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태양광, 저비용화·사업모델 확대가 ‘살길’
김성준 기자
2010-04-05
-
제1차 그린카전략포럼 개최
신근순 기자
2010-04-04
-
해양구조물 시장동향 및 전망
김성준 기자
2010-04-04
-
김용진 기계硏 그린환경에너지기계연구본부장
■전체적인 본부 소개를 부탁드린다그린환경에너지기계연구본부는 기계공학의 열유체, 연소 및 엔진 공학 등을 기반으로 화학, 전기 및 나노공학 등과 융합해 현재와 미래의 에너지환경 문제에 대응하는 환경에너지 기계 및 플랜트 장비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본 연구본부는 연구원의 2대 브랜드 중 환경에너지 플랜트 장비기술 분야를 주도하고 있으며, 160여명의 연구원으로 6개 핵심연구실로 구성돼 있다. 플라즈마 등의 독자 신기술을 이용한 폐자원의 청정에너지 생산 기계, 클린 엔진, 극저온 냉동기 및 유체기계, 가스터빈, 히트펌프, 원자력 발전용 열유체 기기 등의 에너지 및 환경기계 효율 향상 연구 분야에서 국내 최고의 연구기관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또한 열유체기계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마이크로·나노·바이오 응용분야의 미래 첨단 융복합 시스템 개발을 병행, 개척하고 있다.■세계적인 흐름인 저탄소 녹색성장 산업으로 주목받고 있는 그린환경에너지 분야의 중요성에 대해 설명해 달라그린환경에너지 분야는 기후변화 대응 중에서도 환경규제와 에너지 고갈 등 보다 시급하게 해결하지 않으면 안 될 중요한 문제를 해결하는 분야다. 기후변화협약, 교토의정서 등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전 세계적 분위기에서 이미 선진국들은 자원의 효율적, 환경 친화적 이용을 위한 저탄소 녹색 기술과 산업 개발을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설정하고 있다.이런 흐름에서 폐기물, 바이오매스의 신재생에너지의 활용, 제로에미션(Zero-Emission) 환경 공정의 개발, 에너지 효율 향상 등과 같이 자원이용을 극대화하고 환경오염을 최소화하는 에너지 자립 및 탈석유 사회의 실현을 위한 녹색 기술인 그린환경에너지분야의 중요성은 재론의 여지가 없다.특히 당면한 환경에너지 문제 해결과 국가 성장동력 산업화의 두 마리 토끼를 동시에 잡을 수 있는 ‘그린기술’과 산업을 연계한다는 점에서 녹색성장의 핵심 분야라고 할 수 있다. 우리 연구본부는 저탄소 녹색성장 산업에서 파급효과가 가장 큰 청정에너지 생산과 에너지효율 향상 기계 분야에 대한 연구를 전담하고 있으며 이 분야의 중요성이 앞으로 더욱 증대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그린환경에너지본부가 연구 중인 분야의 시장 규모는그린환경에너지를 연구하는 우리본부는 광범위한 스펙트럼의 시장을 가지고 있다.국가마다 범위의 정의 및 통계 데이터 등의 차이가 있어 정확한 파악이 쉽지 않지만, 먼저 본부의 핵심연구인 에너지환경 플랜트 시스템과 핵심 기자재 개발 부문에서 플랜트 협회 자료에 의하면 기자재를 포함하는 지난해 해외 플랜트 시장규모는 8,000억달러(900조원)으로 오는 2014년에는 1조달러(1,100조원)로 확대될 전망이다. 올해 국내 수주액은 500억달러에 육박할 것으로 예상되는데, 이 가운데 80% 이상을 에너지환경 플랜트가 차지하고 있을 정도로 시장규모가 크다. 특히, 최근의 UAE의 원자력 플랜트 수주 등으로 이 분야 시장의 지속적인 확대가 예상된다. 한편, 연구본부의 또 다른 중점분야인 녹색기술 분야 세계시장은 지난 2007년 1,000조원에서 오는 2020년 3,000조원까지 성장할 것으로 보고 있다. 현재 그린에너지 시장의 국내 점유율은 세계시장의 2% 미만으로 저조하지만 탄소배출권 시장, 신재생에너지 시장 등 녹색시장이 연 10% 이상의 고도성장을 구가하고 있어 국내시장 기준 2012년 170억달러, 2030년 3,000억달러 규모에 이를 것으로 예측된다.이렇듯 우리 본부의 2개 핵심분야에서만 현재 전 세계 약 2,000조원, 국내 50조원 이상의 시장을 형성하고 있다.■산업시장에 대한 영향력은 어느 정도인지에너지환경 플랜트 산업은 부가가치가 높고 대규모의 일자리 창출이 보장되는 성장동력 산업으로 타 산업에 비해 국가 경제적인 파급효과가 매우 크다.현재까지 그린환경에너지분야의 국내 산업규모는 GDP의 약 0.2% 수준이지만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그린에너지산업 발전전략에 따라 친환경 저탄소 청정화기술, 신재생에너지 및 에너지효율 향상기술 관련 국내 산업은 앞으로 급격히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국가 신성장동력 산업으로서 향후 산업시장에서의 영향력이 더욱 증대될 것으로 본다. ||
에너지환경 플랜트 시장 발전성 커‘Eco-Ener’ 플랜트 개발 주도||■실제 산업에 연결된 연구실적 중에 대표적인 사례는 지난 2007년 우리가 개발한 ‘배기처리용 플라즈마 버너’기술은 100억원 대의 대형 기술이전을 통해 현재 도시철도에 적용, 사업화됐으며 일반 경유차에 확대 적용될 예정이다.또 지난 2006년 개발한 정전유전체 미스트 응집 방식의 제로에미션 환경제어 기술은 2008년 반도체 공장의 25,000CMH 급 미세백연 처리시스템으로 성공적으로 적용되고 있다. 폐기물에너지 환경기술 분야에서는 생활폐기물 RDF 고형연료화 리사이클 플랜트 기술이 80톤/일 규모로 원주시에 설치·가동되고 있으며 국내 최초의 개발한 독자모델 열분해 용융 시스템은 강원도 양양에 위치한 30톤/일 규모 플랜트에 적용, 현재 성공적으로 운전되고 있다. 이밖에 에너지기기 분야에서는 민군겸용기술로 개발한 -225℃급 스터링(Stirling) 극저온 냉동기를 개발해 실용화 적용을 시작했다.■본부의 중요 성과를 꼽는다면먼저 앞서 답변에서 언급한 ‘배기처리용 플라즈마 버너’기술, 30톤/일 열분해 용융 시스템, -225℃급 스터링 극저온 냉동기기 등의 에너지환경 핵심 플랜트 및 기자재 개발을 주요성과로 들 수 있다.그 중에서도 플라즈마 버너 기술은 세계 최초로 플라즈마 방식의 DPF 재생용 버너를 개발, 연구원 설립 이래 최초로 100억원대의 대규모 기술료 계약을 체결하는 성과를 거뒀다는 점에서 높이 평가되고 있다.이는 현재 해외 기술 이전 추진과 함께 양산차 진입을 위한 상용화 지원 및 관련 응용 기술의 추가 개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이밖에 제3세대 LPG액상분사방식(LPLi, Liquid Phase LPG Injection) 11리터 대형 버스 개발도 빼놓을 수 없는 성과다.특히, 우리 본부는 연구원 가운데에서도 개발된 하드웨어 결과들의 성공적인 실용화 적용과 기업화에 의한 경상기술료를 획득하는 중요한 성과를 얻고 있다고 자부한다. 또한 지난해 중요성과로, 우리 본부는 국가 미래 에너지환경 플랜트 분야의 핵심연구를 위한 지식경제부 ‘Eco-Ener’ 플랜트 개발사업을 주도적으로 기획하고 담수화 및 펌프 등의 핵심 플랜트 및 기자재 개발을 담당하고 있다.■연구를 진행하며 어려웠던 점이나 필요하다고 느꼈던 부분은 어떤 것들인지국내 기업들의 기후변화에 따른 탄소저감 및 녹색 성장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은 확산되고 있으나 구체적인 저탄소 녹색성장 관련 지식과 국내외 시장정보가 부족하고 아직까지 충분한 시장이 형성되지 못해 기술 적용의 투자 의지가 미약한 형편이다. 이 때문에 아직 녹색 성장을 위한 환경 및 에너지 산업이 충분히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고, 탄소저감 및 에너지효율 향상과 관련된 실질적인 기술 수요가 높지 않다. 또한 국내 환경에너지 기술관련 기업들의 업체 현황, 생산품목, 수요 기술 등의 정보가 취약해 연구소의 기업지원 체계가 구조적으로 수립되지 못함에 따라 관련 기업과의 수요-공급 기술의 피드백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정부 주도의 투자와 함께 민간기업의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관련 지식홍보와 시장정보의 교류 및 확대가 요구된다. 연구원 내적인 부분을 살펴보자면, 국민소득 2만불시대에서 3만불로 진입하기 위한 출연연의 큰 역할 가운데 하나가 선진국을 추적하는 기술보다는 추월할 수 있는 핵심원천 및 차별화 산업 기술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상당한 기술의 깊이와 전문성이 요구되는 바, 출연연이 이에 가장 적합한 연구기관으로 육성돼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출연연에서 핵심분야를 집중적이면서 전문적으로 연구할 수 있는 체계가 필요하다고 본다.따라서, 현재와 같이 대부분 단기 상용화 및 기업위주의 연구에 집중되는 상황에서 벗어나 본부의 핵심원천 기술을 확보할 수 있는, 보다 중장기 핵심기술 개발을 위한 과제가 확대되는 방향으로 가야 할 것으로 본다. ■앞으로 그린환경에너지 분야의 전망과 연구 목표는향후 환경규제와 에너지 위기에 대비하는 청정화, 탈석유화 및 고효율화 기술개발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더욱 높아질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그린환경에너지 분야 산업은 장차 가장 큰 경쟁력을 가질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우리 본부에서는 온실가스 저감 및 분리를 위한 저탄소 공정 시스템 개발, 폐기물 자원 신재생에너지 개발, 그린에너지 효율 향상 기술 개발, 하이브리드 디젤엔진, 제로에미션 환경제어 기술 개발 등 저탄소 녹색 기계산업 기술의 국가경쟁력을 2020년까지 세계 최고수준으로 높이고자 최선을 다하고 있다.올해 우리 본부는 중점사업으로 Eco-Ener 플랜트 세부사업 기획 완료, 미래유망플랜트 및 핵심기자재 개발의 본격화, 환경에너지와 원자력 플랜트에 융합되는 핵심기기 개발, 그리고 본부 주요사업으로 수행되고 있는 2톤/일 규모의 플라즈마 가스화에 의한 신재생에너지 파일럿 플랜트 개발 완성 등을 주요 목표로 하고 있다.아울러 대일무역 역조를 극복하기 위해 선정된 에너지 및 원자력 플랜트용 핵심 기자재, 밸브, 펌프 등이 LNG극저온 기기센터 및 원자력기기 사업단 등과 연계해 개발될 예정에 있다.
엄태준 기자
2010-03-29
-
지난해 日 태양광 출하 2배 ↑ 138만kW
김성준 기자
2010-03-16
-
LG경제硏, 변모하는 중동 석유화학 산업
세계 석유화학산업에서 지금까지 산업을 주도해 온 유럽, 미국, 일본 등은 완연한 성숙기에 접어든 반면, 중국, 중동 등 신흥국의 세력이 눈에 띄게 강해지고 있다. 특히 강력한 원가 경쟁력에 기반한 중동 기업들의 생산능력 확대는 전 세계적인 관심이다. 기타 지역의 1/10 수준에 불과한 중동의 에탄 가스 등 원료 가격을 바탕으로 중동은 기초 석유화학 제품 부문에서 놀라운 양적 성장을 보였다. 중동 지역의 에틸렌 생산 능력은 2000년 전세계 생산 능력의 6%에서 2009년 15% 수준으로 빠르게 확대됐으며, 2015년경에는 약 20%에 달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또한 전세계 석유화학 제품 수출 시장에서 상당한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어 교역시장 내 중동의 영향력 강화는 기존의 메이저 플레이어들에게 상당한 위협요인이 되고 있다. 가장 직접적인 타격을 입고 있는 유럽의 경우, 석유화학 수출 시장에서의 지위가 크게 약화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중동 석유화학 기업들은 단기간 내에 자국 내 생산 능력 확대에 필요한 기술을 확보하고자 선진 기업들과의 합작을 적극적으로 활용했으나, 기본적으로는 유기적 성장(Organic Growth)전략을 고수해왔다. 사우디 아라비아의 Yanpet, PetroKemya, Jubail United Petrochemicals, 및 카타르의 Q-Chem, 쿠웨이트의 Equate 등이 모두 이러한 성장 모델 하에서 추진된 프로젝트들이다. 제품 측면에서는 저가 에탄원료로부터의 이익을 극대화하기 위해 PE 등 에틸렌 유도품 위주의 제품 포트폴리오를 구축했다. 현재까지도 카타르, 아랍에미리트 등의 중동 국가들은 프로필렌 유도품인 PP 생산 시설을 보유하고 있지 않다. 저가 에탄 가스에 기반한 파괴적인 원가 경쟁력은 차별적인 제품력이나 고도의 마케팅 역량 없이도 그 자체로 전세계 모든 시장에서 수출 경쟁력을 확보해주었으며 중동 석유화학 기업들은 30%를 상회하는 높은 수익률을 유지할 수 있었다.그러나 저가 원료의 확보가 더 이상 용이하지 않을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신흥 개도국의 수요 급증으로 석유 자원의 고갈 가능성이 제기되고, 화석 연료 사용을 억제하는 환경 규제가 강화되면서 중동 국가들이 석유화학 산업의 육성방식 전환을 고민하게 됐다.특히 원료로 사용되던 수반 가스(Associated gas, 원유와 함께 매장되어 있는 가스로 순수 천연가스전의 비수반 가스대비 에탄 함량이 3배 가량 높다)가 부족해짐에 따라 중동석유화학 신증설 설비 가동은 발목을 잡혔다. 이러한 가스 부족난은 OPEC이 2008년 9월 이후 유가를 배럴당 70~80달러 수준으로 유지하기 위해 원유 감산 조치를 취해왔기 때문이다. 사우디 아라비아의 가스는 총 매장량 가운데 57%가 수반 가스 형태로 매장돼 있어 원유 생산 감소는 가스 생산 감소로 이어졌다. 2008년에서 2010년 사이 에틸렌 생산 설비는 500만 톤 이상 증가한 반면, 원유 생산 감소에 따라 가스 공급은 오히려 감소한 것이다. 또한 중동 국가들에서는 발전용 연료에 있어서 가스가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높아 전력 수요 급증에 따른 가스 사용량도 급증하고 있다. 여기에 중동 산유국들의 유전 노후화에 따라 원유생산을 위한 수반 가스 재주입(Re-injection) 필요량 증가도 중동 석유화학 산업의 원료 부족난을 가중시키는 요인으로 작용될 전망이다. 실제로 아부다비는 하루 평균 가스 생산량가운데 약 35%를 유전에 재주입하는데 사용하고 있다. 아부다비 국영 가스 기업 Adgas의 이사 하메드 알-마주키(Hamed al-Marzouqi)는 유전의 압력을 높여 생산률을 끌어올리기 위해 재주입되는 가스 필요량이 2020년까지 연 평균 8%씩 상승할 것이라 분석하기도 했다.이렇듯 중동 석유화학 산업은 파괴적 경쟁력에 기반한 자국 내 생산능력의 추가적 확대에 있어 한계를 맞이하고 있다. 그러나 중동국가들이 경제 성장을 위해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무기는 석유자원이 유일하다. 석유화학 산업은 석유자원을 고도로 활용할 수 있는 최적의 산업으로, 중동국가들의 향후 경제 성장 노력에 있어서 그 역할이 보다 중요해질 전망이다. 이에 중동 석유화학 산업은 성장 모델전환을 통해 점차 납사, LPG 등 다양한 원료를 활용해 고부가가치 다운스트림 영역으로의 사업 도메인 확장을 도모하고 있다. 그러나, 새로운 성장 모델 하에서 중동 석유화학 산업의 경쟁력은 더 이상 과거 저렴한 에탄가스 가격에서 확보하던 수준에 크게 못 미칠 전망이다. 이에 따라 중동 기업들은 기능성 석유화학 제품 사업에서의 핵심 성공 요인인 R&D, 마케팅 역량 및 현지고객 기반 확보를 위해 더욱 적극적으로 현지진출 및 해외 자산 인수에 힘을 쏟을 것으로 보인다. 특히 현지 사업 인수를 통한 비유기적 성장(Inorganic Growth)은 중동국가들이 기대하는 수준의 빠른 양적, 질적 성장을 가능케 해 줄 수 있는 전략적 수단으로 적극 활용될 전망이다.세계 경기 침체 속에서도 잇따르고 있는 중동 기업들의 해외 직접 투자 소식은 중동석유화학 산업이 새로운 성장 모델로 전환하고 있음을 방증한다. 석유화학 산업을 적극적으로 육성하고 있는 사우디 아라비아, 아부다비, 카타르 등 3개국의 사례를 집중적으로 살펴본다. ||사우디, 중국과 전략적 협업아부다비, 해외에 직접 투자 확대 카타르, 아시아 프로젝트 적극 투자||△사우디 아라비아 사우디 아라비아의 석유화학 산업은 제 8차 경제 개발 기간(2005~2009) 동안 사우디 정부가 설정한 석유화학 부문의 연평균 7.3%의 부가가치 성장률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여타 중동 국가들 대비 일찍 성장 모델의 전환을 시도해왔다. 자국내 생산능력 확대와 더불어 일찌감치 해외 시장 직접 투자에 발벗고 나선 결과, 고도의 마케팅 역량을 확보하고 고부가가치의 기능성 제품군으로 사업 도메인을 확대하는데 성공했다. 사우디 아라비아의 對유럽 에틸렌 유도품 수출 통계를 살펴보면, 빠르게 증가하던 시장 점유율이 2004년 이후 120만 톤 수준에서 횡보를 거듭하고 있으나 DSM, Huntsman 등 유럽 현지의 인수 자산을 통해 생산 및 판매하고 있는 약 300만 톤에 달하는 석유화학 제품을 고려할 경우, 사우디 아라비아의 유럽 시장에 대한 영향력은 막대하다고 할 수 있다. 나아가 2007년 GE Plastics 인수를 통해 범용 일변도의 제품 포트폴리오를 보다 고부가가치의 기능성 제품 군으로 확대하기 위한 발판을 마련함과 동시에 명실상부한 글로벌 메이저 플레이어로 도약했다. SABIC과 아람코는 글로벌 플레이어로서의 입지를 강화하기 위해 세계 최대의 시장, 중국에서 마치 하나의 가상 기업과 같이 전략적으로 협업하고 있다. 아람코는 Sinopec 등과의 합작을 통해 Fujian 정유-석유화학 콤플렉스에서 생산하는 석유학 제품의 판매 및 마케팅을 SABIC의 중국 현지 판매 법인 SABIC Shenzhen Trading이 담당토록 하고 있다. 2008년 마케팅 협정을 체결하는 자리에서 SABIC의 부회장이자 CEO 모하메드 알-마디 또한 사우디 산업 발전의 가속화와 GDP 성장 극대화에 최대한 기여할 수 있도록 아람코와 마케팅, 기술 등 사업 전반에 걸쳐 전략적 협력 관계를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아부다비 아부다비는 ‘경제 비전 2030’을 달성하기 위한 마스터플랜에서 원유 정제 부문과 석유화학을 중심 축에 두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자국 내 사업을 플랫폼으로 하여 아부다비의 영향력을 글로벌 영역으로까지 확대하고자 자국 내 석유화학 생산능력 확대와 더불어 국부펀드 IPIC를 통한 아시아, 북아프리카, 유럽 등지에의 직접 투자 확대 계획을 강조하고 있다. 해외 탄화수소 시장에 투자하는 것을 목적으로 1984년 설립된 IPIC는 아부다비의 석유 및 석유화학 사업에 있어서 합작업무를 원활화 하는데 기여할 뿐 아니라, IPIC의 포트폴리오에 포함된 기업들의 기술과 사업 노하우, 네트워크 등을 통해 아부다비의 석유화학 산업 발전에 적극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이미 1997년 유럽 석유화학기업 Borealis의 인수를 통해 확보한 기술력을 바탕으로 자국내 Borouge 설립을 성공적으로 이끈 바 있는 IPIC는 아부다비의 경제 비전 수립에 따라 최근 더욱 두드러진 활약상을 보여주고 있다. 첫번째 성과는 지금까지 중동 석유화학 산업의 최대 취약점 중 하나로 꼽혀왔던 엔지니어링 기술의 확보이다. 지난해 1월 독일의 엔지니어링 기업 만페로스탈(MAN Ferrostaal)을 인수함으로써 중앙아시아 등지에서 검토하고 있는 석유화학 프로젝트를 비롯해 자국내 정유연계 석유화학 프로젝트 등에 만페로스탈의 엔지니어링 기술을 활용할 수 있게 되었다. 나아가 캐나다의 노바 케미컬즈(Nova Chemicals)를 인수함으로써 북미 시장 유통망을 확보했다. IPIC의 이사 카뎀 알 쿠바이시(Khadem al-Qubaisi)는 노바케미컬즈가 IPIC의 석유화학 부문 장기 성장 전략에 잘 들어맞으며, 선진 시장에 대한 마케팅 역량과 세계 수준의 테크놀로지를 제공하고 상품 범위를 넓혀줌으로써 IPIC의 기존 석유화학 포트폴리오에 시너지를 창출해 줄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IPIC의 활약은 올해에도 계속될 전망이다. 약 150년 전통의 글로벌 화학기업 Bayer의 일부 자산 인수 내지는 합작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기 때문이다. 아부다비는 현재 납사 원료 기반 초대형 석유화학 프로젝트 Chemaweyaat을 추진하고 있으며, 제품 다각화를 위해 특히 벤젠 및 페놀 체인의 강화를 검토 하고 있다. 이에 벤젠 기반 기능성 석유화학 제품인 폴리우레탄과, 페놀 기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인 폴리카보네이트에 있어서 세계 최고의 지위를 확보하고 있는 Bayer의 MaterialScience 부문은 아부다비가 바라는 제품 기술력 및 글로벌 고객 기반 등을 한꺼번에 제공해줄 수 있는 매력적인 자산이 아닐 수 없다. ||△카타르 카타르의 적극적인 아시아 시장 직접 투자 움직임도 두드러진다. 2008년 사업보고서에서 QP는 QPI(Qatar Petroleum International)를 통해 향후 전세계 에너지 및 석유화학 프로젝트 대한 전략적 투자를 강화해 나갈 것임을 천명했다. QP회장 압둘라 빈 하마드 알-아티아(Abudllah Bin Hamad Al-Attiyah)는 ‘2008년은 ‘카타르국가 비전 2030’이 발표된 뜻 깊은 해로서, QP는 카타르의 경제 비전 달성에 있어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중국에서의 정유 연계 석유화학 콤플렉스 및 싱가포르 석유화학 생산 설비 투자 등을 검토 하고 있다’고 덧붙인 바 있다. QPI는 자국의 풍부한 LPG 원료를 레버리지하여 최근 페트로차이나(CNPC) 및 중국해양석유총공사(CNOOC) 등 중국 메이저 기업들과의 대규모 석유화학 프로젝트 추진에 합의하고 중국 당국으로부터 사업 허가를 받은 상태이다. QPI가 페트로베트남 등과의 합작을 통해 베트남에 건설 예정인 40억 달러 규모의 석유화학 콤플렉스에서도 카타르의 LPG가 원료로 사용될 예정이다. 아시아 생산 능력 확대와 더불어 물류 허브 확보에도 성과를 나타내고 있다. QPI는 2009년 쉘과의 합작을 통해 기존 PCS(Petrochemical Corporation of Singapore)와 TPC(The Polyolefin Company Singapore)에 대해 쉘이 보유하고 있던 지분의 절반을 확보했다. 쉘과 스미토모가 합작을 통해 운영해온 PCS와 TPC의 경우, 강력한 수직통합 및 물류에 유리한 지리적 조건 등으로 아시아 석유화학 설비중 경쟁력이 높은 자산으로 손꼽히고 있다. 싱가포르 거점 확보는 카타르가 자국 내에서 생산된 석유화학 제품을 아시아 시장에 수출 하는데 있어서도 시너지를 창출해 줄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전망중동 기업들은 유럽 및 북미 등의 선진 시장 직접 투자를 통해 수출형 성장 모델 하에서 가장 취약했던 브랜드 파워, 현지 시장 노하우, 고급 인력 등 소프트 자산 확보에 비약적 성과를 거두고 있다.중동 석유화학 산업은 자국내 생산 능력 확대와 적극적인 해외 직접 투자의 두 가지 성장 축을 동시에 활용함으로써 진정한 글로벌 플레이어로의 도약을 준비하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회계 및 금융 자문 기업 KPMG는 최근 화학 산업 리포트에서 중동 현지에서의 생산 능력 확대는 중동 화학기업들의 성장 전략 중 한가지일 뿐이라고 지적하고 있다. KPMG는 중동 기업들이 사업 영역을 확대하고 제품과 고객군을 다양화하기 위해 글로벌 수준에서의 인수합병을 전략적 도구로 활용함으로써 2015년경에는 세계 석유화학 산업의 주도권을 장악하게 될 것으로 전망했다. 중동 석유화학 산업의 성장 모델 전환이 우리 기업들에게 미치는 영향은 단기적으로 크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오히려 중동 현지의 수출용 신증설 물량이 가스부족 문제로 차질을 빚음에 따라 수출 비중이 높은 국내 기업들의 반사 이익이 예상되기도 한다. 그러나, 중동 국가들이 막대한 오일 머니를 기반으로 서구 선진 기업들의 자산을 지속적으로 확보해 나갈 경우, 장기적으로 중동의 영향력은 과거 단순히 수출 시장에 대한 위협과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막강해질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서구 선진기업들은 중장기적으로 수익성 악화가 예상되는 부문에 대해 과감한 포트폴리오 조정을 추진하는 한편, 새로운 성장 엔진 발굴에 투자를 아끼지 않고 있다. 우리 기업들 또한 장기적으로 세계 석유화학 산업의 구조적 변화의 흐름에서 자유로울 수 없을 것이다. 수출 확대를 통해 성장해온 국내 석유화학 기업들은 범용제품 위주의 양적 성장 방식이 과연 장기적으로도 유효할 것인지에 대해 재고해 보아야 할 것이다.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해서는 과거의 성장 모델에 안주하지 말고 지금부터 적극적으로 대응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신근순 기자
2010-03-11
-
WPM 20대 후보 소재, 옥석 가리기 시작
■아연동친환경 Smart 표면처리 강판아연동친환경 Smart 표면처리 강판은 냉연 강판 표면에 기존 보다 얇은 고기능성 박막을 진공 중에서 전자기 유도가열에 의한 부양 및 고속 증발기술로 코팅해 자동차, 영상가전, 건축의 내구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킨 차세대 철강소재다.이 소재는 오염물질 배출이 없고 기능성을 강화한 독자적 핵심기술을 이미 확보해 강력한 진입장벽 형성이 가능하다. 최근에는 세계1위의 철강사인 유럽 Arcelor-Mittal사가 유사 기술 개발에 나서 경쟁이 치열해 지고 있다.2018년 친환경 Smart 표면처리 강판 세계 시장규모는 224조원으로 7조2,000억원의 매출과 3,600명의 신규고용 창출이 기대된다.■수송기기용 초경량 Mg 소재수송기기용 초경량 Mg 소재는 가장 가벼운 금속소재로서 고강도·고성형성 기술을 적용해 수송기기의 고성능화 및 경량화를 통해 탄소배출의 획기적 저감과 에너지 효율을 제고하는 녹색소재다.이 소재는 그린수송기기 핵심소재로 연평균 12% 이상 고속성장이 예상되며 우리나라는 신합금 및 가공용 중간재 제조 관련 세계 최고 수준 기술력을 확보하고 있어 세계시장 선점이 가능하다.핵심기술로는 고강도 형재 고속 압출기술, 고성형성 판재 고효율화 기술, 고내식 합금 설계기술 등이 있다.수송기기용 초경량 Mg 소재의 2010년 세계 시장규모는 2조7,000억원이며 4,000억원의 매출과 2,600명의 고용창출이 기대된다. 기술개발 시 경량소재 분야 선점을 통한 그린수송기기 성장동력 확보 및 온실가스 저감의 효과도 예상된다.■Ni 저감형 Eco-stainless 강재Ni 저감형 Eco-stainless 강재는 고가인 Ni의 함량을 최소화하고 자원 재생율을 극대화한 친환경 소재로서 초고강도, 고인성 및 내식성, 내마모성 등 다양한 특성을 가진 새로운 스테인리스 철강소재다.우리나라는 고질소 내식강 분야에서 세계 최고 수준의 핵심기술을 이미 확보해 세계적 고유 브랜드화가 가능하며 기존 스테인리스강을 대체해 신시장을 창출 할 것으로 기대된다.우리나라는 2018년 고질소내식강 목표수준을 강도 800Mpa, 연성 20%로 잡았다.이 소재의 2018년 세계 시장규모는 3조6,000억원으로 매출 6,500억원, 1만9,500명의 고용창출이 예상됐다.■원자력 발전용 핵심소재원자력 발전용 핵심소재는 안전성, 경제성, 지속성을 향상시킬 원전 핵심부품인 핵연료 피복관, 증기발생기, 1차 및 2차 계통에 적용할 소재를 말한다.이 소재를 개발 시 독자적인 원전 설계 및 제조 기술의 확보가 가능해지며 이로 인해 부품, 조립 등 원전 산업을 입체화해 세계 원전 시장을 주도할 것으로 기대된다.핵심기술로는 Ni계 고성능 전열관 소재기술, Zr계 고성능 고유 핵연료 제조기술, SIC 세라믹 복합소재기술 등이 있다.2018년 원자력 발전용 핵심소재 세계시장 규모는 9조7,000억원으로 우리나라는 2조9,000억원의 원전소재 수입대체효과와 1만7,400명의 고용창출이 예상된다. 또한 기술개발 시 세계 최고 수준의 원전소재 경쟁력 확보 및 세계 4번째 소재 생산국으로서의 위상 강화 효과도 기대된다. ■에너지 절감·변환용 다기능성 나노복합소재에너지 절감·변환용 다기능성 나노복합소재는 금속, 고분자, 세라믹 기지내에 탄소나노튜브, 그래핀 등 나노 구조체를 분산시켜 기능을 혁신적으로 개선하고 신기능을 창출하는 다기능성 나노복합소재다.우리나라는 선진국과 동등 수준의 나노복합소재 관련 원천 기술을 이미 확보했다. 또한 세계적으로도 관련 제품 제조가 초기단계여서 향후 10년 이내 시장 성장성이 매우 높은 첨단 신소재다.핵심기술로는 복합·융합소재 기능 부여 설계기술, 나노복합소재 대용량 제조기술 등이 있다.이 소재의 2018년 세계시장 규모는 40조원으로, 4조원의 매출과 2,500명의 고용창출이 기대된다. ■다기능성 고분자 멤브레인 소재다기능성 고분자 멤브레인 소재는 친환경 수처리 및 고성능 연료전지에 사용될 수 있는 다기능 분리특성 고분자 소재다.이 소재는 향후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는 물산업용 소재로 유망하며 그린에너지 생산, 환경부하 저감 등에 다양하게 활용가능하다.핵심기술로는 내파울링성 분리막 제조기술, 선택성·저압고투과성 향상 기술, 내구성 향상 기술 등이 있다.다기능성 고분자 멤브레인 소재의 2018년 세계시장 규모는 20조원으로 6조원의 매출과 2,100명의 신규 고용창출이 기대된다.■고차단 가변특성 폴리올레핀계 소재고차단 가변특성 폴리올레핀계 소재는 극성올레핀과 비극성올레핀을 공중합해 세계 최초로 상업화 할수 있는 물질로 기존의 물성과 더불어 투명성, 가스 차단성, 접착성, 내열성 등 특화된 기능성을 갖는 신개념의 폴리올레핀 소재다.원천 기술력 확보 시 시장 지배력의 지속 확보가 가능하며 자동차 내외장재, 전기전자용, 의료용, 제품포장용, 건축용 등에 사용 가능하다.핵심기술로는 비극성·극성 촉매중합, 구조설계 기술, 초고유동성 폴리올레핀 제조 기술 등이 있다.이 소재의 2018년 세계시장 규모는 29조원으로 5조8,000억원의 매출, 1,000명의 신규 고용창출이 기대된다.■Flexible 디스플레이용 플라스틱 기판 소재Flexible 디스플레이용 플라스틱 기판 소재는 평판 디스플레이의 유리기판을 대체해 휘거나 구부릴 수 있는 디스플레이를 구현할 수 있는 핵심소재로서 저가·대면적 공정에 필수적인 소재다.이 소재는 고분자 소재, 필름, 투명전극 등 통합개발이 요구되며 롤투롤 연속공정을 통해 저가·대면적화가 가능해 제조원가를 획기적으로 낮출 수 있다.핵심 기술로는 필름 제막 기술, 광학코팅 및 COP계 수지·필름 기술, 투명전극 성막 기술 등이 있다.2018년 Flexible 디스플레이용 플라스틱 기판 소재 세게 시장 규모는 8조원으로 2조7,000억원의 매출과 1,100명의 신규 고용 창출이 기대된다. 특히 이 기술 개발 시 디스플레이 최강국의 지위를 유지할 것으로 예상된다.■인쇄전자용 잉크 소재인쇄전자용 잉크 소재는 기존 리소그래피 공정을 인쇄공정으로 대체해 획기적으로 원가절감이 가능한 물질로 다양한 전자·광학 기능을 갖는 소재를 잉크화해 디스플레이 및 전자소자에 적용가능하다.이 소재는 저가격, 친환경, 유연, 대면적, 대량생산 및 저온 등 획기적인 공정상의 장점을 제공할 수 있는 소재이며 RFID, 디스플레이, 조명, 태양전지, 이차전지 등 신산업 창출을 가능케 한다.핵심기술로는 유기반도체 설계·합성 기술, 나노입자화 및 분산기술, 잉크의 인쇄적합화 기술 등이 있다.2018년 인쇄전자용 잉크소재의 세계시장 규모는 11조원으로 3조3,000억원의 매출과 2,700명의 신규 고용창출이 기대된다■고에너지 이차전지용 전극(양극, 음극)소재고에너지 이차전지용 전극(양극, 음극)소재는 전자제품, EV, 로봇 등에 적용되는 이차전지용 필수 소재다. 이는 고용량, 고안전성, 저가격 등 이차전지 성능과 코스트를 좌우하는 전극소재로서 국내 전지 제조업체의 시장점유율이 높아 개발 시 지속적인 시장지배가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핵심기술로는 LMO 및 LMP 제조기술, SC 및 천연흑연 제조 기술, Si합금 제조 기술 등이있다.이 양극, 음극 소재는 2018년 세계시장 7조원, 2조8,000억원의 매출, 2,000명의 신규 고용창출효과가 기대된다. 또한 이차전지의 최대 용량 구현으로 원천기술 개발 및 시장을 주도할 수 있는 분야다.■고성능 LED용 패키징소재고성능 LED용 패키징소재는 차세대 광원으로 부상하고 있는 LED 소자 제조에 사용되는 봉지제, 렌즈, 접착 소재와 LED 고속냉각을 위한 양자선 나노튜브 소재 등을 말한다.이 소재는 친환경, 고효율화 요구로 인해 폭발적 성장세가 유지될 것으로 예상되며 해외 수입의존도가 높아 대체 시 국가경쟁력 향상에 기여도가 높을 것으로 보인다.핵심기술로는 고굴절율 실리콘 소재 중합 및 물성 제어기술, 1-D 양자선 나노튜브 합성 및 성형기술 등이 있다.LED용 패키징 소재 세계시장은 2018년 2조6,000억원, 7800억원 매출과 2,500명의 신규 고용 창출이 기대되며 원천소재 확보 및 신뢰성 향상을 통래 LED 시장을 주도할 것으로 예상된다.■그린폴리머소재그린폴리머소재는 생산과정에서 CO2배출이 적은 생분해성 소재로 비식량자원을 원료로 사용해 기존의 석유기반 폴리머소재를 대체하는 물질을 말한다. 저탄소 녹색성장의 기반소재로서 세계적으로 개발초기 단계여서 시장확대 및 점유가 가능하며 그린카, 전기전자, 건축용 소재 등에 적용 가능해 후보에 올랐다.주요기술로는 셀룰로오즈·리그닌 복합재 제조기술, 바이오기반 단량체 생산 기술 등이있다.그린 폴리머 소재의 2018년 세계시장규모는 69조원으로 13조8,000억원의 매출, 1,500명의 신규 고용창출이 기대된다. 또한 생분해성 및 바이오기반 고분자 소재 시장도 창출 가능할 것으로 기대되는 분야다.■바이오 메디컬 소재바이오 메디컬 소재는 단백질, 아미노산 등 생체친화 화학소재와 생분해성 금속, 고청정 금속소재를 융합한 소재다. 이 소재는 인구 고령화에 따른 헬스케어 수요 급증으로 큰 성장이 예상되며 기존의 생체소재로 대응할 수 없는 신규수요를 창출함으로써 세계 미래 의료시장의 선점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핵심기술로는 단백질 생산 수율 및 순도 향상 기술, 고품위 금속 생산 기술, 비천연 아미노산 생산 기술 등이 있다.바이오 메디컬 소재의 2018년 세계시장 규모는 11조원으로 2조2,000억원의 매출과 7,000명의 신규 고용창출이 기대된다.■초고순도 SiC소재초고순도 SiC소재는 신재생에너지 및 EV에 사용되는 고효율 전력변환 에너지 반도체와 LED·반도체 공정에 적용 가능한 초고순도 SiC 미래소재다.이 소재는 전세계적으로 초기단계이며 기존 소재 대비 뛰어난 전기에너지 효율, 대전력, 고집적화가 가능해 반도체, 자동차, LED산업이 세계 최고수준으로 성장하기 위해선 반드시 필요한 소재다.핵심기술로는 초고순도 SiC 전구체 및 원료합성 기술, 고품위 SiC 단결정 성장기술, 반도체·LED 핵심공정용 초고순도 SiC소재 등이 있다. 초고순도 SiC소재의 2018년 세계시장규모는 3조7,000억원으로 1조3,000억원의 매출과 5,000명의 신규 고용창출이 기대되며 이 소재를 기반으로 한 신재생에너지, EV, 차세대 반도체·LED분야의 경쟁력 강화도 예상된다.■LED용 사파이어 단결정LED용 사파이어 단결정은 고효율, 고휘도 GaN LED에 사용되는 사파이어 단결정 기판 소재다. 세계시장 선도를 위해서는 대구경 및 잉곳 사용효율이 높은 사파이어 단결정 육성기술이 필수적으로 개발돼야한다.핵심기술로는 무결점 단결정 성장기술, 대구경 성장기술, 잉곳 사용효율 50% 이상의 결정 성장 기술 등이 있다.이 소재의 2018년 세계시장규모는 2조4,000억원으로 7,200억원의 매출과 3,000명의 신규고용창출이 기대되며 기술 개발 시 LED산업의 기술 및 시장을 선도할 것으로 전망된다.■질화물계 반도체 단결정 소재질화물계 반도체 단결정 소재는 Si 계 반도체의 재료 특성한계를 뛰어넘는 차세대 반도체 재료로 고온·고출력·고속반도체 및 LED, LD, 하이브리드카 등에 활용되는 물질이다.세계적으로 고품질 대구경(4인치 이상) 단결정 양산 업체는 전무한 상태로 기술개발 시 소재 사업뿐 아니라 소자·모듈·기기 사업경쟁력이 제고 될 것으로 기대된다.핵심기술로는 고품질 질화물 단결정 용액 성장기술, 질화물 단결정 조성 제어기술, 질화물 단결정 전도성 조절기술 등이 있다.이 소재의 2018년 세계 시장규모는 1조9,000억원으로 5,700억원의 매출과 910명의 신규 고용창출이 기대된다. 또한 질화물 반도체소재 분야의 세계시장 선점 및 소자기술 경쟁력제고의 효과가 예상된다. ■대용량 전력저장 소재대용량 전력저장 소재는 신재생에너지를 국가 전력전송망 및 스마트그리드에 연결하기 위해 필수적인 MW급 이상의 고효율·고신뢰성 대용량 전력 저장용 세라믹소재로서 NaS 전지 등에 활용된다.이 소재를 개발해 세계적 지배력을 확보하고 있는 국내 상온형 이차전지 Set업체와 연계 시 고유브랜드화가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핵심기술로는 주요 소재인 관형 베타알루미나 전해질 소재, 용융 황·그라파이트 펠트 양극 소재 등이 있다.대용량 전력저장 소재의 2018년 세계시장 규모는 1조3,000억원으로 1,300억원의 매출과 2,000명 신규 고용창출이 예상된다. 기술개발 시 이차전지와 연계해 세계 최대 용량 전지기술 확보가 가능해져 신재생에너지 등 분산발전 및 원자력, 스마트그리드 확대 보급의 효과가 기대된다■녹색 지능형 무연 압전 소재녹색 지능형 무연 압전 소재는 친환경소재이고 미래형 자동차의 자동주차 시스템에 장착돼 세계 최초 원거리 초음파 센서용 세라믹 소재로서 기존 연계 압전소재보다 성능이 뛰어나다.이는 미래형 자동차의 기본사양으로 탑재될 자동 파킹시스템의 공간 이미지 센싱용 초음파 센서 소재로서 세계적으로 아직 미완성돼, 개발완료 시 세계 최초의 독점적 소재 산업을 확보하게 된다.핵심기술로는 고감도 무연 경압전체 조성 및 적층 성형기술, 대전력 무연 압전 소재용 나노 분말합성 기술 등이 있다.녹색 지능형 무연 압전소재의 2018년 세계시장규모는 3조,2000억원이며 1조,9000억원의 매출과 3,500여명의 신규 고용창출이 기대된다. 특히 기술개발 시 국제환경규제대상인 기존의 모든 압전소재를 무연소재로 대체해 친환경소재 시장을 선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탄소저감형 프리미엄 케톤 섬유탄소저감형 프리미엄 케톤 섬유는 고강력, 고탄성율과 함께 우수한 계면 적합성을 가지는 소재로서 기존 타이어코드, 산업용 보강재 등으로 활용되는 아라미드 섬유를 대체 가능한 세계 최초의 산업용 섬유 소재다.이 소재의 개발 시 우리나라는 새로운 산업용 섬유 원천소재를 확보하게 되며 아라미드 섬유 대비 70% 수준의 가격경쟁력을 갖게 돼 아라미드 섬유 시장을 대체할 수 있다.우리나라는 세계 최초 고성능 폴리케톤 섬유개발과 폴리케톤 섬유·수지 응용 복합소재 개발 등을 목표로 삼았다.2018년 탄소저감형 프리미엄 케톤 섬유의 세계시장규모는 4조9,000억원, 1조4,700억원의 매출과 3,700명의 신규 고용창출이 기대됐다. 또한 기술개발 시 자동차, 전기전자, 항공기, 산업용 부품소재 수요시장이 창출되고 세계 시장을 선점할 것으로 전망됐다.■신 아마이드계 합성수지·섬유신 아마이드계 합성수지·섬유는 Cotton 시장을 대체 가능한 세계 최초의 초고흡수성·고신축성 신 아마이드계(Nylon계) 합성섬유소재로서 스포츠, 이너웨어에 활용 가능한 소재다.이 소재는 Cotton 대비 우수한 UV차단, 고감촉 등의 기능과 50% 수준의 가격경쟁력을 확보하고 있어 섬유산업의 미래성장동력형 원천 신섬유 소재로 알려졌다.우리나라는 세계 최초 신 아마이드계 섬유 상업화와 수분흡수율 7%이상, UV차단율 97.5%, 탄성회복률 40% 달성을 목표로 삼았다.2018년 신 아마이드계 합성수지·섬유 시장은 3조,2000억원으로 9,600억원의 매출과 2,900명의 신규 고용 창출이 기대된다.
신근순 기자
2010-03-11
-
송창규 한국기계연구원 나노융합·생산시스템연구본부 본부장
△본부소개를 부탁드린다.한국기계연구원 나노융합·생산시스템연구본부는 초정밀 가공, 제어, 설계 기술을 바탕으로 나노미터에서 마이크로미터의 정밀도를 가지는 제품을 생산하기 위한 소재, 공정, 장비, 측정, 평가 기술로 프린팅 공정장비, 자연모사 바이오기계, 나노공정 및 측정장비. 초정밀 기계시스템, 로봇 및 지능기계, 고에너지 빔 응용 에코 생산기계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이러한 기술들은 나노융합 산업을 비롯한 일반기계, 디스플레이, 산업용 로봇, 차세대 가공시스템, 디지털 콘텐츠 등 모든 산업의 핵심기반기술이다. △지난해 9월 2개 본부(나노융합기계, 지능형생산시스템)가 합쳐져 나노융합·생산시스템연구본부로 조직개편이 됐는데한국기계연구원의 2대 브랜드는 나노·마이크로 생산장비 원천기술 개발과 환경·에너지플랜트 기계장비 원천기술 개발인데 그 중 나노 브랜드 쪽을 본 본부가 맡고 있다.나노융합 부분과 생산시스템 부분은 그 분야에 맞게 전문화 돼 있지만 서로가 협력해서 과제해결을 하는 크로스 연구과제가 많았었다. 한 본부로 운영되는 지금은 연구과정이 훨씬 유기적이고 효율적으로 움직일 수 있어 좋은 성과를 내고 있으며 앞으로 더 많은 시너지효과를 만들 것이다. 실제로 얼마전 기관 평가에서도 상당히 좋은 평가를 받은 부분도 그런 효과라 생각한다.△선진국과 비교했을 때 우리 나노융합 연구분야의 위치는 우리나라 연구위치는 나노 융합연구 분야 강국인 미국, 일본, 독일에 비해 평균85%정도의 기술 수준을 보이고 있는 걸로 알고 있다. 우리는 2020년 세계1위의 나노 강대국이 되고자 최선의 노력을 다하고 있다.△지난해 나노융합·생산시스템연구본부가 거둔 중요한 성과를 꼽으면지난해 산업체인 대성하이텍에 100억원의 기술이전료를 받은 성과를 꼽을 수 있다.10년간의 연구로 완성된 프린팅 공정 기술은 급격히 커지고 있는 유기 태양전지 생산용 롤 프린팅 시장을 선점하는데 긍정적으로 작용 할 거라 생각한다. 이제 프린팅 공정·장비 기술은 세계 최고 수준이라 할만하다.△나노융합·생산시스템연구본부가 올해 가장 중점으로 두고 있는 연구는유연유기 태양전지 프린팅 공정·장비 기술이다.필름이나 유리와 같은 기판 위에 다양한 종류의 전도성·반도체성·절연성 물질을 정밀하게 인쇄하는 공정·장비 기술을 말하는데 이 기술은 유기 태양전지는 물론, 다양한 태양전지 생산에 응용 할 수 있다. 1세대 실리콘 태양전지 시장을 유기 태양전지 시장으로 이끌고 10년 내 태양전지의 효율을 10%이상(실리콘 효율 2% 미만) 내는 연구과제이다.
엄태준 기자
2010-03-05
-
국가 산업의 핵심으로 떠오른 ‘희소금속’
신근순 기자
2010-03-05
-
다양한 소재의 결합체 ‘복합소재’
복합 소재란 금속, 세라믹, 화학 소재 등 서로 다른 종류의 소재들이 필요에 따라 결합된 소재를 말하지만 최근 들어 나노기술의 발전 등으로 ‘복합’의 재정의가 일어나고 있다. 복합 소재는 특성에 따라 나노필러 복합소재, 하이브리드형 복합소재, 알로이형 복합소재 등 크게 세 가지로 구분된다. 일부 소재기업들은 환경·에너지 문제 등 새로운 니즈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비즈니스 모델의 혁신을 선제적으로 추진하고 있으며 단편적인 소재 기술만으로 구현되지 않는 소재 복합화를 위해 관계사 또는 외부 기업과의 협력을 통해 방향을 찾고 있다. 또한 소재 개발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개방형 혁신을 지원하기 위한 정부의 코디네이터 역할 또한 그 어느 때 보다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왜 복합소재인가 =생활속의 복합소재 오늘도 우리는 끊임없이 ‘소재’를 접촉하고 있으며, 이러한 소재는 수요 산업에 따라 전자 소재, 광학 소재, 자동차 소재 등으로, 혹은 성분에 따라 금속, 세라믹, 화학 소재 등으로 구분된다. ‘복합’ 소재는 무엇일까? 우리가 흔하게 접하는 철, 플라스틱, 유리 등의 소재들이 다양한 니즈에 맞게 결합된 것이다. 복합 소재의 역사는 초가집의 보온성, 강도 등을 위해 황토와 볏짚을 섞어 만든 황토벽돌이 그 시초로 이외에도 자동차타이어, 주택용 물탱크, 소형 선박 등 복합소재가 사용되는 제품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이처럼 오래 전부터 존재해 온 복합소재에 최근 다시 주목하는 이유는 복합소재가 기후변화로 대표되는 환경·에너지 이슈의 해결책을 모색하고 소재의 성능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현실적 대안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환경·에너지 문제의 해결책 모색 지난해 말 코펜하겐 회의에서 주요 국가들은 보다 강력한 온실가스 감축 의지를 표명했다. 앞으로 온실가스 목표 감축량 못지않게 온실가스를 ‘어떻게’ 줄일 것이냐 하는 현실적 문제에 관심이 집중될 것이다. 에너지 효율면에서 복합소재는 기존 소재 대비 높은 효율성(경량화, 절전, 단열 등)을 얻을 수 있고, 이는 그만큼 온실가스 감축으로 이어진다. 미국 보잉(Boeing)의 차세대 항공기 B787(드림라이너)는 몸체에 탄소섬유와 플라스틱 소재가 결합된 복합소재가 적용된다. 몸체 소재 비중의 50%를 복합소재로 제작, 금속보다 강하면서 무게를 20% 줄일 수 있다. 또한 탄소섬유 복합소재는 항공기, 자동차 등의 운송수단뿐만 아니라 풍력 발전기의 터빈날개 등에도 적용된다. 이에 따라 세계 탄소섬유 수요는 2007년 3만톤 규모에서 2018년 10만톤으로 연평균 13%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도레이(Toray), 미쓰비시 레이온(MitsubishiRayon) 등 메이저 업체들은 수요가 늘어남에 따라 증설을 서두르고 있다. =소재의 성능 한계 극복 복합소재는 금속, 세라믹, 화학소재 등 개별 소재의 성능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대안으로 각광받고 있다. 내충격, 내열성이 뛰어난 경량소재에 대한 자동차산업의 요구에 차체 소재에서 금속 비중이 감소하고 복합소재와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비중이 증가했다. 소재 수요기업인 도요타는 2007년부터 자동차 경량화를 위해 MI(Mass Innovation) 프로젝트를 추진, 2008년 시카고 모터쇼에 탄소섬유 복합소재로 차체와 휠을 만들어 무게를 1/3로 줄인 컨셉트카 ‘1/X’를 선보였다. 철강업계도 1994년 17개국 35개의 업체들이 ULSAB(Ultra Light Steel AutoBody) 컨소시엄을 형성하고 2,000만달러의 연구비를 투입, 철강 소재 경량화 프로젝트를 수행했다. 이를 통해 마그네슘, 알루미늄 등 비철소재를 자동차에 도입하면서 자동차 소재의 금속 비중을 다소 회복할 수 있었다. 포스코 역시 최근 알루미늄, 티타늄, 마그네슘, 페로망간, 탄소섬유 등 아이템을 개발, 복합소재 기업으로 변모한다는 전략을 내놓은 바 있다. =나노기술의 발전 전통적으로 복합소재는 금속, 세라믹, 화학 소재 등 개별 소재 간 결합 영역을 말한며 서로 다른 종류의 소재들이 모재(Matrix)와 강화재(Filler)로 역할을 나눠 구성된다. 시멘트가 모재이고 자갈이 강화재 역할을 하는 콘크리트의 경우처럼 기존 복합소재들은 소재의 성능 개선을 위해 다른 소재를 ‘첨가’하는 것에 그쳤다. 그러나 나노기술의 진보로 나노 수준에서 소재·공정·분석 등이 가능해지면서 단순한 복합에서 전혀 새로운 소재로 환골탈태하는 ‘복합’으로 재정의가 일어나고 있다. ||■복합소재의 발전 방향과 유망 소재 =복합소재의 개념 및 발전방향 나노기술의 발전과 함께 복합소재는 더욱 다양한 방향으로 발전할 전망이다. 첫 번째는 기존 복합소재의 특성을 강화한 나노필러 복합소재다. 필러인 강화재(첨가재)를 나노 크기로 가공, 이종(異種) 소재와 결합함으로써 기존 대비 성능 향상은 물론 소재 응용분야도 대폭 확대될 전망이다. 나노클레이 또는 탄소나노튜브 등 나노분말을 넣은 복합소재가 이에 해당된다. 두 번째는 이종 소재들이 특정 구조를 이루고 있는 하이브리드형 복합소재다. 소재의 형태를 제어해 임의의 구조를 만들거나 한 소재 표면에 다른 소재로 박막을 형성하는 방법 드응로 제조되며 현재 전자종이(e-paper)용 전자잉크소재, 기능성 표면 처리 소재 등이 이에 속한다. 세 번재로 원자·분자 단위 영역에서 프레임구조를 형성하고 있는 알로이형 복합 소재를 들 수 있다. 기존 마이크로 영역에서의 복합화와 달리 나노기술의 발전에 따라 원자·분자 제어 기술을 바탕으로 한 복합소재 개발이 가능해질 전망이다. 나노기술의 특성상 원자·분자 단위에서의 소재 제어가 이루어지면 전혀 새로운 물성의 구현도 가능하다. 결국 알로이형 복합소재의 개발은 기존 복합소재와는 완전히 차별화된 ‘신소재’의 개발을 의미하는 것이다. =환경·에너지 분야의 유망 복합소재 1. 절전·경량화 등 에너지 효율화 복합소재 ◎ 나노클레이(Nanoclay)-고분자 복합소재 금속재 이상으로 강하면서도 가벼운 나노클레이는 점토 광물로 구성된 대표적 무기 충전재다. 유기물과 다르게 무기물질은 나노 수준에서 안정되기 어렵지만 나노클레이는 안정한 층상 실리케이트 나노 구조에 가공이 쉬워 1980년대 후반부터 주목을 받아왔다. 최초 상용품은 소재 수요기업인 일본 도요타자동차의 중앙연구소에서 경량화를 목적으로 개발됐다. 도요타는 우베(Ube Industries)와 공동으로 폴리머 소재에 나노클레이 입자들을 결합해 기계적 강도와 내열성 등이 우수한 복합소재를 개발했다. 나노클레이 복합소재는 적용성이 우수해 다우(Dow), 바이엘(Bayer), 하니웰(Honeywell) 등 많은 화학 소재 기업들이 자동차 소재, 포장재, 전기부품 등의 용도로 제품을 활발하게 개발하고 있다. 바이엘(Bayer)의 경우 합성수지와 나노클레이 입자를 복합해 합성수지의 성능을 크게 향상시키고 있다. 나노클레이를 폴리카보네이트와 복합해 난연성을 향상시키거나, 나일론 필름과 복합해 필름의 가스 투과성을 낮춤으로써 음식물 저장기간을 늘인 것이 그 예다.◎ 전자종이(e-paper)용 복합소재 정보화에 따라 종이 사용이 줄 것이란 예측에도 불구하고 종이 사용에 대한 관성으로 정보량만큼 인쇄량도 많아졌지만 소재의 복합화를 통해 종이 절약의 재도전이 시작되고 있다. 그 중 하나가 전자책(e-book)으로 핵심소재가 바로 전자잉크(E-ink) 복합소재다. 전자잉크(E-ink) 소재는 현재 대만의 소형 TFT-LCD 업체인 프라임 뷰 인터내셔널(PVI)에서 독점 공급하고 있다. PVI는 지난 2009년 2억1,500만달러에 미국 E-ink를 인수했는데 이 기업의 소재 기술은 미국 MIT대학의 미디어랩(Media Lab) 연구진이 개발한 것으로 1997년 제이콥슨(Joe Jacobson) 등의 일부 연구진이 E-ink 를 창업, 상용화한 것이다. 전자잉크는 고분자공학, 화학, 전자공학, 물리학 등의 지식과 나노기술을 기반으로 한 새로운 소재로서 고분자 캡슐 안에 세라믹 나노 입자들과 액체가 들어있는 형태다. 전자종이는 각 화소마다 있는 전자잉크 입자에 전기신호를 보내 화상을 표시하는 방식으로, 정지영상에서 전력소모가 없어 기존 LCD의 전력사용량 대비 1/100 수준의 획기적인 전력소비 절감이 가능하다. 2. 에너지 저장·발전용 복합소재 ◎ 리튬이온전지용 복합소재 리튬이온전지는 응용분야 확대로 높은 시장 성장이 예상되지만 본격적 시장 확대를 위해서는 원가 절감이 필수적이며 그 핵심은 원가의 약 절반을 차지하는 양극재다. 현재 사용되는 코발트계 소재는 원료가격과 자원적 제약 때문에 폭발적 수요 확대가 예상되는 중대형용으로는 부적합하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이에 따른 대체소재 연구가 활발한 가운데 올리빈 구조의 인산철계열 소재가 가장 주목을 받고 있다. 인산철 계열 복합소재는 저비용, 고출력, 높은 안정성이 요구되는 전기자동차나 하이브리드 자동차용 전지에 적용이 용이한 것으로 평가되며, 최근 취약한 전기전도성을 보완하기 위한 시도가 진행중이다. 일본 산업기술총합연구소(AIST) 등에서는 양극소재의 입자 표면을 나노 탄소 소재로 코팅해 향상된 소재 개발을 촉진하고 있다. ◎ 연료전지용 복합소재 신재생에너지가 주목 받으며 연료전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데 그 중에도 다양한 장점을 지닌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가 가장 널리 개발되고 있으며 이것의 핵심 소재가 고분자 전해질 분리막이다. 최근 나노복합 전해질을 이용해 전해질막의 성능을 개선하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나노복합 전해질은 주로 열안정성을높이기 위해 유연한 고분자와 열에 안정한 무기계 소재를 결합한 형태로 개발될 경우 연료전지 대중화를 한층 앞당기는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3. 자원 절감을 위한 복합소재 ◎ 탄소나노튜브(CNT) 복합소재 탄소나노튜브 복합소재는 탄소나노튜브(CNT)를 금속 또는 고분자 소재와 결합한 것으로 나노소재 중 대표격이며 전기전도도가 구리의 1,000배, 강도가 강철의 100배 수준이다. 구체적인 응용분야로 강도 특성을 이용한 구조소재, 기존 디스플레이용 투명 소재를 대체하는 투명전도성 필름, 방열소재 등을 들 수 있다. 현재 미국 하이페리온(Hyperion)은 독일 바스프(BASF), 에보닉(Evonik) 등 화학 소재 업체에 탄소나노튜브를 공급, 자동차 부품 및 일부 차체용 소재로 적용시키고 있다. 스포츠 용품에도 이를 적용한 제품을 선보이고 있다. 바이엘은 탄소나노튜브를 이용한 아이스하키 스틱과 야구배트, 스키 등을 선보였다. 독일 프라운호퍼연구소 기술개발그룹(TEG)에서 개발한 탄소나노튜브를 적용한 테니스 라켓은 시장의 호평을 받았으며 나노소재를 적용한 골프채의 경 기존 10배의 강도와 월등한 비거리를 내는 것으로 분석됐다. ◎ 패터닝(patterning)용 복합소재 전자부품에 전극 패턴 형성시, 전체 면에 전극용 및 공정 소재를 바르고 얻고자하는 패턴 이외에는 모두 버리는 방식을 사용하면서 고도의 제어가 어렵고 소재 낭비가 발생했다. 이에 대안으로 프린터로 인쇄하듯 원하는 패턴을 그리는 방식이 제시되고 있는데 여기에 나노 금속 또는 세라믹 입자들과 화학 소재를 결합, 잉크와 같은 물성을 갖는 패터닝용 복합소재가 이용된다. 아직 가격 등의 문제로 본격 상용화가 이뤄지지 않고 있으나 듀폰, 캐봇, 일본 세이코엡슨, 알박(Ulvac)을 비롯해 국내 기업들도 이러한 소재의 제품 적용을 위해 나서고 있다. 4. 수처리용 복합 소재 ◎ 멤브레인 복합소재 기후변화 문제 외에도 인류 생존을 위한 물 부족 이슈가 매우 중요해지고 있다. 물은 대체 자원이 없기 때문에 정수하거나 담수처리를 해서 사용할 수밖에 없다. 현재 가깝게는 사무실에 있는 정수기에도 멤브레인 소재의 필터가 들어있다. 하지만 이보다 고도정수처리나 담수 처리를 위해서는 고기능성 멤브레인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다우(Dow), 도레이(Toray) 등 업체들은 멤브레인 성능 향상 연구개발에 적극적인 상황이다. 궁극적인 목적은 멤브레인에 물을 친화력 있게 만들어주는 기능을 부여하는 것이다. 대부분의 방향은 고분자 소재인 멤브레인 표면에 다른 종류의 소재층을 형성시키는 방식으로 복합화하고 있다. 이외에도 탄소나노튜브 등 다양한 나노소재 기술들을 활용해서 수처리 능력을 높이려는 시도들이 이뤄지고 있다. 5. 이산화탄소 포집 및 저장(CCS)용 복합소재 ◎ 금속-유기 프레임워크이산화탄소 회수 기술이 주목을 받고 있는 가운데 이산화탄소 포집 및 저장용 소재 중에 새롭게 주목받고 있는 것이 금속-유기 프레임워크(MOF, Metal-Organic Framework)이다. 1995년 미국 Yaghi 교수팀이 처음 개발한 이 소재는 표면 면적을 모두 더하면 기존의 다공성 소재들 보다 표면적이 4~5배, 숯보다 10배 이상 높다. 금속 원자와 유기물 분자간의 프레임구조로 되어 있으며 수소, 이산화탄소 등을 저장할 수 있어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를 줄일 수 있다. 2008년 독일 BASF가 소재에 대한 원천특허를 이용해 상용화, 시판중이다. ◎ 생체모방형 포집 소재 이산화탄소를 포집해 생체 동화작용에 사용하는 생체 또는 자연계 내 효소는 금속이온이 포함된 형태로 동식물의 조직이나 인간의 적혈구에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산화탄소 포집을 위해 주목하고 있는 이 효소는 고분자 중공사에 결합된 형태로 존재한다. 미국 에너지부에서는 기존 CCS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최상위 기술로 평가하고 있다. 미국 카보자임(Carbozyme)사는 이 효소를 활용한 복합 형태의 소재를 개발 중인데 기존의 포집재 대비 100이상의 포집속도와 1/4 수준의 에너지를 사용한다고 발표했다. ||■시사점 소재산업은 진입장벽이 높은 만큼 혁신을 통한 개발이 필요하며 복합소재는 나노기술 발전을 기반으로 하나의 흐름으로 자리 잡을 수 있다. 소재기업들이 기술적 진입장벽이나 상업화의 어려움을 피하면서도, 성장의 돌파구를 찾는 대안이 될 수 있는 것이다.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나노필러, 하이브리드, 알로이형 복합 소재 등 새로운 개념으로 재정의된 복합소재 시장은 지속적인 성장이 기대되는 분야로 최근 소재기업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이유도 여기에서 찾을 수 있다. =소재 기업의 비즈니스 모델 혁신과 전략적 제휴 활성화 필요 제품 혁신과 함께 소재의 니즈도 고기능화, 맞춤화가 될 것이다. 소재기업들은 수요 산업의 변화와 시장을 읽고 기술 동향을 파악하는 동시에 소재 연구개발에 융·복합적인 접근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이미 일부 기업들은 새롭게 부각되고 니즈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비즈니스 모델 혁신을 추진하고 관계사 또는 외부 기업과의 적극적인 협력을 모색하고 있기도 하다.일본의 전자소재 및 스페셜티화학 분야 선두 기업 중 하나인 쇼와덴코는(Showa Denko) 2000년부터 종합 화학기업보다는 개성있는 화학 기업을 지향해왔다. 이를 위해 기존 사업 영역을 기반으로 ‘유기+무기+금속의 상호 연계(복합화)’로 사업 조직 및 전략을 재정의했으며 최근에도 이러한 전략에서 환경·에너지, 정보전자를 목표 사업 영역으로 한 전략을 발표했다. 반도체 공정의 진보로 인해 요구되는 소재의 변화 흐름에 빠르게 대응하기 위해 그룹 내에 쇼와 하이폴리머(Showa Hipolymer), 일본 폴리텍(Nippon Polytech) 등의 회사와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 또한 2005년 미쓰비시화학, 미쓰비시플라스틱, 타나베미쓰비시제약 등을 자회사로 둔 지주회사체제로 출범한 미쓰비시화학홀딩스(Mitsubishi Chemical HD)는 협업 기능강화와 함께 기술 개발 등의 복합화를 진행시켜 ‘복합화학’ 기업을 목표로 했다. 이와 연계해 지난해 5월, 소재 기술의 확보와 시장 확대를 위해 스위스 쿼드런트(Quadrant)와 전략적 제휴를 맺고, 50:50의 조인트벤쳐 회사를 설립했다. 쿼드런트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복합소재 등에서 세계 시장점유율 1위 기업이다. 미쓰비시플라스틱은 이미 보유하고 있는 플라스틱, 금속, 섬유 기반의 기능성 소재와 쿼드런트의 핵심 소재들 간의 복합화를 추진, 고기능 복합소재 사업을 확대한다는 전략이다. 또한 미쓰비시화학은 자사의 플라스틱 소재 가공 기술과 일본 왕자제지의 목질 펄프 소재 기술을 결합해 셀룰로오스 나노섬유 복합소재를 연구개발을 하고 있다. 이 소재는 식물 기반이라 환경부하가 적고, 강도와 투명성 측면에서도 좋은 성능을 보여서 OLED용 플렉서블 기판, LED용 봉지재 등에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 혁신적인 복합소재 개발은 소재산업의 특성상 장기적인 관점에서의 접근이 필요하다. 또한 수요 산업의 융·복합화 니즈에 맞춰 소재도 융·복합화가 강조되고 있어 개별 기업들의 노력만으로는 소재 개발이 갈수록 어려워지는 것이 현실이다. 소재 개발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개방형 혁신을 지원하기 위한 정부의 코디네이터 역할이 어느 때 보다 더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소재와 관련된 산·학·연의 연계를 통해 소재 복합화를 위한 인프라를 지원하거나 수요 기업과의 연계를 통해 사업화를 지원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는 결과적으로 척박한 국내 소재 산업의 경쟁력 확보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김성준 기자
2010-02-26
-
LNGC 펌프·밸브 산업현황과 성장분석④
■ 개요 및 기술 동향극저온 밸브는 플랜지(flange), 엘보우(elbow), 파이프(pipe) 등과 함께 극저온 배관 시스템의 핵심 요소 부품 중 하나로서 LNG 유동제어 및 설비보호 기능을 담당한다.LNG 저장 탱크 내부 및 갑판 위의 배관에 사용되는 밸브들은 극저온 환경에서 사용 가능한 기술 조건을 충족하기 위한 고도의 신뢰성이 요구된다. 따라서 품질 기준이 엄격하며, 일반 밸브와 비교해 가격이 20배 이상에 달하는 고부가가치 부품이다.극저온 밸브는 2”~24”까지 다양한 규격으로 제작되며, 주요 구성품으로는 밸브 몸체(valve body), 액츄에이터(actuator), 에어셋(air set), 밸브 포지셔너(positioner)가 있다.LNGC에 사용되는 극저온 밸브는, 극저온 유체인 LNG의 유동제어를 위한 제어밸브와 과도한 압력 상승으로부터 설비를 보호하기 위한 안전밸브로 구분할 수 있다. LNG 유동제어를 위한 제어밸브는 주로 배관에 설치되고, 그 종류는 볼 밸브(ball valve), 게이트 밸브(gate valve), 나비형 밸브(butterfly valve), 니들 밸브(needle valve), 체크 밸브(check valve) 등이 있다.LNG용 안전밸브 중 내부 압력이 저압인 화물 탱크 및 절연 공간부(insulation space)에는 파일롯트 구동 안전 방출 밸브(pilot-operated relief valve)가 주로 사용되고, 고압의 배관 안전을 위해서는 스프링 로디드 릴리프 밸브(spring loaded relief valve)가 주로 사용된다. ||극저온 밸브 시장은 유럽, 미국, 일본 등의 해외 선진국 기업들이 선점하고 있다. 미국 기업은 제어밸브와 고압밸브 및 파일롯트(pilot)형 안전밸브, 유럽은 극저온용 기능성 밸브, 일본은 극저온용 안전밸브 시장을 지배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볼 밸브를 제외하고는 실제 선박에 대한 적용 실적이 미흡하고 신뢰성도 부족하여 해외 선주들의 선호도가 매우 낮아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LNG용 극저온 밸브에 대한 특허 출원은 미국과 일본이 주도적이다. 미국의 Cryogenic Fuels, 일본의 Hitachi가 기술 선진 업체이며, 사실상 일본 업체들이 독점하고 있다.||||||■국내외 시장 동향극저온 밸브 시장은 LNGC 신규 발주 증가와 더불어 크게 성장해 2007년 수입 규모는 630억 원에 이른다. LNGC 공급 과잉에 따라 2010년까지 수요가 다소 제한적일 것으로 예상되나, 2012년 이후로는 LNGC 신규 발주에 따라 시장규모가 확대될 것이다.LNG용 극저온 밸브의 시장 규모 분석은 LNGC에 설치된 밸브 종류별 탑재금액을 분석함으로써 추정이 가능하다.스프링 로디드 릴리프 밸브(spring loaded relief valve)는 척당 40개 정도가 설치되고, 소요 비용은 1척당 대략 3~4억 원 정도로 파악된다. 나비형 밸브(butterfly valve)는 척당 9억 원 정도로 조사된다. 따라서 스프링 로디드 릴리프 밸브와 나비형 밸브의 가격 합계는 척당 13억원 정도로 추정된다. 파일롯트 구동 안전 방출 밸브(pilot-operated relief valve), 게이트 밸브(gate valve), 니들 밸브(needle valve), 체크 밸브(check valve) 등 다른 밸브들도 유사한 규모의 시장을 가질 것으로 추정되기 때문에 LNGC용 극저온 밸브 소요 비용은 척당 30억원정도로 추정할 수 있다. ||||세계 LNGC 수주량은 2003년 16척에서 2004년 59척, 2005년에는 42척 등 급속히 확대되어 밸브 시장의 규모도 그에 상응하는 수준으로 증가했다.2003년 480억원에서 2004년에는 1,770억원으로 대폭 확대되었고, 2005년에도 1,260억 원의 시장 규모를 보였다. 그러나 2008년에는 LNGC 신규 발주의 감소로 시장규모가 축소되었다.||국내 시장 규모는 국내에서 세계 건조량을 독점하고 있어 있는 세계 시장과 상당 부분 비슷한 추세를 보인다.
2003년 390억원을 시작으로 2004년 1,260억원, 2005년 990억원으로 시장은 확대됐다가 2008년에 150억원으로 감소했다.
||일반적으로 LPG 관련 밸브의 설계온도는 -50°C 정도로 -163°C를 기준으로 하는 LNG 만큼의 극저온 환경은 아니지만 LNG 관련 제품과 유사한 사양의 제품을 적용하고 있다.
따라서 LNG용 극저온 밸브는 LPG 관련 시장에도 적용이 되기 때문에 이를 고려하면 2007년 시장 규모는 2,190억 원 정도이다.
또한 신규 육상 플랜트 및 유전개발에 따르는 수요를 고려하는 경우 시장 규모는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극저온 카고 펌프 시장과 마찬가지로, LNGC 공급과잉에 따라 극저온 밸브 시장도 2010년까지 수요가 제한적일 것으로 예상되나, 2012년부터 시장은 다시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LNGC 발주 예상 규모를 바탕으로 연간 국내 시장규모를 예측하면, 2010년에는 240억원, 2013년에는 624억원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허 출원, Hitachi 등 日기업들 독점 세계 최고 조선기술에 맞춰 밸브 개발해야■주요 생산 업체 현황극저온용 밸브를 생산하는 해외 선진 기업들은 대부분 자체적인 성능시험설비를 보유하고 이를 신제품 개발 및 신뢰성 제고에 활용해 국제적인 경쟁력을 높이고 있다.릴리프 밸브와 안전 밸브는 Fukui, Anderson, Birkett, Tyco, Luceat 등이 주요 선도 업체이며, 특히 일본 Fukui의 경우 스프링 타입 릴리프 밸브(spring type relief valve)에서 강점을 가지고 있다. 나비형 밸브는 Amri(프), Velan(프), Linde Mapag(독일)가 축적된 기술을 바탕으로 세계 시장을 지배하고 있다. 볼 밸브는 Truflo, Velan, Pibivisse가 지배적인 선진기업이고, 게이트 밸브와 체크 밸브는 SNRI, Wada, Truflo 등이 전문 기업이다.국내 기업에서는 상온 및 고온용 볼 밸브, 상온용 및 가스용 밸브, 캐스팅 볼 밸브, 대형·고압의 볼 밸브를 생산하고 있으나, 극저온용 볼 밸브는 개발하지 못하고 있다.
엄태준 기자
2010-02-15
-
LNGC 펌프·밸브 산업현황과 성장분석③
■LNG용 극저온 카고 펌프 개요 및 기술 동향LNG의 선적과 하역을 담당하는 극저온 카고 펌프는 화물 적하역 설비의 심장부에 해당하는 중요한 장비로서 -163°C의 극저온 LNG를 이송하는 기능을 담당하므로, 고도의 신뢰성과 안정성을 바탕으로 극저온 환경에 적합하게 설계·개발돼야 한다.극저온 카고 펌프는 잠수식 원심 직립형 펌프(submerged centrifugal vertical pump)구조를 가지고 있다. 펌프 내부에는 전동기와 임펠러가 동일한 축에 일체화돼 있어 극저온 액체인 LNG가 전동기 내부를 통해 흐르게 된다. 운전 중 극저온 액체는 탱크 바닥부에서 흡입되고 펌프 출구로 이송되는 과정에서 극저온 액체에 의해 베어링 및 모터가 냉각된다. 따라서 극저온 카고 펌프에는 저온 영역에서 취성이 적고 연성과 강성을 유지할 수 있는 소재의 사용이 필수적이다. ||최근에는 LNGC의 대형화 추세에 따라 극저온 카고 펌프도 대용량화되고 있으며, 펌프의 효율과 진동, 소음 개선이 주요 연구 분야다.
LNG용 극저온 카고 펌프의 출원 현황은 일본의 특허 출원이 압도적으로 많아 히타치(Hitachi), 도쿄닛폰 산소(Tokyo Nippon Sanso)가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최근 들어 현대중공업과 대우조선해양의 특허 출원도 일부 진행되고 있으나 일본과 비교하면 아직 저조한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국내외 시장 동향최근 고유가로 인한 LNG 수요 증가, 중동 가스전 개발 가속화, 심해 지역 유전 개발 활성화 등은 세계 LNGC 시장 확대의 직접적인 요인으로 작용했다.LNGC 발주 증가로 LNG용 극저온 카고 펌프 시장도 성장해 2007년 기준으로 약 530억 원규모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LNGC 공급과잉에 따라 2010년까지 수요가 제한적일 것으로 예상되나 LNGC 신규 발주가 증가할 2011년부터 시장이 다시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극저온 카고 펌프 시장은 에바라(EBARA), 신코(SHINKO) 등의 일본 업체가 독점하고 있으며, 국내로 전량 수입되고 있다.LNGC용 극저온 카고 펌프의 시장 분석은 LNGC 수주량에 기초해 추정이 가능하다. LNGC에 설치되는 다양한 종류의 극저온 카고 펌프에 대한 각 단위 금액을 산출하고, LNGC 1척에 소요되는 개수의 분석을 통해 전체 시장 규모를 도출할 수 있다. ||LNGC 저장탱크 4개를 기준으로 했을 때, 주화물 펌프(main cargo pump), 스프레이 및 스트리핑 펌프(spray & stripping pump), 긴급 화물 펌프(emergency cargo pump)가 척당 각각 4개씩 설치되어 LNGC 1척당 설치되는 극저온 카고 펌프의 소요 비용은 약 19억원 정도 수준이다.LNGC 수주량과 LNGC 1척당 소요되는 비용을 고려해 LNG용 극저온 카고 펌프의 세계 시장 규모 추이를 살펴보면,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여 온 것을 알 수 있다.세계 LNGC 수주량은 2001년 22척, 2002년 19척, 2003년 16척 수준에서 2004년에는 59척에 이르는 등 높은 증가세를 보여 극저온 카고 펌프의 수요 또한 증가해 왔다. LNGC 수주량이 59척에 달한 2004년 극저온 카고 펌프 시장은 1,121억원으로 급증했다.그러나 2008년에는 공급과잉으로 신규 발주가 제한적으로 발생해 수주 실적이 매우 낮았으나 2012년부터 다시 LNGC의 발주량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돼 극저온 카고 펌프 시장도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국내 LNGC 건조 물량은 2002년 6척을 시작으로 2004년에는 42척을 수주했다. 따라서 카고 펌프 시장은 798억원에 달하는 등, 폭발적인 성장세를 보였다.
그러나 2008년에는 공급과잉 현상으로 시장 규모가 95억원으로 축소되는 결과를 보였으나, 이는 일시적인 현상으로 세계 시장의 활성화가 예상됨에 따라 곧 국내 시장규모 또한 회복될 것으로 전망된다.||국내 시장 규모에 대한 상대적인 평가를 위해 세계 선박 건조 대비 국내 점유율을 살펴보면, 2003년 81.3%를 시작으로 본격적으로 세계 시장을 점유하기 시작했다.
2008년에는 비록 전 세계적인 수주량이 5척에 불과했지만 우리나라의 경우 100%의 점유율을 보이는 등, 독점적인 시장 점유 상황을 유지해 왔다.||그러나 이러한 국내 LNGC 시장 점유율에도 불구하고 핵심 기자재인 극저온 카고 펌프의 경우 국내 업체의 제작·탑재 실적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조선소에 건조되는 LNGC에는 선주들의 요구에 따라 EBARA 제품과 SHINKO 제품이 비슷한 수준으로 탑재되는 것으로 파악된다.
극저온 카고 펌프의 향후 수요 전망은, 극저온 카고 펌프와 LNGC과 FPSO에 공통적으로 활용되는 기자재인 점을 고려하여 LNGC와 FPSO의 발주 규모를 바탕으로 예측할 수 있으며 예측 결과, 연간 국내 시장은 2010년에 160억원, 2013년에 392억원 규모로 증가가 예상된다.||■주요 생산 업체 현황극저온 카고 펌프 시장의 중요성이 확대되면서 국내 업체도 기술 개발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으나 현재는 해외 선진국들이 시장을 장악하고 있는 상황이다.J. C. Carter(미국)가 최초로 submerged cargo LNG용 극저온 펌프를 개발한 이후, 1980년대까지 Cryodynamics(미국) 및 Cryostar(프랑스)가 독자 모델을 개발하여 LNG용 극저온 펌프의 세계 기술을 선도했다.미국의 EBARA가 Cryodynamics와 Cryostar를 합병하여 LNGC용 극저온 펌프 대부분의 시장과 육상용 펌프 시장의 약 70%를 차지해 세계 시장을 독점하고 있다. 미국 EBARA의 경우, 일본 EBARA와 협력 및 제휴관계를 맺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모든 경영권이 일본 EBARA에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일본의 니키소(NIKKISO)는 시장 진입을 위한 기술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SHINKO는 선박용 펌프 전문기업으로 LNGC용 극저온 카고 펌프와 각 선박에 들어가는 카고 오일 펌프 등 모든 선박용펌프에 대해 높은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다.
엄태준 기자
2010-02-04
-
LNGC 펌프·밸브 산업현황과 성장분석②
II. LNG Carrier ■산업 현황LNG 물동량이 증가하는 추세와 함께 LNGC의 수요도 꾸준히 증가했다. 그러나 지난 2004년 카타르(Qatar), 러시아 사할린(Sakahlin), 인도네시아 탕구(Tangguh), 예멘(Yemen), 노르웨이 스노비트(Snohvit) 등 신규 LNG 프로젝트로 약 70척이 발주된 이래 공급 과잉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사실상 2009년에는 천연가스 개발 프로젝트의 연기로 신규 발주가 전무한 상황이며 2008년에서 2010년 사이 LNGC의 신규 발주는 연간 5척 내외로 제한적일 전망이다.그러나 이러한 LNGC 공급과잉은 지연됐던 LNG 프로젝트가 향후 재개되고, 선령 25년 이상 선박의 폐선에 따른 수요 중가에 힘입어 해소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더욱이 중소형 LNG 프로젝트 수요도 늘면서 오는 2012년부터는 LNGC의 신규 발주가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LNGC의 기술적 특징LNGC의 구조는 하부 선체의 기관부를 구성하는 시스템과 LNG라는 특수한 화물을 다루기 위한 선체의장부를 구성하는 기자재와 설비로 나눌 수 있다.||기관부와 선체의장부의 주요 시스템 및 모듈을 살펴보면, 기관부의 주요 시스템은 추진기계와 보조기계가 있으며, 동 부분에 활용되는 펌프는 고압 연료유 공급펌프와 이중연료엔진용 연료분사펌프, 기어펌프(gear pump), 스크류 펌프(screw pump)가 있다.
주로 활용되는 밸브는 추진가스주입밸브, 연료분사밸브다.
선체의장부의 주요 시스템 및 모듈은 화물 적하역 설비와 밸러스트 시스템(ballast treatment system)으로 선박의 균형을 잡기 위한 밸러스트 시스템의 경우 밸러스트 펌프를 주로 활용 한다.
화물 적하역 설비는 LNG의 선적, 수송 중 저장, 하역, 그리고 각 안전 시스템 및 화물의 손실을 줄이는 등, 극저온 유체인 LNG를 다루는 핵심 기관을 의미하며, 극저온 펌프(cryogenic cargo pump)와 극저온 밸브(cryogenic valve)가 핵심 기자재로 활용된다.
LNG의 이송을 위한 극저온 펌프의 종류로는 주화물 펌프(main cargo pump), 스프레이 및 스트리핑 펌프(spray & stripping pump), 긴급 화물 펌프(emergency cargo pump)가 있고, LNG의 유동 제어 및 설비 보호를 위한 극저온 밸브의 경우 나비형 콘트롤 밸브(butterfly control valve)가 있다.||LNGC 주요 시스템이 선가(척당 선가는 2009년 상반기 LNGC 160K(㎥) 기준으로 2.3억 달러 정도) 대비 차지하는 비중을 살펴보면, 기관부의 주요 모듈 및 시스템이 차지하는 비중은 선가의 5.1% 수준인 데 반해, 핵심 기자재의 국산화율은 기관부의 추진 및 보조기계를 구성하는 연료분사펌프 등은 일부 아이템을 제외한 75% 정도의 높은 수준을 보인다.
반면, 선체의장부의 주요 시스템은 선가 대비 20.1%를 차지해, 기관부의 5배 수준임에도 불구하고 관련 핵심 기자재의 경우, 밸러스트 펌프를 제외한 극저온 카고 펌프와 밸브는 거의 전량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카고 적하역 설비에 활용되는 극저온 카고 펌프와 밸브는 LNGC라는 특수 선박을 건조하는데 있어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기자재임에도 불구하고 기술력의 부족으로 국내 생산을 거의 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LNGC 건조량 및 국내 향후 수요 등을 고려할 때 극저온 카고 펌프와 밸브의 국내 생산은 우리 조선기자재 업계는 물론 조선 및 기계업계 전체로서도 시급한 과제다.
엄태준 기자
2010-01-28
-
LNGC 펌프·밸브 산업현황과 성장분석 ①
Ⅰ. 개 요세계는 기후변화로 대표되는 환경·에너지 위기에 직면해 있다. 화석에너지의 사용은 생태계, 산업·경제, 생활양식 전반에 걸쳐 주요 이슈로 부상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범지구적 대응 노력의 일환으로 저탄소 녹색성장의 패러다임이 국가 발전의 중추로 자리매김하고 있다.이에 친환경, 고효율 에너지에 대한 사회적 요구에 부응하여 화석연료 대비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적고, 발전 단가가 저렴하며, 상대적으로 매장량이 풍부한 천연가스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EIA(Energy Information Administration)에 따르면, 화석연료의 대체 에너지원으로서 천연가스 수요가 2008~2013년 사이 연평균 1.7%씩 확대돼 최종적으로 9.0%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천연가스는 이송 방식에 따라 PNG(Pipeline Natural Gas : 육로 이송)와 액화 천연가스를 해상으로 이송하는 LNG(Liquified Natural Gas)로 분류할 수 있다.
LNG는 LNGC(Liquified Natural Gas Carrier: 액화천연가스의 원거리 이송을 위한 선박)로 이송하는데, 최근 들어 천연가스 수요 증가, 가스액화기술 발전, 운송 기술력 진보 등과 같은 요인이 작용하여 LNG 물동량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2007년 기준, 세계 천연가스 시장 규모는 약 7,590억 달러로 추정되며, 2030년까지 2007년 대비 36.5% 증가된 1조 320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보고 있다.
한편, 2007년 기준으로 약 28% 수준이던 LNG의 비중도 천연가스의 수요 증가 및 LNG 물동량 증가에 힘입어 2030년에는 50% 이상 수준으로 확대되어 5,180억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이러한 천연가스 시장 전망에 근거해 국내 조선업계에서는 LNGC와 LNG-FPSO, 드릴쉽(Drillship) 등 고부가가치 선박과 해양 플랜트 사업에 초점을 맞추는 전략을 취하고 있다.||우리나라는 세계적 건조 기술력을 바탕으로 매년 세계 선박 발주 물량의 80% 이상을 수주하는 성과를 거두고 있다.
그러나 이에 반해 선박·해양 플랜트 설비에 활용되는 극한 기술 및 고신뢰성 부품, 기기의 해외 의존도는 매우 심각한 수준이다.
특히 핵심기자재인 펌프의 경우, 국산화가 진행된 밸러스트 펌프(ballast pump) 등 일부를 제외하고 대부분 해외에서 수입하고 있다.
2008년 기준으로 선박·해양 플랜트용 액체 펌프의 수입규모는 3억2,000만달러(한화 약 3,631억원)에 이르는 반면, 수출은 1,400만달러(약 160억원)로 무역수지 적자가 3억1,500만달러에 이른다. ||주요 수입국은 해양 강국인 노르웨이 56.4%, 일본 17.3%로 두 국가의 수입비중이 전체 수입의 73.7%를 차지하고 있다.
2000년 이후 이들 나라로부터의 수입규모는 지속적으로 증가해 2008년 기준으로 양국 합계 총 2억1,000만달러 수준에 이른다.
턴키로 수입되는 특수 용도의 펌프를 포함할 경우, 실제 수입규모는 이보다 더욱 클 것으로 예상된다.||||우리나라 액체펌프 분야의 기술력 및 경쟁력이 현재 수준을 유지한다고 가정했을 때 향후 무역수지를 예측하면 2010년 2억300만달러(1억6900만~2억3,600만달러) 적자, 2015년 2억5,800만달러(1억7,000~3억4,500만달러) 적자, 2020년에는 3억800만달러의 적자를 보일 것으로 분석된다.
회귀분석을 적용할 때는 적자폭이 더욱 커져 2010년 2억9,100만달러, 2015년 4억2,500달러, 2020년에는 5억5,800만달러의 무역수지 적자가 예상된다.||이와 같이 선박·해양 플랜트 액체 펌프에 대한 국내 기술 개발이 선행되지 않는다면 무역 수지 적자는 더욱 심각해질 것으로 판단된다.
국내 선박·해양 플랜트 건조 및 수주 실적이 향상됨에도 불구하고 무역 수지 적자는 오히려 증가하는 결과를 보일 수도 있다.
따라서 지경부에서는 지난 2007년 조선·해양 플랜트 기술로드맵을 통해 해양 플랜트 및 선박을 차세대 성장 동력으로 선정하고 나아가 관련 핵심기자재에 대한 세부적인 계획도 함께 수립해 기술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특히 우리나라가 강점을 보유하고 있는 LNGC의 주요 핵심기술인 화물창 설비(cargo containment system)와 화물 적하역 설비(cargo handling system)의 주요 기자재는 대부분 해외에서 수입하고 있어 국내 관련 산업계의 향후 기술개발 및 시장 확보에 대한 전략적 분석을 요구하고 있다.지난 2004~2008년, 168척의 세계 LNGC 수주량 중 128척을 우리나라가 수주해 전체 대비 76.2%의 시장 점유율을 차지하는 성과를 보였지만 핵심 기자재를 외국에 의존하는 현재 상태로는 그 실익을 선진국에 빼앗길 수 밖에 없는 것이다.따라서 본고에서는 LNGC와 관련 기자재 산업을 주요 시장으로 정의하고 산업현황과 시장동향을 분석하여 향후 변화될 시장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고, 국제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전략수립의 기초를 마련하고자 한다.
엄태준 기자
2010-01-21
-
반도체·디스플레이 장비업체
고봉길 기자
2010-0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