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연구진이 간단한 구조로 저전압에서 구동 가능한 압력감응 발광센서를 개발해 착용 가능한 대화형 디스플레이 실현에 기여할 전망이다.
한국연구재단(이사장 노정혜)은 명재민 연세대 신소재공학과 연구팀이 전기화학발광물질을 기반으로 간단한 구조로 저전압에서 구동되는 착용가능한 압력감응 발광센서를 개발했다고 28일 밝혔다.
기존의 압력감응 센서는 외부의 물리적 자극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고 이를 추가적인 장치를 통해 시각화하므로 구조가 복잡하고 즉각적으로 자극을 인식하기가 어려웠다. 이에 순간적인 발광을 통해 외부자극을 즉시 시각화할 수 있는 다양한 압력감응 발광센서 및 대화형 디스플레이가 활발히 연구되고 있지만 발광특성 확보를 위한 복잡한 구조와 고가의 재료사용 등으로 인해 센서에 활용하는데 어려움이 있으며, 높은 구동 전압으로 인해 인체에 직접 부착하기에는 위험하다.
이에 연구팀은 기존의 압력감응 발광센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전기화학발광 물질을 겔(gel)형으로 제작, 발광층으로 사용했다. 상부 전극으로는 산화환원반응에 손상되지 않고 외부 압력에 민감하게 반응하기 위해 탄소나노튜브를 피디엠에스(PDMS)에 내장해 연신 가능한 전극으로 사용했다.
산화환원 반응을 기반으로 하는 전기화학발광 물질을 활용하면 저전압에서 안정적인 발광이 가능하고, 특히 기존 OLED와 다르게 전극만으로 발광할 수 있는 간단한 구조로 만들 수 있다.
개발된 압력감응 발광센서는 외부 자극의 모양, 크기 및 위치를 즉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고, 인체에 붙여 동작 감지 센서로 작동시킬 수 있었다. 이에 인체나 로봇의 관절에 부착할 수 있는 센서 및 대화형 디스플레이 분야의 새로운 활용 가능성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된다.
허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추진하는 중견연구지원사업의 지원으로 수행된 이번 연구의 성과는 나노과학 분야 국제학술지 ‘에이씨에스 나노(ACS Nano)’에 7월9일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