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판교FAB, 3D프린팅 소량 양산 시범운영 개시
신근순 기자
2023-10-12
-
마크포지드, 스마트 프린트 팜·생산 툴·로봇 제작 3D프린팅 솔루션 ‘로보월드’ 전시
신근순 기자
2023-10-11
-
스트라타시스, 제조 디지털 전환·친환경 양산 3D프린팅 솔루션 선도
신근순 기자
2023-10-11
-
UNIST-SC3DP, 3D프린팅 첨단기술 개발 협력
신근순 기자
2023-10-06
-
HP 젯 퓨전 3D프린터, 내구·경량성 만족 車·UAV 부품 생산 확대 중
신근순 기자
2023-10-06
-
마크포지드, OEM 인증 3D프린팅 부품 디지털 웨어하우스 ‘Digital Source’ 출시
신근순 기자
2023-10-04
-
[인터뷰]이상규 ㈜쓰리디컨트롤즈 대표
신근순 기자
2023-10-04
-
‘제2회 스마트제조 적층제조 심포지움’ 10월19일 개최
신근순 기자
2023-09-27
-
KISTI, ‘제3차 3D프린팅 지식연구회’ 개최
신근순 기자
2023-09-27
-
단국대 WMD 사업단, 3D프린팅 전문기업 기술 교류회 성료
신근순 기자
2023-09-22
-
스트라타시스, 제조 디지털 전환 및 3D프린팅 성공 사례 제시
신근순 기자
2023-09-20
-
3D프린팅 토털 서비스 기업 프로메테우스, ‘프로토랩’ 새출발
신근순 기자
2023-09-20
-
링크솔루션, 대산모델과 3D프린팅 전략적 사업제휴 추진
신근순 기자
2023-09-19
-
3D융합산업협회-ASTM, 3D프린팅 기업 협력 강화 추진
신근순 기자
2023-09-18
-
3D융합산업협회, ‘국제표준화 적층제조 기술위원회 표준총회’ 개최
신근순 기자
2023-09-18
-
엔플러스솔루션스㈜, 車·UAM 등 제조 혁신 HP 3D프린팅 세미나 개최
신근순 기자
2023-09-15
-
스트라타시스, 車·조선해양 3D프린팅 활용사례 공유
유혜리 기자
2023-09-13
-
3D프린팅 융합기술센터, 커프·몰드 등 3D프린팅 정밀금형 생산기지 도약
신근순 기자
2023-09-12
-
㈜이엠엘, 금속 적층제조용 초내열합금 IN718 분말 본격 양산
신근순 기자
2023-09-11
-
울산시-UNIST, 3D프린팅 기반 반도체 패키징 개발 추진
울산과학기술원(UNIST)이 3D프린팅 기반 반도체 패키징 기술개발을 추진해 첨단 패키징의 형태 다양화와 생산단가 절감에 기여할 전망이다.울산시와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공동 추진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주관 ‘2023년도 국가반도체연구실지원핵심기술개발사업’ 공모에 3D프린팅 기반 반도체 패키징 핵심기술개발 사업으로 참가해 최종 선정됐다고 6일 밝혔다.공모선정에 따라 울산과학기술원은 올해부터 오는 2027년까지 약 5년간, 총 22억 5,000만 원의 국비를 지원 받는다. 울산시도 내년부터 연 5,000만 원씩을 지원할 예정이다. 이번 공모 결과 총 10개 대학 반도체 연구실이 선정된 가운데 첨단 패키징 분야는 울산과학기술원이 유일하다. 이에 울산이 민간 수요 기반의 첨단 패키징 기술개발과 첨단패키징 분야 석박사 등 전문성 인력 양성 부분에서 타 지역보다 앞서 갈 것으로 기대된다. 반도체 패키징은 반도체와 기기를 연결하기 위해 전기적으로 포장하는 공정이다. UNIST의 3D프린팅 기반 첨가제조공정을 이용한 패키징 제작 기술은 시도된 적이 없는 기술로 최근 멀티칩 패키징을 이용한 고성능 칩제작이 중요해지고 있는 상황을 고려했을 때 선제적 투자를 통한 특허와 시장 선점이 중요하다.특히 기존 식각 공정에 의존한 제조공정과는 완전히 새로운 기술로 패키징 형태를 다양화하고 생산단가를 획기적으로 낮출 수 있다. 또한 대한민국 반도체 설계 업체(팹리스)들이 고성능 시스템 반도체 시장을 선도할 수 있는 기반이 될 것으로 보인다. UNSIT 나노소자공정실의 전공정과 3D프린팅 반도체 패키징 연구실의 후공정을 기반으로 설계·공정·패키징·시험에 이르는 반도체 전체 공급망(풀 밸류체인) 구축이 가능해져 첨단패키징 역외기업 유치와 투자확대 등 지역의 새로운 성장 동력을 창출 할 것으로 기대된다.울산시 관계자는 “이번 공모사업 선정은 그동안 울산과학기술원과 협력해 준비한 결과”라며 “이번 사업 선정을 계기로 지역의 반도체 기반과 우수 인력의 역량을 모아 기반구축, 인력양성, 기술개발 및 사업화 등 전 분야에 걸쳐 체계적인 지원이 될 수 있도록 울산형 반도체 육성 전략을 수립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편 울산시는 올해 반도체 인력양성 분야에서 이번 공모를 포함해 △반도체특성화대학원 지원사업 △반도체 전공트랙 사업 △첨단산업 인재양성 부트캠프 사업 등 총 4개 공모사업에 선정되는 성과를 거뒀다.
신근순 기자
2023-09-07
- 많이 본 뉴스
-
-
1
“韓 AI 투자 中 1/3 불과, AI 강국 4년 골든 타임”
-
2
2024년 철강 31社 경영실적
-
3
LG화학, 제철소 CO2 포집 CO·H2 전환 추진
-
4
제이앤티씨, TGV 유리기판 신사업 본격 추진
-
5
1~3월 전기車 배터리 사용량, 전년比 39%↑
-
6
1~3월 글로벌 전기車 인도량, 전년比 35%↑
-
7
탄소산업진흥원, “기관장 업추비 4800만원 사실 아냐, 공시 단위 입력 오류”
-
8
한화방산 3社, 중남미 방산 新시장 개척
-
9
국토부, ’28년 상용화 수소열차 실증 착수
-
10
화학연, 수중 로봇용 인공 근육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