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통상자원부가 전국의 대학, 기업, 출연연구기관 등 연구자를 대상으로 ‘24년 R&D 정책방향 설명회를 10차례 이상 개최한다.
산업통상자원부(장관 방문규)는 장영진 1차관이 6일 고려대에서 열린 ‘24년 R&D 정책방향 릴레이 설명회에 참석했다고 밝혔다. 이날 설명회에는 고려대·한양대·경희대·서울과학기술대,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삼양사·엔도로보틱스 등 산학연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이날 산업부는 △R&D 혁신방안 △‛24년 투자 방향 △글로벌 R&D전략을 설명하고, 연구현장의 생생한 목소리를 청취했다.
산업부가 NTIS(국가과학기술지식정보서비스) 정보를 기초로 분석한 바에 따르면 정부 R&D 지원을 받는 상위 30개 대학의 1억원 미만 과제 수 비중이 56.7%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설명회에서 장영진 1차관은 “정부는 R&D 다운 R&D를 위해 투자방향을 조정하는 구조개혁을 단행했으며, 이와 병행해 R&D 제도개선도 추진하고 있다”며, "연구자들이 인건비 걱정 없이 세계최고·세계최초를 지향하는 도전적·혁신적 R&D에 매진할 수 있도록 소규모 파편화된 지원보다는 대형성과를 낼 수 있는 R&D 지원체계를 만들겠다”고 설명했다.
또한 “이번 구조개혁이 완성되면 역량 있고 도전적인 연구자들에게는 양적·질적으로 더 많은 지원이 이뤄질 것이며, 정부는 현장 연구자들이 체감할 수 있도록 일관되게 정책을 추진해 나가겠다”고 덧붙였다.
이날 참석한 한 연구자는 “대통령이 말씀하신대로 기초·원천·차세대 기술에 정부 투자가 집중되고, 신진연구자들에게도 많은 기회가 주어져야 한다”며, “국가 R&D정책이 크게 변화하는 시기인 만큼 연구자들과의 더 많은 소통이 이뤄지길 바란다”고 제언했다.
산업부는 서울 지역을 시작으로 다음 주에는 강원, 충청지역에서 설명회를 개최하고, 내년 1월 초까지 10여 차례 이상 릴레이 현장 설명회를 추진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