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필립스, 中企와 LED사업 협력 강화
글로벌 조명기업 필립스가 최근 국내 중소기업들에 LED 핵심부품과 생산 시스템을 지원하며 ‘공생’에 나서고 있다.
필립스전자(대표 김태영)는 광주에 위치한 조명 업체 ㈜나노팩(대표 이운호)과 원주에 위치한 조명업체 ㈜에이치제이(대표: 박선호)와 LED도로조명의 생산 및 판매에 관한 기술적 지원을 내용으로 하는 양해각서를 체결했다고 24일 밝혔다.
이에 필립스는 나노팩과 에이치제이에 LED모듈을 비롯한 핵심부품을 지원하며 이달 중 시험운영을 거쳐 LED 도로조명 생산에 나설 양사의 공장에 필립스의 품질관리 시스템을 적용할 예정이다.
나노팩과 에이치제이는 기술력을 갖추고 LED가로등 등을 생산하고 있는 업체로서 이번 필립스와의 협력으로 기술적인 지원과 노하우를 전수받아 글로벌 수준의 경쟁력을 확보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이번 파트너십을 통해 제작되는 LED가로등은 기존의 메탈 헬라이드 가로등과 교체하면 전력소모량을 50%이상 절감할 수 있고, 수명이 5만 시간으로 하루에 11시간씩 사용 시 12년 이상을 교체 없이 사용할 수 있어 운영비를 절감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눈부심 없는 고품질의 백색광을 제공하여 교통사고의 발생률과 빛 공해를 줄인다.
실제로 이 제품을 서울시 서소문로와 오산시 시청청사 앞에 시범 적용한 결과, 노면 위의 사물 식별력을 뜻하는 평균노면휘도 값이 상승해 도로 위의 운전자에게 보다 선명한 시야를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필립스 조명사업부 김윤영 부사장은 “LED패키징과 방열기술 및 조광기술 부분에서 품질이 우수하다고 평가 받고 있는 두 업체와 파트너십을 체결하게 되어 기쁘다”라며, “향후 국내기술력이 뛰어난 업체들과의 전략적 제휴를 확대해 국내 조명상황에 맞는 우수한 제품을 개발하고, 보다 넓은 범위의 공공영역에 보급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신근순 기자
2011-10-24
-
포스코, LED TV용 방열강판 세계 최초 양산
포스코가 세계 최초로 LED TV용 방열 강판 개발에 성공해 양산에 들어갔다.
포스코는 최근 광양제철소에서 방열 강판인 ‘POSCOTE-RH(POSCO Smart COating TEchnology-Radiating Heat)’ 양산을 시작했으며, 내달 말 LG디스플레이 등 국내 가전업체에 공급한다고 23일 밝혔다.
포스코가 개발한 POSCOTE-RH는 LED TV의 내부 패널 소재로서 방열 수지용액을 머리카락 50분의 1 두께로 표면에 정밀하게 코팅해 방열 성능을 대폭 높였다.
LED TV는 LED램프를 광원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많은 열을 방출하게 되는데 기존 LED TV는 발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주로 알루미늄 판재를 사용하고 있지만 강판에 비해 가격이 비쌌다.
POSCOTE-RH는 알루미늄 판재에 비해 가격이 10~15% 가량 싸고, 방열패드를 부착하거나 방열부품을 장착하는 데 들어가는 추가비용을 줄일 수 있어 품질과 가격경쟁력을 모두 갖춘 제품이다.
포스코는 지난해 기술 개발에 돌입해 1년 6개월 만에 철강 고유의 높은 가공성과 강성을 최적으로 유지하면서, 열전도성과 방열성을 모두 높일 수 있는 특수 방열수지용액 개발에 성공했다. 이 용액과 코팅 강판에 대한 기술은 지난 7월 특허권을 획득했다.
포스코는 POSCOTE-RH를 영상가전기기 외에도 방열이 중요한 타 가전부품소재에 적용할 수 있도록 나설 계획이다.
한편 포스코는 지난 8월 세계 최초로 자외선을 이용한 고광택 도금강판을 개발하는 등 지속적으로 고객사의 니즈를 반영한 표면처리강판 제품을 생산해 우리나라 가전제품의 글로벌 경쟁력 확보에 기여하고 있다.
신근순 기자
2011-10-24
-
IT 코리아 이끌 ‘IT미래비전기획단’ 출범
대한민국이 10년 후 글로벌 IT 리더로 발돋움하기 위한 준비 작업이 착수됐다.
지경부, 방통위, 행안부, 문화부 등 4개 부처는 지난 20일 서울 누리꿈스퀘어에서 ‘IT미래비전기획단’ 출범식을 갖고 우리나라가 2020년 글로벌 IT 최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한 IT 청사진 수립 계획을 발표했다.
‘IT미래비전기획단’은 IT 관련 4개 부처와 산하기관으로 구성되며 청와대 IT특보가 총괄하는 TF팀이다.
출범식에서 정보통신정책연구원(KISDI)와 전자통신연구원(ETRI)는 2020년 IT 메가트렌드에 대한 중간 연구결과를 정치, 경제, 사회, 기술 등 분야별로 나눠 제시했다.
먼저, 정치·행정 분야는 지금의 영토개념을 벗어나 개인, 국가, NGO 등 다양한 주체들이 상호 작용하는 네트워크 정치가 본격화된다. 스마트-소셜미디어를 통한 개인 중심의 일상정치도 부상할 것으로 전망됐다.
둘째, 경제·경영 측면에서는 소비행위 자체에 사회적 가치가 포함되어 생산과정의 도덕성이 중요한 이슈로 제기된다. 스스로 생산하면서 동시에 소비하는 프로슈밍(Prosuming)이 확대되고, 이와 결합된 대량맞춤화(mass-customization) 현상도 가속화된다.
셋째, 사회·문화 측면에서는 가족, 학교, 직장 등 전통적 소속집단 기반의 관계보다 스마트 미디어를 통한 접속기반의 온라인 사회관계가 증대된다. 과거 공동체에서 제공했던 배려(care)가 서비스 상품화됨으로써 감성노동에 종사하는 인구가 크게 늘어난다.
마지막으로, 과학·기술 분야에서는 의식과 기술이 하나가 되는 의식기술의 시대가 열린다. 특히, 환경과 관련된 에너지·자원 고갈에 대비한 첨단기술의 발전이 전망되는 등 기후변화 대응, 융합화, 개방화라는 큰 물결이 지속된다.
결론적으로 2020년 미래에는 글로벌 개방형 생태계 확장, 융합화와 다양화 확산, 개인의 중요성 증대, 감성과 공감의 시대 도래, 사회적 가치의 반영, 녹색성장 및 개방화 등이 더욱 중요해질 것으로 정리했다.
오해석 IT특보는 2020년 IT 미래비전 수립을 위한 향후 추진계획을 발표하는 자리에서, “우리가 그 동안의 IT 성과를 넘어 2020년 글로벌 IT리더로 도약하기 위해서는 다각적인 미래전망을 바탕으로 IT 미래의 청사진을 선제적으로 준비해야 한다”고 언급하고 “스마트 혁명 이후에 IT종사자들이 함께 공유할 미래비전을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2020년 IT미래비전 수립에 범부처, 민관 모두가 능동적으로 참여하는 만큼, 이번 출범식이 IT Korea의 미래는 밝다는 사실을 온 국민에 알리는 좋은 계기가 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IT 미래비전 수립은 IT특보 총괄 아래에 IT 관련 민관 전문가가 모두 참여하는 형태로 추진되며, 국민적 공감대를 형성하기 위해 학술대회, 대토론회 등도 진행될 예정이다.
IT 미래비전 수립은 금년 연말에 완료하여 내년 초에 범부처 공동으로 발표한다는 계획이다.
이일주 기자
2011-10-23
-
전기硏 연구진, UST 최우수상 수상
엄태준 기자
2011-10-21
-
LGD, 3분기 ‘사상 최대’ 적자
김성준 기자
2011-10-20
-
특허전쟁, 기업들의 대응 전략은?
이일주 기자
2011-10-20
-
인피니언, 박막 웨이퍼 기술로 전력 반도체 생산
이일주 기자
2011-10-14
-
전기기술도 ‘韓流’ 흐른다
김성준 기자
2011-10-14
-
LS전선, 신흥시장 개척 ‘파란불’
LS전선(대표 구자열)이 카자흐스탄과 파라과이에서 중요 전력 프로젝트를 잇달아 수주해 남미와 독립국가연합(CIS) 등 신규 시장 진출에 파란불이 켜졌다.
LS전선은 카자흐스탄 국영전력기업 삼룩에너지(Samruk Energy)로부터 2,400만 달러(한화 약 280억원), 파라과이 전력청(Administracion Nacional de Electricidad, ANDE)으로부터 910만 달러(한화 약 100억원)규모의 전력 케이블 납품 사업을 수주했다고 12일 밝혔다.
카자흐스탄 프로젝트는 수도 알마티(Almaty) 지역 산업 발달과 도시 개발로 인한 전력 수요 부족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LS전선은 내년 8월까지 127km의 송전용 220kV급 초고압 케이블과 접속재 등의 제품 공급 및 기술 자문 등을 진행한다.
또한 파라과이 산 로렌소(San Lorenzo), 과람바레(Guarambare) 등에 총 1,100km의 220kV급 증용량(增容量) 송전 케이블(Gap Conductor, 용어설명 참조)과 140km의 광섬유 복합가공지선(OPGW, Optical ground Wire, 용어설명 참조) 납품과 설치 지원을 올해 말까지 수행한다.
LS전선 관계자는 “이번 사업 수주에서 3M, 넥상스 등 세계 유수의 업체들과 경쟁에서 승리해 타 기업들보다 우수한 기술력과 시공능력 등을 갖고 있음을 인정받았다”며 “독립국가연합과 남미에서 국내 전선 업체 최초로 수주에 성공해 높은 성장 가능성을 지니고 있는 해당 시장에서 사업 진행에 유리한 위치를 점하게 됐다”고 밝혔다.
신근순 기자
2011-10-12
-
삼성LED, ‘LED램프’ 국내 최초 탄소성적표지 인증
고봉길 기자
2011-10-07
-
필립스, 오산市와 LED조명사업 협력
신근순 기자
2011-10-06
-
산업교육硏, 인쇄전자 핵심기술·시장전망 세미나:
산업교육연구소(소장 김성의)는 오는 25일, 26일 양일간 ‘인쇄전자사업 및 업종별 기술혁신과 핵심기술·시장전망 세미나’를 서울 여의도 사학연금회관에서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세미나는 인쇄전자사업 진입에 필요한 회로설계/기능성잉크/유연기판/공정/제조장비/특허 등 업종별을 중심으로 인쇄전자 산업을 점검해 보고 기술흐름을 짚어보는 동시에 여러 참가자들과 교류를 갖기 위해 마련됐다.
25일 세미나에서는 △인쇄전자 및 업종별 사업의 시장성 분석과 인쇄공정 핵심기술 및 개발사례 △인쇄전자의 국내외 사업실태와 업종별 기술현황 및 응용사례 △투명소자용 인쇄전자 잉크의 핵심기술 및 주요이슈 △롤투롤 그라비어 오프셋 인쇄기의 회로설계 개발 및 주요이슈 △인쇄전자용 나노 잉크의 핵심기술/시장전망 및 기술이슈 △전자빔을 이용한 나노입자 제조기술 등의 주제가 발표된다.
26일에는 △Prospect and Technology of Electronic (Conductor) Ink for Printed Electronics △오프셋 인쇄공정의 고정밀 패턴 툴(패턴롤, 클리셰) 제작 핵심기술 및 기술이슈 △증착공정을 대체하는 나노박막 코팅장비 핵심기술/시장전망 및 기술이슈 △인쇄전자용 유연기판(플라스틱기판) 핵심기술/시장전망 및 기술이슈 △식각/노광공정을 대체하는 롤투롤 프린팅장비 기술개발사례/응용분야 및 사업전망 △인쇄전자사업 관련 국내외 특허동향과 분쟁사례 및 국내업체의 대응방안 등의 주제가 발표된다.
산업교육연구소 관계자는 “이번 세미나가 인쇄전자사업 관련 업종별 미래 대응전략과 방향제시를 위한 소중한 자리가 될 수 있도록 인쇄전자사업 관계자 여러분들의 많은 참여와 격려를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기타 자세한 사항은 웹사이트(www.kiei.com) 또는 전화(02-2025-1333~7)로 문의하면 된다.
신근순 기자
2011-10-06
-
‘D/P 위기, 하나되어 넘는다’
신근순 기자
2011-10-05
-
전기硏, ‘미션중심’으로 재정비
김성준 기자
2011-10-05
-
전기硏, 저압 주택용 차단기 시험기술 무료교육
고봉길 기자
2011-10-05
- 많이 본 뉴스
-
-
1
“韓 AI 투자 中 1/3 불과, AI 강국 4년 골든 타임”
-
2
2024년 철강 31社 경영실적
-
3
1~3월 전기車 배터리 사용량, 전년比 39%↑
-
4
LG화학, 제철소 CO2 포집 CO·H2 전환 추진
-
5
1~3월 글로벌 전기車 인도량, 전년比 35%↑
-
6
제이앤티씨, TGV 유리기판 신사업 본격 추진
-
7
탄소산업진흥원, “기관장 업추비 4800만원 사실 아냐, 공시 단위 입력 오류”
-
8
한화방산 3社, 중남미 방산 新시장 개척
-
9
국토부, ’28년 상용화 수소열차 실증 착수
-
10
화학연, 수중 로봇용 인공 근육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