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자기술연구원, 금속 3D프린팅 품질 개선 SW 개발
신근순 기자
2021-12-20
-
울산시, 2030년까지 3D프린팅 육성 337억 투입
신근순 기자
2021-12-16
-
적층제조 기업도 뿌리기업 지정된다
신근순 기자
2021-12-15
-
‘2021 FORMNEXT 참관단’ 보고회 개최
유은주 기자
2021-12-14
-
그래피, 세계 최초 직접 3D프린팅 교정장치 소재 NEP 인증
신근순 기자
2021-12-14
-
㈜케이랩스, 韓 대표 ‘3D프린팅 팹리스’ 도약 나선다
신근순 기자
2021-12-13
-
HN, ‘건축용 3D 프린팅 사업부’ 신설
송성우 기자
2021-12-13
-
‘2021 3D프린팅 경진대회 우수사례집’ 발간
신근순 기자
2021-12-13
-
스트라타시스 코리아, ‘예술 작가의 상상력을 현실로’ 3D프린팅 협업 지원
신근순 기자
2021-12-10
-
㈜프로토텍, 금속 3D프린팅 사업 확대 투자 박차
신근순 기자
2021-12-09
-
㈜캐리마, 분당 1cm 초고속 적층기술 세계시장 관심 집중
신근순 기자
2021-12-09
-
다쏘시스템, 3D 익스피리언스 연동해 제조 전 과정 지원
유혜리 기자
2021-12-08
-
울산대, 미래 모빌리티 부품 적층제조 인력양성 본격 추진
신근순 기자
2021-12-07
-
인하대 제조혁신전문대학원, 구리 3D프린팅 공정 세미나 개최
신근순 기자
2021-12-06
-
3D프린팅 전문인력양성사업단, 세계 적층제조 최신 트렌드 공유
신근순 기자
2021-12-02
-
링크솔루션 맞춤형 3D프린팅 마스크, 美 타임지 선정 ‘스페셜 멘션’ 수상
신근순 기자
2021-11-26
-
울산 DfAM 경진대회 창원대 ‘협동로봇 진공 흡입기’ 대상 수상
신근순 기자
2021-11-26
-
식약처, 3D 바이오프린팅 융복합제제 평가 가이드라인 발간
3D 바이오프린팅 기술을 적용한 융복합제품 개발 시 안전성과 효과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한 가이드라인이 마련됐다.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김강립)는 ‘환자 맞춤형 3D 바이오프린팅 기술적용 융복합제제 비임상평가 가이드라인’을 11월 26일 제정·발간했다고 밝혔다. 3D 바이오프린팅 기술적용 융복합제품은 첨단바이오의약품인 세포치료제와 지지체 역할을 하는 의료기기가 복합된 융복합제품이다. 일례로 세포치료제가 포함된 바이오잉크를 사용해 3D프린터로 지지체를 쌓아 만든 조직이나 장기 등이 있다. 이번에 마련된 가이드라인의 주요내용은 △3D 바이오프린팅 기술이 적용된 융복합제품 개발과 관련된 비임상시험 동물 종과 모델 선정 방법 △제품 구성 성분별 고려사항 △비임상시험 항목 안내 등이다. 식약처 관계자는 “이번 가이드라인이 관련 제품개발 시 시행착오를 줄이고 안전하고 효과 있는 제품을 개발하는 데 도움을 줄 것”이라며 “앞으로도 전문성과 규제과학에 기반한 허가·심사로 국민 보건 향상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가이드라인은 식약처 대표 누리집→법령·자료→공무원지침서/민원인안내서에서 확인할 수 있다.
신근순 기자
2021-11-26
-
세계 최대 적층제조 전시회 ‘폼넥스트’, 부품 양산 솔루션 선
신근순 기자
2021-11-25
-
한국서부발전 ‘디지털 이노베이터’ 혁신제조 기업 ‘엠쓰리파트너스’ 방문
유혜리 기자
2021-11-25
- 많이 본 뉴스
-
-
1
“韓 AI 투자 中 1/3 불과, AI 강국 4년 골든 타임”
-
2
2024년 철강 31社 경영실적
-
3
1~3월 전기車 배터리 사용량, 전년比 39%↑
-
4
제이앤티씨, TGV 유리기판 신사업 본격 추진
-
5
LG화학, 제철소 CO2 포집 CO·H2 전환 추진
-
6
1~3월 글로벌 전기車 인도량, 전년比 35%↑
-
7
탄소산업진흥원, “기관장 업추비 4800만원 사실 아냐, 공시 단위 입력 오류”
-
8
한화방산 3社, 중남미 방산 新시장 개척
-
9
국토부, ’28년 상용화 수소열차 실증 착수
-
10
화학연, 수중 로봇용 인공 근육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