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신소재경제신문·재료연구소 공동기획 소재기술백서 2017(21)-제3장 AI용 반도체 소재-반도체 재료기반 시냅스 소자 기술(2)-집필 최창환(한양대)
- 시냅스 소자 연구, 다양한 소재 적용 활발[다양한 재료 기반의 시냅스 소자 연구개발 동향]■ 나노 이온 저항 변화 메모리 기반 시냅스 소자저항 변화를 얻기 ...
- 2020-02-12
-
- 신소재경제신문·재료연구소 공동기획 소재기술백서 2017(20)-제3장 AI용 반도체 소재-반도체 재료기반 시냅스 소자 기술(1)-집필 최창환(한양대)
- 뉴로모픽 소자 활용, 4차 산업혁명 가속화[병렬 방식의 컴퓨팅 구조 구현을 위한 하드웨어]■ 시냅스 특성을 위한 뉴로모픽 소자현재의 컴퓨터는 폰노이만 방...
- 2020-02-12
-
- 유료[2020년 신년특집]원자재시장 전망
-
- 2020-01-10
-
- 유료[2020년 신년특집]석유화학시장 전망
-
- 2020-01-10
-
- 유료[2020년 신년특집]조선시장 전망
-
- 2020-01-10
-
- 유료[2020년 신년특집]반도체시장 전망
-
- 2020-01-10
-
- [2020년 신년특집]2020년 경기전망
- 경제성장률 2.3%, ‘빨간불’산업연구원은 최근 2020년 경제·산업 전망을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2020년 경제성장률은 2.3%로 저성장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 2020-01-10
-
- [2020년 신년특집]2019년 수소 사업성과 및 2020년 전망
-
2020년 수소경제 사회 기반 다진다
■ 2019년 최대의 성과, 로드맵 마련
지난 2019년 수소 경제 최대의 성과라고 한다면 로드맵을 마련해 체계적 추진에 나...
- 2020-01-09
-
- 신소재경제신문·재료연구소 공동기획 소재기술백서 2017(19)-제3장 AI용 반도체 소재-인공지능 반도체 소재 기술(3)-집필 박병국(서울대)
- 2세대 AI반도체 성공, 新소재 관건■ 2세대 인공지능 반도체1) 국내 동향생물학적 신경망과 유사한 집적도를 갖는 2세대 인공지능 반도체를 위해서는 생물학적 ...
- 2019-09-17
-
- 신소재경제신문·재료연구소 공동기획 소재기술백서 2017(18)-제3장 AI용 반도체 소재-인공지능 반도체 소재 기술(2)-집필 박병국(서울대)
- AI 단일칩, 반도체 패러다임 바꾼다■ 기술의 중요성지금 전 세계는 4차 산업혁명이라는 변화의 물결을 맞이하고 있다. 4차 산업혁명은 인공지능, 로봇공학, 사...
- 2019-09-10
-
- 신소재경제신문·재료연구소 공동기획 소재기술백서 2017(17)-제3장 AI용 반도체 소재-인공지능 반도체 소재 기술(1)-집필 박병국(서울대)
- 인공신경망 구현 전용 하드웨어 절실■ 기술의 정의 및 분류1) 인공지능과 인공신경망존 매카시(John McCarthy)가 1956년 처음 인공지능이라는 용어를 사용한 이래 ...
- 2019-08-28
-
- 신소재경제신문·재료연구소 공동기획 소재기술백서 2017(16)-제3장 AI용 반도체 소재-실리콘기반 초고집적 반도체(3)-집필 이병훈(GIST)
- 신개념 소자기술, 집중적 R&D 투자 必■ 초고집적 반도체 집적기술5nm 기술에는 적용될 가능성이 높은 소자구조는 3차원 나노와이어소자가 될 것으로 예측된다...
- 2019-08-27
-
- 신소재경제신문·재료연구소 공동기획 소재기술백서 2017(15)-제3장 AI용 반도체 소재-실리콘기반 초고집적 반도체(2)-집필 이병훈(GIST)
- 미세화 한계, 미세화 이후 공정연구 돌입■ 초고집적 반도체 소재 기술반도체분야는 신소재 채택측면에서는 매우 보수적인 입장을 견지해왔다. 실리콘, 질소,...
- 2019-08-23
-
- 신소재경제신문·재료연구소 공동기획 소재기술백서 2017(14)-제3장 AI용 반도체 소재-실리콘기반 초고집적 반도체(1)-집필 이병훈(GIST)
- 메모리 초격차 유지, 시스템반도체 기술 개발 시급■ 기술개요초고집적 반도체 기술을 굳이 종합적인 반도체기술과 구분하여 정의하자면, 기술경쟁의 최첨단...
- 2019-07-26
-
- 신소재경제신문·재료연구소 공동기획 소재기술백서 2017(13)-제2장 3D 프린팅 소재-복합재료 3D프린팅(2)-집필 김경태(재료연구소)
- 고부가 창출 소재기술 확보 관건■ 복합재료 3D프린팅 공정기술1) 국내 동향국내에서는 3D프린팅 소재시장에서 향후 큰 성장이 예상되는 금속이나 세라믹 소재...
- 2019-07-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