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연합(EU)의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하위규정 발표 등 최근 글로벌 탄소규제가 심화되자 정부가 탄소중립 표준화 전략의 이행현황을 점검하고, 고도화 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자리를 마련, 오는 11월 '탄소중립 표준화 전략’을 발표하기로 했다.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원장 진종욱)은 글로벌 탄소규제 이슈를 논의하고 산업계 지원 방안을 검토하기 위해 지난해 12월 출범한 ‘탄소중립・녹색성장 표준화 포럼’ 총괄위원회를 개최하고 ‘탄소중립 표준화 전략’ 고도화 방향에 대해 논의했다고 17일 밝혔다.
탄소중립 표준화 전략은 지난 2021년 11월 탄소중립 산업·R&D 전략 지원을 위해 2050년까지 국제·국가표준 100종 개발과 국제표준 400종 도입, 인증품목 20종 개발·정비 추진 등의 내용이 담겨 있다.
최근 EU의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하위규정 발표(`23.6월), 배터리 규정 최종 승인(`23.7월) 및 미국의 기후공시 의무화(`22.3월),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발효(`22.8월) 등 관련 규제 신설이 지속되고 있다. 이에 탄소중립 관련 글로벌 정책변화에 대한 정부와 산업계의 공동 대응이 요구되고 있다.
국표원은 글로벌 탄소규제에 따른 산업계 요구를 적시에 반영하고 탄소중립 녹색성장 기본계획(`23.4월) 등 정부정책 지원을 강화하기 위해 세부분과 신설을 통한 포럼활동범위 확대, 표준화 우선순위 재조정 등 전략 고도화를 위한 방향을 검토하고, 올해 11월 포럼 총회에서 발표할 예정이다.
공동위원장인 두산에너빌리티 정연인 대표이사는 “글로벌 탄소중립의 선제적 대응을 위해서는 정부와 기업 간의 긴밀한 협력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국가기술표준원 진종욱 원장은 “지속되는 탄소규제 강화 등 국내외 정책변화에 맞추어 탄소중립 표준화 전략을 새로 수립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