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최초의 상용급 액화수소 플랜트가 본격 가동된다. 플랜트 구축에 필요한 기자재와 운송용 탱크 트레일러가 국산화됨에 따라 액화수소 생태계 활성화가 기대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창원 액화수소 플랜트’ 준공식이 31일 두산에너빌리티 창원공장에서 개최됐다고 밝혔다. 이날 준공식에는 박찬기 산업부 수소경제정책관, 두산에터빌리티, 효성중공업, 범한메카텍, 크리오스, 디앨, 코하이젠, 가스안전공사 등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창원 액화수소 플랜트는 두산에너빌리티, 경남도, 창원시가 공동 투자해 설립한 하이창원(주)이 주관을 맡아 총 950억원(지방비 100억원, 민간 680억원)을 투입해 구축됐다. 천연가스 개질(SMR)을 통해 하루 5톤, 연간 최대 1,825톤의 액화수소를 생산해 인근 연구기관, 기업, 수소충전소 등에 공급하게 된다.
액화수소는 기체수소 대비 부피를 1/800까지 줄일 수 있어 운송효율이 10배 이상 높아 수소의 대량 운송과 수소상용차 보급 촉진 등의 핵심수단으로 주목받고 있다. 그간 국내 사용사례가 없어 안전기준이 부재하기 때문에 정부는 규제샌드박스 실증 특례를 통해 액화수소 플랜트 구축 및 기자재 부품 국산화 등을 적극 지원하고 있다.
이번 창원 액화수소 플랜트의 액화수소 운송·저장설비 등에는 국내 기술이 활용됐다. 플랜트와 연계해 국내 디앨(주)과 한국가스기술공사가 공동 개발한 액화수소 탱크트레일러가 함께 운영된다.
이날 준공식에는 지자체, 기업, 정부 출연기관 간 액화충전소 구축 및 수소버스 보급·활용, 액화수소 공급·구매 관련 업무협약 등도 체결됐다.
박찬기 수소경제정책관은 축사를 통해 ”이번 액화수소 플랜트 준공으로 우리나라가 미국, 독일, 일본 등에 이어 세계에서 9번째로 액화수소 생산국가가 됐다”며 “정부는 액화수소 핵심기술 국산화, 법령정비 및 규제개선, 수요처 다양화 등을 통해 국내 액화수소 생태계가 활성화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