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G전자, 260W 태양광 모듈 첫 선
LG전자는 16일부터 18일까지 일산 킨텍스(KINTEX)에서 열리는 ‘2011 세계태양에너지엑스포(EXPO Solar)’에 참가해 고출력, 고효율의 260W 단결정 태양광 모듈을 선보였다.LG전자는 이번 엑스포에서 국내 태양광 설치 환경에 최적화된 △일반 주택용 △공공 및 발전용 △고출력용 등 다양한 태양전지 모듈 신제품 및 응용제품을 선보였다. 일반 주택용에는 다양한 구조의 주택 지붕에 설치가 쉽도록 디자인된 모듈, 공공 및 발전용에는 높은 출력을 내는 데 적합한 모듈, 고출력용에는 260W 단결정 모듈을 비롯해 단결정 및 다결정 태양광 모듈을 전시했다. 이번에 처음 선보인 최고효율 260W 단결정 모듈은 기존 대비 13% 이상 효율을 개선했으며 모듈 효율 16.2%을 구현해 제약된 공간 내에서 더 많은 출력을 낼 수 있어 설치비 절감 및 설치면적 대비 최대 용량을 자랑하는 제품이다. 단결정 및 다결정 태양광 모듈은 최신 기술을 갖춘 신규 라인에서 올 하반기부터 본격적으로 양산될 예정이다. LG전자는 2010년 경북 구미에 총 120MW의 규모의 태양전지 및 모듈 생산라인 등 일괄 생산 체제를 가동하면서 본격적으로 태양광 사업을 시작해 오고 있으며, 셀에서부터 모듈까지 전부 국내에서 생산해 국내 및 유럽고객들에게 판매하고 있다. 올해는 2기 라인 추가 투자를 통해 전체 생산능력을 총 330MW로 늘릴 예정이며, 2013년에는 생산량을 1GW까지 높인다는 목표다. 한편 LG전자의 독보적인 친환경 에너지 절약형 조명 기술인 PLS, 태양광 만으로 다양한 예술적 적용이 가능한 LED 조명 루미(Lumi) 그래픽 등 다양한 종류의 에너지 절감 기술도 함께 선보였다. LG전자 솔라(Solar)사업팀장 조관식 상무는 “태양광산업은 활발한 보급정책, 고유가 및 친환경 정책 확산으로 인해 가장 성장속도가 빠른 산업” 라며 “신성장 사업으로 집중 육성하기 위해 지속적인 투자를 진행해 2013년 글로벌 Top 10 기업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말했다. 올해 3회째를 맞고 있는 ‘세계 태양에너지 엑스포’는 녹색성장과 기후변화의 해답을 제시하는 국내 최초 태양광 전문전시회로 전세계 500여개 기업이 참가해 70여개 업체가 참가한 지난해보다 크게 성장했다.
강다혜 기자
2011-02-16
-
삼성전자, SP방식 PV모듈 효율 16%
삼성전자가 16일부터 18일까지 3일간 경기도 일산 킨텍스에서 열리는 ‘제3회 세계 태양광 에너지 엑스포’에 참가해, 업계 최고 수준의 태양전지 모듈을 선보였다. 삼성전자는 “Samsung Delivers High Efficiency: 업계 최고 수준의 고효율 광에너지 제품을 제공하는 삼성”이라는 전시 테마를 바탕으로, 스크린 프린팅(Screen Printing, 이하 SP) 방식으로는 세계 최고 출력인 260W 크리스탈 화이트 모듈과 250W 프리미엄 블랙 모듈을 공개했다. 전체 태양전지시장의 70%를 차지하는 결정계 SP 방식에서 국내업체가 260W의 세계 최고 출력 태양전지 모듈을 R&D 모델이 아닌 생산용 모델(상반기 내 시범생산)에로 구현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회사가 이번 전시회에 선보이는 260W 고효율 태양전지 모듈은 현재 태양광 시장을 주도하고 있는 유럽과 미국의 Rooftop(옥상용) 시장공략을 위한 전략제품으로, 이미 출시 중인 독일·일본·중국 경쟁사의 230W 일반제품 대비 약 30W 높은 출력을 제공한다. 또한 효율성에서도 경쟁사의 14%대 모듈 대비 15.9%의 높은 효율로 확실한 차별화를 이뤘다. 한편 삼성전자는 향후 시장 잠재력이 큰 박막 CIGS(구리·인듐·갈륨·셀레늄) 태양전지 모듈도 공개했다. 박막 CIGS 태양전지 모듈은 결정계 대비 재료비가 덜 들고 대면적으로 일괄 생산을 통해 원가절감이 가능하며 제조공정이 기존의 LCD 공정과 유사해 이 분야에서 기술적 역량을 집적한 삼성전자에게 유리한 기술이다. 삼성전자 광에너지사업팀 최창식 부사장은 “매년 20% 이상의 고성장을 거듭하고 있는 태양광 시장에서 삼성 브랜드에 걸맞는 高효율, 高품질 프리미엄 제품을 적극 개발해 향후 사업확대에 철저히 준비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영국 신재생에너지 전문 시장조사기관 IMS리서치는 올해 글로벌 태양광 시장규모가 20.5GW에 이를 것으로 내다봤다.
강다혜 기자
2011-02-16
-
서울시, 건축부문 E소비량 20% 절감 목표
서울시가 전체 에너지소비량의 60%를 차지하는 건축부문 에너지소비량을 2030년까지 20% 절감한다는 계획이다.서울시는 이를 위해 건축물 신축 시 ‘건축물 에너지소비총량제’를 도입, 3월부터 공공건축물에 시범 적용할 계획이라고 16일 밝혔다. 그동안 에너지 성능지표, 에너지 효율등급, 그린디자인 건축물 설계 가이드라인을 각각 적용하던 것을 ‘건축물 에너지소비총량제’로 일원화 해 신규 건축물 인·허가 절차를 개선할 계획이다. 특히 ‘건축물 에너지소비총량제’는 그동안 점수나 등급 등 단편적으로 평가돼 건축물을 지었을 때 실제 소비되는 에너지량을 알 수 없던 부분을 보완,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게 돼 건축물 에너지절감에 대한 효과가 클 것으로 기대된다. ‘건축물 에너지소비총량제’란 1년 동안 건축물에서 소비하는 총에너지사용량을 건물면적으로 나눠 단위면적당 에너지소비량이 기준 이하가 되도록 에너지소비량을 관리하는 제도다. 그동안 서울시에서 신축되는 민간건축물은 에너지성능지표 86점 이상, 에너지 효율 2등급 이상을 받도록 권장했으며 공공건축물의 경우 에너지성능지표 90점 이상, 에너지 효율 1등급 이상을 받아야 인·허가가 됐다. 이는 현행 법 보다도 강화된 기준으로(민간건축물은 60점 이상, 공공건축물은 74점 이상) 서울시는 2030년까지 건물부문의 에너지소비량을 2000년 기준 20% 절감한다는 목표 아래 건물부문 에너지절약 목표달성을 위해 2007년부터 ‘그린디자인 건축물 설계 가이드라인’을 마련해 기준을 강화해 왔다. 현행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성능을 평가하는 기준은 에너지 성능지표의 기준이 되는 ‘건축물 에너지절약설계기준’, ‘공공기관 에너지이용합리화 추진지침’과 에너지효율등급의 기준이 되는 ‘건축물에너지 효율등급 인증제도’가 있으나 법규 및 지침마다 평가기준을 달리함으로써 혼선과 불편을 초래했다. 또, 에너지효율등급 인증제도는 평가에 3개월 이상 기간이 소요되고, 최소 1천만 원에서부터 3천만 원에 이르는 수수료를 지불해야 해 건축주의 경제적 부담이 있었다. 에너지 효율등급의 경우 일반 건축물은 권장사항이나 공공건축물의 경우는 아파트, 연립 등 공동주택은 모두, 업무시설의 경우 1,000㎡이상의 면적은 건축물에너지 효율등급 인증제도 평가를 받아야 했다. 에너지 성능지표는 모든 공동주택 및 업무시설은 3,000 ㎡이상 신축 건축물에 해당된다. 서울시는 이와 같은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평가기준을 일원화해 건축물 에너지절약성능을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건축물 에너지소비량 예측 프로그램’을 개발했다. ‘건축물 에너지소비량 예측 프로그램’은 건축물 주요 설계요소에 해당하는 약 40개 데이터를 입력함으로써 건물의 에너지사용량을 쉽게 계산할 수 있어 누구나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이 특징이다.
강다혜 기자
2011-02-16
-
S-OIL/a>
◇수석부사장 ▶류 열 CFO, 재무B/L Head ◇부사장 ▶이병호 인재개발실장 ▶안종범 경영기획실장 ◇상무 ▶신성도 자금부문 담당 ▶류경표 감사 담당 ▶김용연 노사협력 및 조직문화부문 담당 ▶서강돈 인사부문 담당
편집국 기자
2011-02-15
-
신재생E기업, 3년간 매출 6.5배↑
신근순 기자
2011-02-15
-
올해 유가 90달러 내외 수준 전망
최근 90달러 후반대를 기록 중인 국제유가는 점차 하향 안정화돼 올해 배럴당 90달러 수준이 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민·관 합동으로 구성된 ‘국제유가전문가협의회’는 지난 11일 한국석유공사에서 ‘이집트 반정부 시위에 따른 최근 국제유가 동향 및 2011년 국제유가 전망’을 주제로 제52차 회의를 개최하고 이같이 밝혔다.협의회는 최근 강세를 보인 국제유가(두바이유 기준)는 예상보다 빠른 세계경기회복, 유동성 증대에 따른 투자자금 유입, 동절기 한파 등에 의한 것으로, 최근 이집트 소요 사태로 강세가 지속되면서 배럴당 90달러대 후반 수준까지 상승한 것으로 분석했다.이 중 경기지표 개선 및 이에 따른 투자자금 유입, 동절기 한파 등의 석유시장 강세요인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전망했으나 OPEC 생산증대 가능성, 중국 등 신흥국 긴축 정책 지속, 장기 상승에 따른 피로도 누적 등으로 유가는 현재보다 하향 안정화 될 것으로 예상했다.특히 무바라크 대통령의 퇴진으로 이집트 소요 사태가 완화되고 있어 타 중동국가로 확산 되는 등의 최악의 사태로 전개되지 않는 한 향후 석유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전망했다. 또한 현재 세계석유재고 및 OPEC 잉여생산능력은 유가가 급등했던 2008년에 비해 매우 높은 수준이므로 2008년 상반기처럼 공급불안이 야기되지는 않을 것으로 평가했다.
신근순 기자
2011-02-14
-
울산시, ‘신재생 E 보급 마스터플랜’ 확정
이일주 기자
2011-02-11
-
‘태양광 인버터 위한 반도체 기술 세미나’
인피니언 테크놀로지스 코리아 (대표이사 이승수)가 오는 22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 컨퍼런스룸 203호에서 ‘태양광 인버터를 위한 반도체 기술 세미나’를 개최한다.
세부 주제로는 태양광 인버터 제어: 태양광 인버터의 기본 개요, 태양광 인버터 제어, 인피니언 MCU를 태양광 인버터에 적용하는 방법 소개와 태양광 인버터용 IGBT 모듈: IGBT 모듈 제품 개요, IGBT 모듈의 신기술 및 인피니언 IGBT 소개를 주요 내용으로 한다.
이 외에도 태양광 인버터 용 인피니언의 디스크리트 IGBT 솔루션: 태양광 인버터의 요구사항에 따라 최상의 품질, 높은 스위칭 주파수에서도 동일한 효율을 제공하는 인피니언의 고성능 제품 소개와 절연형 3kW 태양광 전력변환장치(PCS)를 위한 디바이스 선택 등의 내용이 펼쳐질 전망이다.
보다 자세한 사항 및 교육 참여는 인피니언 테크놀로지스 코리아(KR-Seminar@infineon.com, 02-3460-0814)로 문의할 수 있다.
강다혜 기자
2011-02-11
-
지경부, E업계 3대 정책방향 선포
신근순 기자
2011-02-11
-
세계 태양에너지 엑스포, 오는 16일 개막
태양광산업의 호황과 함께 관련 시장을 선점하기 위한 전세계 기업들의 경쟁이 치열한 가운데 세계 태양광산업의 동향을 한눈에 볼수 있는 ‘2011 세계 태양에너지 엑스포’가 오는 16일부터 18일까지 일산 킨텍스에서 열린다.올해로 3회째를 맞이하면서 국제적인 태양광 전문 전시회로 발돋움하고 있는 이번 엑스포에는 25개국 300개 기업이 800부스 규모로 참여해 트랜드와 정보를 공유하고 비즈니스 기회를 창출하는 자리가 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특히 2012년 RPS 본격시행을 앞두고 투자를 확대하고 있는 국내 유수의 태양광 기업들이 총 출동해 눈길을 끈다. 국내 태양광 시장을 리드하고 있는 현대중공업, 삼성전자, LG전자를 비롯해 국내기업으로서는 최초로 박막·결정질·BIPV 모듈을 공급하는 한국철강, EVA 등 태양광 소재를 공급하고 있는 SKC, 태양광 모듈 제조기업 대영금속과 티앤솔라 등은 태양광 전 밸류체인에 걸친 출품작들을 선보일 예정이다.해외 기업으로는 세계적인 PV 제조 장비 공급기업인 독일의 로드앤라우(Roth & Rau)와 태양광 셀 전공정 장비를 공급하고 있는 슈미드(Schmid), DKSH 등과 미국의 타이고에너지(Tigo Energy Inc.), KLA-텐코(KLA-Tencor), 중국의 ET솔라(ET Solar), 성융광전투자유한회사(ShengLong PV-Tech Co., Ltd.), 일본의 니신보(Nisshinbo), NPC(NPC Incorporated), 다이킨(Daikin Industries., Ltd.), 올림푸스(Olympus), 대만의 와콤세미컨덕터(Wakom Semiconductor Corp.) 등 세계적인 태양광 기업들이 출품한다. 이외에도 전 세계 태양광 전문가들의 강연을 한자리에서 들을 수 있는 ‘2011 PV 월드포럼(World Forum)’과 태양광 기업들이 유망 인재를 채용하는 취업박람회 ‘2011 에너지 잡페어(Energy Job Fair)’, 전시회 참가기업들이 신제품 및 신기술을 발표하는 '2011 신제품·신기술 발표 세미나(New Technology & Product Presentation)’ 등이 동시 개최돼 참관객들에게 유용한 정보들을 제공할 예정이다.한편 동 전시기간 중에는 최근 기후변화와 저탄소 녹색성장의 핵심 화두로 급부상하고 있는 에너지절약을 주요 테마로 하는 ‘세계 에너지절약 엑스포’도 동시에 개최된다. 자세한 사항은 웹사이트(www.exposolar.org)를 통해 확인할수 있다.
신근순 기자
2011-02-11
-
한국석유공사
▶이사회의장 이춘성
편집국 기자
2011-02-10
-
현대·기아차, 수소연료전지차 시범보급 MOU
고봉길 기자
2011-02-09
-
대전시, 지난해 E 절약 전국 최고
엄태준 기자
2011-02-09
-
中 PV 셀·모듈업체 매출, 韓 대비 10배
신근순 기자
2011-02-09
-
한국전기연구원
한국전기연구원 본부장 및 실장급 인사. 2월1일자
◇승진
▶대전력평가본부장 박병락
▶전기기기평가본부 대전력평가2실 나대열
▶기획부 성과확산실장 조현길
◇전보
▶대전력설비 증설사업본부장 김맹현
김성준 기자
2011-02-01
- 많이 본 뉴스
-
-
1
“韓 AI 투자 中 1/3 불과, AI 강국 4년 골든 타임”
-
2
2024년 철강 31社 경영실적
-
3
1~3월 전기車 배터리 사용량, 전년比 39%↑
-
4
LG화학, 제철소 CO2 포집 CO·H2 전환 추진
-
5
1~3월 글로벌 전기車 인도량, 전년比 35%↑
-
6
탄소산업진흥원, “기관장 업추비 4800만원 사실 아냐, 공시 단위 입력 오류”
-
7
제이앤티씨, TGV 유리기판 신사업 본격 추진
-
8
한화방산 3社, 중남미 방산 新시장 개척
-
9
국토부, ’28년 상용화 수소열차 실증 착수
-
10
화학연, 수중 로봇용 인공 근육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