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내년 소재·부품·장비 연구개발(R&D) 투자 방향을 주력산업 경쟁력 확보, 신산업 육성, 원천기술과 상용화 연계 등으로 설정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최기영)는 제3회 소재·부품·장비 기술특별위원회를 서면으로 개최하고, ‘2021년도 소부장 분야 정부 R&D 투자방향(안)’등 5개 안건을 심의·의결했다고 지난 17일 밝혔다.
내년 소부장 정부 R&D 예산 투자방향은 △반도체, 디스플레이, 자동차 등 주력산업 경쟁력 향상 및 공급안정성 확보를 위한 R&D △D.N.A(Data, Network, AI), BIG 3(시스템반도체, 바이오헬스, 미래차) 등 미래시장 선점을 위한 핵심소재 R&D 지원 △원천기술-상용화 연계를 위한 부처 공동 매칭펀드 조성, IP-R&D 연계 등 지원체계 구축 등을 주요 내용으로 담고 있다.
또한 핵심전략품목 R&D 투자는 △글로벌 경쟁력 확보를 위한 품목별 맞춤형 R&D △양산을 위한 수요기업 맞춤형 테스트베드 확충 △국가연구인프라(3N) 및 융합혁신지원단, 산·학·연 협력 강화 등을 통한 연구역량 결집 등을 목표로 추진된다.
과기부는 이들 투자방향을 기준으로 오는 6월에 2021년도 소부장 정부 R&D 예산 배분·조정안을 마련하고 과학기술자문회의 심의를 진행할 계획이다.
이날 이외에도 ‘소부장 R&D 사업 연구개발 예비타당성조사 우대사업 선정 계획’, ‘소부장 관련 인력양성과제 성과점검 계획(안)’ 등이 심의됐다.
시급 대응이 필요한 핵심전략기술 관련 소부장 R&D의 경우 ‘소부장 기술특위’가 소부장 관련 정책 부합성, 사업 추진의 기대효과 등을 기준으로 사전 검토·심의한다. 선정된 우대사업에 대해서는 정책적 타당성 평가에 가점이 부가되고, 경제성 평가는 비용효과(E/C) 분석으로 대체하게 된다.
소부장 분야 R&D투자 확대에 따른 체계적 인력양성을 위해 각 부처가 개별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과제들에 대한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성과관리체계 마련과 함께 산업계 인력수요 등을 고려한 분야별·수준별 현황이 조사·분석된다. 이를 통해 올 하반기 소부장 핵심인력 양성 현황 조사·분석안이 마련될 예정이다.
소부장 기술특위의 민간위원장인 김상식 고려대 교수는 “소부장 기술특위가 연구개발 예산을 전략적으로 투자할 수 있는 방향을 함께 고민하고, 산학연 간 협업할 수 있는 연구인프라를 마련해나가는데 역할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