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K-온디바이스 인공지능(AI) 반도체의 기술개발을 추진해 AI 반도체의 자립과 하드웨어 분야의 경쟁력을 달성할 계획이다.
산업통상자원부(장관 김정관, 이하 산업부)는 ’30년 제조 AX(인공지능 전환, AI Transformation) 최강국 도약을 위해 출범한 AI 반도체 M.AX 얼라이언스(이하 얼라이언스)의 첫 걸음으로, 성남 글로벌 융합센터에서 반도체 수요·공급 기업들과 함께 ‘K-온디바이스 AI 반도체 기술개발 사업(이하 프로젝트)’의 성공적 추진을 위한 포럼을 개최했다고 30일 밝혔다.
이번 포럼은 자동차, IoT·가전, 기계·로봇, 방산 등 4대 업종 반도체 수요기업과 국내 AI 반도체 팹리스(설계기업)·파운드리(제조기업), 글로벌 IP 기업(반도체 설계블록 제공기업) 등 150여명의 AI 반도체 업계 관계자가 참석했다.
포럼에서는 △딥엑스·모빌린트·퓨리오사AI 등 AI 반도체 팹리스들의 기술시연 △산업부 주관 프로젝트 추진계획 발표 △프로젝트 성공을 위한 산업부-수요-팹리스-파운드리-IP 기업간 MOU 체결 △수요기업·Arm·삼성 파운드리의 국내 AI 반도체 생태계 기여방안 논의 등이 차례로 진행됐다.
제조 AX 1등 국가 도약을 위해서는 AI 모델 개발도 중요하지만 업종별 첨단제품 내에서 AI 구동에 필요한 하드웨어(HW)인 온디바이스' AI 반도체 기술개발이 필수적이다.
이에 산업부는 4대 분야 수요기업과 국내 팹리스 기업을 중심으로 자율주행차, 스마트가전, 휴머노이드, 무인기 등 첨단제품 탑재용(온디바이스) 국산 AI 반도체 개발에 본격 나선다. 온디바이스는 △독립기기 탑재 △서버 연결 없이 자체 AI 연산 △GPU 대비 저전력·특화 엣지용 AI 반도체이다.
지난 8월, 4대 업종별 첨단제품 생산에 필요한 맞춤형 AI 반도체, AI SW, 모듈 등을 개발하는 1조원 규모 프로젝트가 예타 면제됨에 따라, 산업부는 적정성 검토를 거쳐 ’26년에는 수요-팹리스 컨소시엄을 중심으로 사업을 본격 착수하고, ’28년에는 국산 AI 반도체 시제품 출시 후 ’30년까지 첨단제품에 탑재될 온디바이스 AI 반도체 10개 개발을 추진할 계획이다.
업종별 수요기업과 반도체 분야 IP 기업·팹리스·파운드리가 함께 참여하는 얼라이언스에서는 프로젝트를 기반으로 상호간 연계를 강화할 계획이다. 수요기업은 데이터 공유, 현장실증 지원 등을 통해 사업 성과가 단순한 AI 반도체 개발에서 나아가 첨단제품 탑재·양산에 이를 수 있도록 지원하고, 글로벌 IP 기업과 국내 파운드리는 프로젝트 참여 컨소시엄이 시제품을 적기에 합리적인 단가로 양산할 수 있게 지원한다.
산업부는 얼라이언스 내 AI 팹리스들은 도약을, 파운드리는 고객 확보를, 수요기업들은 조속한 AI 대전환을 할 수 있도록 동반성장 방안을 지속 모색할 예정이다. 특히 AI 반도체 분야는 다른 업종과의 협력이 중요한 만큼, 프로젝트의 성과들이 전 업종으로 활용·확산될 수 있도록 자율주행차·AI 가전·휴머노이드·AI 방산 등 업종별 M.AX 얼라이언스와의 연계도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김정관 산업부 장관은 “AI 반도체는 자율차, 휴머노이드 등 첨단제품의 AI 대전환을 구현하는 혁신엔진으로 제조 AX의 중요한 축”이라며, “정부는 K-온디바이스 AI 반도체 기술개발 사업을 내년부터 신속히 착수해 하드웨어 분야의 경쟁력 달성을 반드시 이끌어 낼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