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지질자원연구원(KIGAM, 원장 권이균)이 다목적 연구플랫폼인 ‘탐해3호’를 관함식을 통해 국민들에게 처음으로 개방했다.
지질자원연구원은 최첨단 물리탐사연구선 ‘탐해3호’가 9월 25일부터 27일까지 부산 해상에서 열린 대한민국 해군 창설 80주년 기념 ‘2025 대한민국해군 관함식’에 참가했다고 29일 밝혔다.
25일과 26일 진행된 해상사열에서 탐해3호는 정조대왕함의 지휘 아래 21척의 함정 및 14대의 항공기와 함께 항진했다. 전투함 중심의 편제 속 유일한 탐사연구선으로서, 과학기술이 국가 안보를 뒷받침하는 자산으로 확장될 수 있음을 보여줬다.
27일 열린 함정공개행사에서는 탐해3호가 일반 국민에게 처음 개방됐다. 약 1,200여 명의 참가자들은 첨단 연구 장비를 직접 살펴보고 연구진의 설명과 시연을 통해 탐사 과정을 체험했다. 연구원 생활 공간 관람과 탐해3호 종이 모형 접기 등 체험 프로그램도 마련돼 과학기술을 쉽고 친근하게 만나는 계기가 됐다.
탐해3호는 ’18년부터 ’24년까지 80개월간 1,777억원의 국비를 투입해 건조된 길이 92m, 폭 21m, 7,800톤급의 물리탐사연구선이다. 다채널 탄성파 시스템, 3차원 해저 구조 영상 장비, 정밀 시료 채취 장치 등 세계 최고 수준의 탐사 장비를 탑재했다.
석유·가스 탐사, CCS(Carbon Capture and Storage) 저장소 탐사 및 모니터링, 해저 지질재해 조사 등 다양한 분야에서 운용되고 있다. 지난 7월에는 서태평양 공해에서 첫 대양 항해를 수행하며 희토류 정밀 탐사를 성공적으로 마쳐, 대한민국 해양자원 연구의 새로운 가능성을 열었다.
권이균 지질자원연구원 원장은 “탐해3호는 국내 기술로 건조된 세계적 수준의 연구선으로, 평시에 핵심광물 탐사와 탄소저장소 평가, 해저 지질재해 조사를 수행하고 전시에 안보 임무까지 담당할 수 있는 다목적 연구 플랫폼”이라며, “탐해3호를 중심으로 연구원의 표어인 ‘NEO KIGAM: 지구를 위한 혁신’을 실천해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