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3분기 부품소재 흑자 641억불…사상최대
우리나라 올해 1~3분기 부품소재산업 수출과 무역수지가 여러 대외 악재에도 불구하고 석유화학제품, 자동차부품 등의 수출호조로 사상 최대를 기록했다.지식경제부가 6일 발표한 ‘1~3사분기 부품·소재 수출입 실적’에 따르면 수출은 전년동기 대비 14.6% 늘어난 1,921억달러, 수입은 15.5% 증가한 1,280억달러로 무역수지는 641억달러를 기록하며 모두 사상 최대치를 갱신했다. 이로써 부품소재 무역수지는 25개월 연속 월50억달러 이상의 흑자를 기록하게 됐다. 이와 같은 실적을 이끈 것은 화합물 및 화학제품 및 수송기계부품 등의 수출 증가였다. 화학제품은 국제유가 오름세에 따른 수출단가 상승과 일본 지진 이후 대일본 수출의 급증으로 인해 수출은 전년동기 대비 29% 증가한 350억달러, 무역수지는 146억달러 흑자를 기록했다. 수송기계부품도 구미 시장에서의 한국차 인지도 상승 및 한국차 부품의 경쟁력 향상 등으로 수출이 전년동기 대비 28.7% 증가한 196억달러를 기록했고 무역수지도 129억달러 흑자를 달성했다.반면 반도체, LCD 등 IT 부품소재는 수출이 급감했다. 유럽 재정위기에 따른 글로벌 경기둔화로 인한 수요감소 및 반도체 LCD 등의 가격하락으로 인해 수출은 전년동기 대비 2.3% 감소한 750달러, 수입은 9.1% 증가한 427억달러로 무역수지는 같은 기간 54억달러 감소한 322억불 흑자를 기록했다. 그러나 무선통신기기 수출은 스마트폰 수출 증가에 따른 휴대폰 부품의 수출 증가로 12.6% 증가한 82억달러를 기록했다.지역별로는 부품소재 대일 수입증가세가 둔화되며 대일적자는 전년동기 대비 12억달러 감소한 171억달러를 기록했다. 같은 기간 대일 화합물 및 화학제품 수출은 47.3% 증가한 반면 일본 대지진 이후, 대일수입 증가세는 급격히 둔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대중 수출은 중국 정부의 긴축정책으로 인해 전자부품 수출이 감소하며 전년동기대비 8.7% 줄어든 664억달러를, 무역흑자도 다소 줄어든 320억달러를 기록했다.지경부는 “국내업체들이 일본지진 이후, 수입선을 EU 등 타지역으로 다변화하고 있어 대일 부품소재 수입증가세가 둔화된 것으로 분석된다”며 “이러한 추세를 이어간다면 올해 부품소재 무역수지 흑자는 800억달러 이상도 가능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신근순 기자
2011-10-06
-
한국지엠, 전북지역 車부품기업 지원
이일주 기자
2011-10-01
-
부품소재 小기업, 내일은 ‘스타’
신근순 기자
2011-09-27
-
안방서 ‘찬밥’ 국산 CNG밸브, ‘소비자주권’이 살린다
김성준 기자
2011-09-07
-
LG, GM 전기車 핵심 솔루션 개발
LG가 GM(General Motors)의 미래 전기자동차용 핵심솔루션 개발에 나선다.LG는 미국 현지시간으로 24일 미국 미시건주 디트로이트시에 위치한 GM 본사에서 댄 애커슨(Dan Akerson) GM 회장 겸 최고경영자, 스티브 거스키(Steve Girsky) GM 부회장, 조준호 ㈜LG 사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GM의 미래 전기자동차 공동 개발 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을 통해 LG와 GM은 GM이 생산, 세계시장에 판매하게 될 미래 전기자동차용 주요 부품 등 핵심 솔루션 개발을 공동으로 수행하게 된다. LG는 LG화학이 GM의 전기자동차 쉐보레 볼트용 배터리의 단독 공급업체 선정된 이후 긴밀한 파트너십을 유지해오고 있는 가운데 지난해 쉐보레 크루즈 시험용 전기자동차의 공동 개발에 성공하는 등 협력관계를 유지해오고 있다.이날 조준호 ㈜LG 사장은 “이번 GM과의 전기자동차 공동 개발 협약은 LG의 미래에 있어서도 전략적으로 중요하다”며, “GM의 전기자동차 사업을 적극적으로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LG는 전기자동차용 핵심 솔루션 사업을 미래성장동력의 한 축으로 육성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신근순 기자
2011-08-26
-
전기硏, 압전 세라믹 액추에이터 개발
엄태준 기자
2011-08-26
-
솔라앤에너지, 전기車 및 배터리 세미나
국내외 전기자동차와 관련 이차전지 부품소재 기술동향을 한눈에 살펴볼 수 있는 자리가 마련된다.
솔라앤에너지는 다음달 6~7일, 양일간 한국과학기술회관에서 전기차 시장을 선점하기 위한 글로벌 기업들의 사업 전략 분석 및 배터리 기업들의 기술혁신 동향에 대한 KEBC2011 (Korea EV & Battery Conference 2011) 세미나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날 세미나에는 BMW에서 제품 개발을 담당하고 있는 닐레 콘라드 팀장, 배터리 교환시스템 사업을 전개하고 있는 Better Place의 이사지 부사장, LG화학의 김명환 부사장, 삼성SDI의 김근배 상무 등이 주요 연사로 참석할 예정이다.
세미나에서는 미국발 금융 위기와 재정 감축 등에도 불구하고 자동차 산업의 그린(Green)화를 위해 미국, 유럽, 중국 등에서 육성 중인 전기자동차와 그 핵심 부품인 이차전지가 중점적으로 다뤄진다.
우리나라 지식경제부도 최근 현대자동차를 중심으로 준중형 전기차 개발을 이번달부터 본격 착수, 오는 2014년에 양산화 시설을 조기 구축한다는 계획을 발표하고, 이를 지원하기 위해 1700억원(정부 700억, 민간 1000억원)의 기술개발 지원금을 투입하기로 발표했다.
특히, 우리나라는 이차전지 분야에서 글로벌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어, 이차전지 산업과 자동차 산업이 협력한다면, 세계 시장을 선점할수 있는 높은 시너지 효과를 발휘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기타 자세한 사항은 솔라앤에너지(031-704-7136)를 참조하면 된다.
신근순 기자
2011-08-17
-
‘2011 부산국제첨단신발부품전시회’ 개최
부산시가 주최하고 (재)부산경제진흥원 신발산업진흥센터가 주관하는 ‘2011 부산국제첨단신발·부품전시회’(이하 BISS 2011)가 155개업체(국내 110,해외 45) 가 참가한 가운데 오는 10월13~15일까지 3일간 부산 해운대 벡스코에서 개최된다. 비즈니스기회 창출 및 업계 네트워크 구축의 장을 마련하겠다는 구체적인 목표 하에 ‘범 한국 신발인대회’, ‘신발센터 종합 전시관 운영’, 생체역학세미나 등 수요자 중심의 다양한 볼거리 및 최신 시장 및 트렌드 정보를 제공할 예정이다. 국내 유일의 신발전시회로 올해 15회째를 맞이하는 ‘BISS 2011’은 선택과 집중전략으로 일정부분 성과를 얻은 부대행사에 자신감을 더하여 글로벌 전문 비즈니스 전시회로 확대시켜 나갈 계획으로, 주요 행사로는 △휠라코리아 윤윤수회장과 KMK그룹 송창근 회장 초청 특강이 있는 ‘범 한국신발인 대회’ △미국, 유럽지역 주요유통기관 대표초청 세미나 개최 △한국신발 기술 검증의 장 ‘국제첨단신발기능경진대회’ 개최 △신예 신발 디자이너 육성을 위한 ‘Shoe Designer Commercial’운영 △신발산업진흥센터 종합 전시관 & 신발인 만남의 장 운영 등이 있다. 부산시 관계자는 “‘BISS 2011'이 다양한 전문행사를 통해 세계속의 첨단신발 강국으로 도약할 준비를 하고 있다.”라고 전하며, “전체 행사들의 업그레이드를 통해 국내외 신발기업과 바이어들의 관심을 극대화 시킬 수 있는 아이템을 지속적으로 발굴하는 글로벌 전시회로 거듭날 계획”이라고 밝혔다.
고봉길 기자
2011-08-17
-
현대車, 2014년 전기車 대중화 이끈다
신근순 기자
2011-08-10
-
파츠웨이, 국내 수입차 정비 불만 해결책 제시
이일주 기자
2011-08-04
-
부품소재 中企 해외진출 지원 ‘맞손’
신근순 기자
2011-08-04
-
헨켈, 산업용 접착제 ‘LOCA’ 출시
접착제와 실런트 분야의 세계적 선두 기업인 헨켈(대표 파루크 아리그)은 터치패널의 센서 조립과 디스플레이 장치의 커버 렌즈를 부착시킬 때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산업용 특수 접착제 ‘록타이트 LOCA’(Loctite Liquid Optically Clear Adhesives를 출시했다고 26일 밝혔다.
‘록타이트 LOCA’는 액상형의 접착제로서 휴대폰, 태블릿PC, 텔레비전, 전광판, 터치 패널 등 디스플레이 장치의 빛 투과율을 높이고, 반사로 인한 빛 손실을 줄이는 등 기존 전력량의 80%만 공급해도 밝기를 유지할 수 있어 배터리 수명을 늘릴 수 있다.
또한 콘트라스트 비율 또한 400%이상 향상돼 화질이 선명하고, 햇빛 아래에서 액정화면이 잘 보이지 않던 현상을 개선할 수 있다는 것도 큰 장점이다.
특히 자동화 라인을 통해 빠르고 고른 분사가 가능해 기포발생을 줄여 불량률을 낮추고, 패널의 다양한 굴곡을 고루 메워 더 가볍고 얇으며 튼튼한 제품을 생산할 수 있다. 대형 패널의 경우에는 기존의 테이프와 필름을 사용할 때와는 다르게 가경화 단계에서 불량 발생 시 바로 재작업이 가능하다.
헨켈 관계자는 “터치 패널과 디스플레이 장치의 인기가 높아지면서 소비자들이 더 가볍고 감각적이며, 더 선명한 제품을 선호한”며 “회사의 록타이트 LOCA를 통해 디스플레이 제조사 및 디자인 엔지니어들이 보다 혁신적인 제품 디자인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신근순 기자
2011-07-26
-
성보P&T, 대기업과 R&D 협력 ‘日 진출’
수요기업과의 R&D협력을 통해 중장비 핵심 부품을 개발, 일본 등 해외시장에 연간 200억원 규모의 수출을 달성한 중소기업이 화제가 되고 있다. 그 주인공은 경기도 화성에 위치한 중장비 부품 전문업체인 성보P&T(대표 오정석).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KEIT, 원장 서영주)에 따르면 성보P&T는 지식경제부 부품소재기술개발사업을 통해 지난 2004년부터 현대중공업과 협력, 2008년 국내 최초로 중형 굴삭기의 핵심 부품인 차축과 주행·선회 유니트의 국산화에 성공했다.양사는 세계 기술동향과 시장현황 등 정보를 공유하고 상품화 관련 신뢰성 테스트도 공동 진행하는 등 성공적인 R&D협력 사례로 평가받고 있다.이를 통해 성보P&T는 세계시장의 70%를 장악한 일본 본토에 진출하는 등 해외시장에 연 200억원 수출을 기록했으며 1,000억원대 수입대체 효과를 거뒀다. 회사는 종업원수 185명에 매출 1,130억원 규모로 성장했다.서영주 KEIT 원장은 이러한 수요기업과의 성공적인 R&D 상생협력을 보여준 성보P&T를 21일 방문, 연구소 및 생산라인 현장을 견학하고 업체 관계자로부터 R&D 상생협력의 성과와 애로사항, 제도 개선이 필요한 부분에 대한 의견을 청취했다. 서영주 원장은 이 자리에서 “상생협력은 기술적 수평관계 형성을 통해서 가능하기 때문에 중소기업 고유의 핵심기술을 보유할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해 달라”며 “앞으로도 이같은 현장 방문을 통해 즉시 해결이 필요한 사항은 바로 조치하고, 우수한 아이디어들은 R&D 규정 개정 등에 반영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KEIT는 지난 5월 동반성장 T/F팀 가동과 함께 R&D 수행 시 상생협력을 통한 성공요인 파악하고 기술개발 시 애로사항 청취를 통해 R&D 정책 및 제도 개선에 반영하기 위해 정기적으로 기업 현장방문을 추진하고 있다.
신근순 기자
2011-07-21
-
(2)부품소재 동향보고서
신근순,박선주 기자
2011-07-19
-
다나까전자, Cu 본딩 와이어 생산 2배 확대
신근순 기자
2011-07-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