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가스기술公, 탄소포집형 수소생산기지 구축 협력
김민석 기자
2025-04-25
-
효성티앤씨-무신사, 친환경 패션 제품 협력
김민석 기자
2025-04-25
-
한수정-서울시-두나무, ESG 정원 조성 실천
유혜리 기자
2025-04-25
-
가스기술公, 부안 수소도시 조성 참여
유혜리 기자
2025-04-25
-
린데코리아, 지속가능 미래 도모 녹색 실천 앞장
유혜리 기자
2025-04-25
-
철도공단 호남, 신입 현장 실무 역량 강화
유혜리 기자
2025-04-25
-
산업부, ‘우수기업연구소 육성사업’ 예타 통과
김민석 기자
2025-04-24
-
무역위, 베트남산 스테인리스강 냉간압연 덤핑관세 부과 건의
국내에 수입 중인 베트남산 스테인리스강 냉간압연 제품이 덤핑수입된 것으로 인정돼 덤핑방지관세가 부과될 전망이다.산업통상자원부 무역위원회(위원장 이재형)는 24일 ‘제459차 무역위원회’를 개최하고 안건을 심의·의결했다고 밝혔다.이날 무역위는 ‘베트남산 스테인리스강 냉간압연 제품’조사 결과, 덤핑사실과 덤핑수입으로 인해 국내 산업에 실질적 피해가 있다고 최종 판정하고 해당 제품에 대해 향후 5년간 11.37~18.81%의 덤핑방지관세 부과를 기획재정부장관에게 건의하기로 했다. 또한 무역위는 ‘중국산 PET 필름’ 중간재심사에 대한 조사개시를 보고 받았다. 동 제품에 대해 ’23년 5월 덤핑방지관세가 부과 중이나 최근 수입물량 증가, 수입단가 인하 등 상황변화로 인해 덤핑조사 대상 기간이었던 ’21년 대비 ’24년 기간 중 덤핑률이 높아진 것으로 의심돼 코오롱인더스트리, 효성화학 등 국내기업 4개사가 지난 2월 중국 천진완화와 캉훼이를 상대로 덤핑률 재심사를 요청한 바 있다.무역위는 앞으로 6개월간 조사를 진행하여 실제로 덤핑률을 높인 사실이 확인될 경우 덤핑방지관세 부과기간인 2028년까지 수정된 덤핑율 적용을 기획재정부 장관에게 건의할 수 있다.한솔케미칼이 신청한 중국산 차아황산소다 덤핑조사에 대해 무역위는 덤핑수입과 국내산업 피해 간에 인과관계가 성립한다고 예비판정하고 본조사 기간 중에 발생하는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15.15~33.97%의 잠정 덤핑방지관세 부과를 기획재정부 장관에게 건의하기로 했다.이밖에도 무역위는 ㈜디케이씨의 신청으로 ’24년 9월에 조사 개시한 ‘중국산 스테인리스스틸 후판’의 덤핑수입으로 인한 산업피해 관련 공청회를 개최했다. 조사 건은 현재 21.6% 잠정 덤핑방지관세가 부과중이며, 향후 국내외 현지실사 등을 거쳐 올 상반기에 최종판정할 예정이다.
신근순 기자
2025-04-24
-
코레일, 전 직원 준법주간 시행
김민석 기자
2025-04-24
-
코레일, 한국철도 IT센터 착공
김민석 기자
2025-04-24
-
광양경자청, 日 정밀소재 기업유치 활동 전개
신근순 기자
2025-04-24
-
강원경자청, 베트남 현지 망상지구 홍보활동
신근순 기자
2025-04-24
-
세미나허브, ‘에너지산업 변화와 전력시장 대응 세미나’ 개최
에너지 시장이 기술 발전과 탄소중립 요구로 인해 중앙집중형 전력 시스템에서 벗어나 분산 시스템으로 전환되고 있는 가운데 관련 전력산업 현안과 신규 사업기회를 모색하는 자리가 마련된다.세미나허브는 오는 5월27일 서울 여의도 FKI타워 컨퍼런스센터에서 ‘2025 에너지산업 변화와 전력 시장 대응 방안 세미나’를 온·오프라인으로 동시 개최한다고 밝혔다. 세미나허브에서는 이번 세미나를 통해 에너지산업의 국내외 동향과 향후 전망, 전력산업의 현안과 신 비즈니스에 대한 사례 등에 대한 내용을 제공할 예정이다. 또한, 네트워킹 타임을 통해 참여한 다양한 업체와 접촉할 기회도 제공한다. 세미나에서는 △트럼프 2.0, 인물과 데이터로 알아보는 에너지시장 △제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 주요 내용 및 시사점 △해외 주요국의 전력산업 현안 및 국내 시사점 △우리나라 전력계통 이해 및 주요 이슈사항 △분산화에 따른 전력공급체계와 시장제도 변화 △제주 전력시장 시범사업 운영현황 △전력계통 안정화 방안을 위한 ESS 및 VPP 사업화 전략과 실제 사례 △PPA를 기반으로 한 전력산업 신 비즈니스에 대해 다룬다. 세미나허브 관계자는 “이번 세미나를 통해 참석자들이 변화하는 에너지 산업을 파악하고 전력시장에서의 향후 전략을 생각해 볼 수 있는 시간이 될 것”이라고 전했다.세미나는 5월21일 17시까지 사전 등록이 가능하다. 세미나와 관련된 자세한 내용은 세미나허브 홈페이지 또는 전화 문의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편집국
2025-04-24
-
코미르-우즈벡, 광물자원·재해관리 협력 착수
김민석 기자
2025-04-24
-
한화솔루션, 1Q 영업익 303억…신재생 E 호조
김민석 기자
2025-04-24
- 많이 본 뉴스
-
-
1
“韓 AI 투자 中 1/3 불과, AI 강국 4년 골든 타임”
-
2
2024년 철강 31社 경영실적
-
3
1~3월 전기車 배터리 사용량, 전년比 39%↑
-
4
LG화학, 제철소 CO2 포집 CO·H2 전환 추진
-
5
한화방산 3社, 중남미 방산 新시장 개척
-
6
탄소산업진흥원, “기관장 업추비 4800만원 사실 아냐, 공시 단위 입력 오류”
-
7
1~3월 글로벌 전기車 인도량, 전년比 35%↑
-
8
제이앤티씨, TGV 유리기판 신사업 본격 추진
-
9
국토부, ’28년 상용화 수소열차 실증 착수
-
10
화학연, 수중 로봇용 인공 근육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