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우리나라 바이오 생산·수출이 바이오 식품, 화학, 서비스 등의 성장세에 힘입어 역대 최대 규모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통상자원부(장관 방문규, 이하 산업부)와 한국바이오협회(회장 고한승)는 바이오기술을 이용한 제품 및 서비스의 생산, 수출입, 고용 및 투자 현황 등을 조사한 ‘2022년 국내 바이오산업 실태조사’ 결과를 7일 발표했다.
실태조사 결과 국내 바이오산업 생산 규모는 23조 4,657억원으로 전년대비 9.7% 증가했다. 바이오 생산은 최근 5년간 연평균 22%에 달하는 높은 성장률을 기록 중이다.
생산액 중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바이오의료기기(체외 진단 등)는 전년대비 2.3% 증가했고 바이오의약(바이오시밀러 등)은 2.5% 감소했다. 그러나 바이오서비스(CMO 등)와 바이오화학·에너지(바이오연료 등)가 각각 전년대비 32.6%, 24.2% 증가하면서 생산 확대를 견인했다.
바이오 수출은 전년대비 12.5% 증가한 13조5,189억원을 기록했고, 수입은 4조 2,466억원으로 전년대비 11% 감소했다. 수출은 체외진단기기 수출 감소에도 불구하고 바이오의료기기(12.9%↓)가 전체 수출의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였고, 바이오서비스와 바이오식품, 바이오의약 분야 수출이 각각 전년대비 93%, 20.1%, 8.6% 증가하며 수출 증가를 견인했다.
수입의 경우 전체 수입의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바이오의약이 코로나19 엔데믹 영향으로 감소(15.4%↓)했으나, 바이오화학·에너지와 바이오장비및기기 분야는 전년대비 각각 17.4%, 28.2% 증가했다.
바이오 인력은 6만1,152명으로 전년대비 7.8% 증가했으며, 최근 5년간 인력 증가율은 연평균 7.1%로 지속적으로 늘고 있다. 석박사급 비중이 25.1%로 고급인력 비중이 높은 편인 것으로 나타났다.
바이오 투자는 4조 1,255억원으로 전년대비 26.2% 증가했고, 특히 시설투자비(1.7조원)는 72.8%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용필 산업부 첨단산업정책국장은 “2022년 바이오산업은 코로나19의 선제적 대응을 계기로 생산규모가 역대 최고액을 기록하고 수출도 13.5조원을 돌파하는 등 크게 도약했다”며 “앞으로도 지속적이고 미래지향적인 바이오산업의 발전을 위해 기존 산업뿐만 아니라 디지털 치료제, 첨단바이오, 합성생물학과 같은 미래 먹거리에 대한 투자도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가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