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 기사등록 2025-06-23 15:27:49
기사수정

▲ 국내 제조업의 업황 PSI 추이(출처: 산업연구원)


6월 제조업 업황이 전월대비 소폭 상승한 가운데, 7월에는 ICT와 소재부문이 기준치를 회복할 것으로 전망된다.


산업연구원(KIET)은 국내 주요 업종별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177개 업종에 대해 조사한 ‘전문가 서베이 지수(PSI, Professional Survey Index)’를 22일 발표했다.


항목별 응답 결과는 0~200의 범위에서 기준치가 100(전월대비 변화 없음)이고, 200에 가까울수록 전월대비 증가(개선) 의견이, 반대로 0에 근접할수록 감소(악화) 의견이 각각 많음을 의미한다.


국내 제조업의 6월 업황 현황은 PSI가 99를 기록하는 등 기준치(100)를 소폭 하회하는 수준에서 전월대비로 추가 상승세(+3p)를 보였다.


내수(99)가 기준치를 약간 하회하는 수준에서 전월보다 약간 더 상승(+1p)하고, 수출(98)과 생산(98) 역시 2개월 연속 상승세를 보였다. 재고(116)는 소폭 하락(-2p)한 반면에, 투자(99)와 채산성(99)이 기준치에 근접하는 수준에서 전월에 이어 추가 상승세를 보였다.


7월 업황 전망 PSI는 104를 기록하면서 4개월 만에 기준치(100)를 상회하고, 전월 대비로는 2개월 연속 상승세(+11p)다. 내수(104)가 생산(106)과 함께 100을 동반 상회하나, 수출(95)이 소폭 상승에 그치고, 채산성(102)은 9개월 만에 기준치를 상회할 것으로 분석됐다.


주요 유형별 6월 업황 현황 PSI는 ICT부문만이 기준치(100)를 상회 유지하고, 기계·소재부문은 기준치를 하회하는 수준이 지속됐다. ICT부문(105)에서 전월(106)에 이어 기준치를 여전히 상회한 반면에, 기계부문(85)과 소재부문(97)는 3개월 연속 기준치를 하회했다. 전월 대비로는 ICT부문(-1p)과 기계부문(-6p)에서 하락 전환한 반면에, 소재부문(+5p)은 전월에 이어 2개월 연속 상승세를 보였다.


7월 업황 전망 PSI는 ICT부문에서 기준치(100)를 여전히 상회하고, 소재부문도 기준치를 회복하나, 기계부문은 기준치를 하회했다. ICT부문(105)에서 2개월 연속 기준치를 상회하고, 소재부문(100)은 기준치 수준을 회복하나, 기계부문(98)은 기준치를 여전히 하회했다. 전월 대비로 ICT부문(0p)이 보합세인 반면에, 기계부문(+14p)과 소재부문(+8p)에서는 각각 두 자릿수와 한 자릿수의 추가 상승세를 보일 것으로 분석됐다.


▲ 국내 제조업의 세부 업종별 업황 전망 PSI (2025년 7월)(출처: 산업연구원)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amenews.kr/news/view.php?idx=62702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i>
나노코리아 2025(260 픽셀)
프로토텍 2025
이엠엘 260
3D컨트롤즈 260
린데PLC
EOS 2025
IM3D 2025
엔플러스솔루션스 2023
엠쓰리파트너스 23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