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국립중앙박물관을 중심으로 한 K-컬처 굿즈 열풍이 전통 문화유산으로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3D프린팅 기술을 활용한 새로운 형태의 국가유산 굿즈가 인기를 끌고 있다.
3D프린팅 기반 아트커머스 플랫폼 스컬피아(대표 홍재옥)는 국립박물관문화재단 상품 브랜드 뮷즈(MU:DS)와 함께 선보인 ‘반가사유상 미니어처: 광복 에디션’이 1차 공개 10분 만에 완판됐다고 12일 밝혔다. 2차 물량 역시 공개 직후 품절됐으며, 3차 판매는 8월 말로 예정돼 있다.
광복 80주년을 기념해 기획된 이번 에디션은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보물인 ‘데니태극기’와 무궁화 파츠를 더해 광복의 의미를 담았다. 태극기와 무궁화를 파츠 형태로 제공해 자유롭게 조합할 수 있으며, 기존 금형 방식으로는 구현이 어려웠던 정밀한 디테일을 스컬피아의 3D프린팅 기술로 재현한 것이 특징이다.
스컬피아는 3D프린팅 기술을 바탕으로 전통 유산을 실물 형태의 콘텐츠로 재현하는 아트커머스 브랜드다. 설계 자유도와 정밀도를 확보한 제작 방식으로 우리 국가유산 고유의 아름다움을 재현하고 있다. 이번 프로젝트 역시 예술이 3D프린팅 기술을 만나 국가유산 굿즈로 재탄생한 성공 사례로 주목받고 있다.
국립중앙박물관은 2025년 상반기 관람객 수가 전년 동기 대비 64% 증가한 270만명을 기록했으며, 같은 기간 박물관문화재단 브랜드 뮷즈의 매출도 약 34% 증가해 115억원으로 역대 최대치를 경신했다. 외국인 구매 비중은 2020년 5.9%에서 2024년 16.8%로 약 3배 가까이 증가하며, K-컬처 콘텐츠에 대한 높은 글로벌 수요를 반영하고 있다.
최근 넷플릭스의 ‘케이팝 데몬 헌터스’, 엠넷 ‘월드 오브 스트리트 우먼 파이터’ 등 주요 콘텐츠에서도 한국 전통문화 요소가 등장하며, 작호도, 갓, 흑립 등 문화유산 기반의 다양한 아이템에 대한 관심도 높아졌다. 실제로 ‘까치 호랑이 배지’, ‘흑립 갓끈 볼펜’ 등은 입고 즉시 품절되는 사례가 이어지고 있다.
스컬피아는 앞서 백제금동대향로 미니어처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진행하며, 국립박물관문화재단과 업무 협약을 맺고 다채로운 문화유산 기반 상품을 기획, 제작하고 있다.
스컬피아를 운영하는 국내 최대 3D프린팅 서비스 기업 글룩의 홍재옥 대표는 “스컬피아의 기술은 문화유산을 섬세하게 재현해 실물로 구현하며, 예술과 기술이 어우러진 새로운 K-콘텐츠의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며 “앞으로도 다양한 작가와 유산 기반 협업을 확대해나가며, 문화유산 굿즈와 예술 상품의 라인업과 시장을 넓혀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