 통해 국산화가 촉진될 것”이라며 “울산테크노산단에 3D프린팅 품질평가센터와 더불어 기 건립중인 조선·에너지부품 3D프린팅 제조공정연구센터, 3D프린팅 벤처집적지식산업센터, 대선 공약인 국립3D프린팅연구원 설립 등을 통해 울산이 대한민국 3D프린팅산업의 허브도시 메카로 자리매김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