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차 시장 확대로 리튬이온 이차전지(LIB)의 주요 소재인 전해액 수요가 중대형용을 중심으로 급격히 성장할 전망이다.
전기차용 이차전지 시장조사업체인 SNE리서치가 발간한 ‘2020년 리튬이온 이차전지 전해액 기술동향 및 시장전망’보고서에 따르면 LIB 전해액의 시장 수요는 2019년부터 오는 2025년까지 연평균 성장률이 42%에 달할 것으로 예측됐다.
전해액은 LIB내 양극 활물질과 음극 활물질 간에 리튬이온이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
2019년 전세계 리튬이온 이차전지용 전해액의 수요는 총 13만5,000톤 수준이었으며 2025년 수요는 약 109만3,000톤까지 늘어날 전망이다.
소형 전지용 전해액과 중대형 전지용 전해액의 비율은 2019년 약 34:66에서 2025년 6:94로 중대형용 전해액이 지속 늘어날 전망이다. 이는 승용 전기차 보급이 활성화가 진행되고 있기 때문이다.
2018년 기준 세계 전해액 업체별 출하량 순위는 중국의 티엔치(Tinci)가 3만5,700톤으로 시장점유율 20%를 차지하며 1위를 기록했다. 이어 중국의 캡켐(Capchem 2만4,000톤, 14%), 화롱(Huarong 1만8,000톤, 10%), 일본의 센트럴글래스(Central glass 1만7,000톤, 9%), 우베(Ube, 1만7,000톤, 9%) 등이 뒤를 이었다.
SNE리서치 관계자는 “전해액 업계 최근 문제가 되고 있는 LIB 발화 이슈를 최소화하기 위해 전지 내 부반응을 억제할 수 있는 첨가제를 사용하거나 고전압 조건에서도 안정한 용매 조성과 첨가제를 개발하는 등 다양한 전해액 연구가 진행 중”이라며 “전고체 전지의 개발 및 상용화가 아직 먼 미래의 일이라는 점을 감안했을 때 안전성이 강화된 전해액의 수요는 더욱 많아질 전망”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