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리지에어로스페이스(Perigee Aerospace)가 다시 한 번 우주발사체를 위한 액체 메탄 엔진 기술력에 높은 평가를 받았다.
페리지에어로스페이스(이하 페리지) 지난달 우주항공청이 주관하는 ‘소형발사체 개발역량 지원사업’에서 3톤급 터보펌프 액체 메탄 엔진의 상세설계 검토회의(CDR, Critical Design Review)를 성공적으로 마쳤다고 20일 밝혔다.
페리지의 로켓 개발 컴플렉스(RDC)에서 진행된 상세설계 검토회의(CDR)는 우주항공청(KASA)과 한국항공우주연구원(KARI), 국방과학연구소(ADD)를 비롯해 대학 교수 및 산업계 전문가로 구성된 전문 검토위원단의 엄격한 평가 아래 진행됐다.
‘소형발사체 개발역량 지원사업’은 소형 우주 발사체의 상단 엔진을 국내 기술로 개발하기 위한 사업으로 페리지는 현재 사업 1단계를 통과해 2단계 과정을 수행 중이다.
2단계 과정 중 하나인 상세설계 검토회의(CDR)는 엔진 개발 과정에서 가장 중요하고 까다로운 관문 중 하나다. 시스템의 세부 설계를 최종적으로 검토하고 이 설계가 임무 요구사항을 모두 충족하는지, 실제 제작 및 시험으로 넘어갈 수 있는지를 판가름하는 핵심적인 절차다.
검토단은 페리지가 제시한 진입 및 종료 조건의 충족 여부를 면밀히 검토했으며, 핵심 데이터 패키지(CDP)가 성공적으로 도출되었음을 확인했다.
이번 CDR 평가를 통해 페리지는 소형발사체용 3톤급 터보펌프 액체 메탄 엔진 설계의 완성도와 기술적 신뢰성을 공식적으로 인정받았다.
특히, 정부 지원 아래 민간 기업이 독자적인 로켓 엔진 설계 역량을 입증하고, 정부와 산·학·연 전문가 그룹의 신뢰를 확보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깊다.
해당 3톤급 터보펌프 액체 메탄 엔진 설계 기술은 지난해 과학기술정보통신부로부터 ‘우주발사체용 극저온 추진제 엔진 기술’ 부문에서 국가전략기술로 인정받기도 했다.
페리지에서 엔진 개발을 총괄하고 있는 이은광 부사장은 “이번 성과는 그동안 민간기업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이끌어준 우주항공청 및 유관 부처와 페리지의 모든 임직원이 함께 노력해 이뤄낸 것”이라며, “앞으로도 뉴스페이스 시대를 준비하는 민간기업으로서 대한민국 우주 생태계 발전을 위한 혁신적인 도전을 계속 할 것”이라고 전했다.
페리지는 이번 CDR 평가를 발판으로 현재 개발 중인 소형발사체 ‘블루웨일 1(Blue Whale 1, BW1)’ 개발에도 더욱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블루웨일1에는 이번 CDR 평가 대상인 3톤급 터보펌프 액체 메탄 엔진 9개가 클러스터링 되어 1단 엔진 BLUE 1S로 활용될 계획이다.
해당 엔진은 현재 페리지가 준비하고 있는 준궤도시험발사체 BW0.4의 엔진 SKYBLUE보다 더욱 강한 추력을 내는 엔진으로, 이를 통해 향후 급증할 것으로 예상되는 국내외 소형위성 발사 시장에 본격적으로 진출해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우주 모빌리티 기업으로 성장해 나간다는 포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