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중앙회(회장 박성택)가 지난 4월16일부터 4월20일까지 3,150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2018년 5월 중소기업경기전망조사’를 실시한 결과, 업황전망 중소기업건강도지수(SBHI, Small Business Health Index)가 전월대비 0.2p 하락하고 전년동월대비 2.5p 상승한 93.0으로 조사됐다.
이는 SBHI가 2개월 연속 상승한 이후 경기호전 유인이 뚜렷하지 않음에 따라 주춤해진 것으로 보여진다.
제조업의 5월 경기전망은 전월과 비슷(-0.1p)한 92.8로 조사됐고 비제조업에서도 소폭 하락(-0.2p)한 93.1로 나타나 중소기업은 5월 경기전망을 다소 소극적으로 보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비스업은 93.4로 전월보다 하락(-0.4p)했으나 건설업은 93.4로 전월보다 상승(0.4p) 했다.
제조업에서는 ‘기타운송장비’(75.0→92.3), ‘종이 및 종이제품’(87.5→99.0) 등 12개 업종에서 상승한 반면에 ‘음료’(103.6→80.8), ‘비금속광물제품’ (107.0→93.4) 등 10개 업종에서 하락했다.
비제조업에서는 건설업(91.4→91.8)의 경우 연초 확보된 원청업체의 발주물량에 대한 하청 기대감으로 전월에 이어 소폭 상승했으나, 서비스업(93.8→93.4)에서는 소폭 하락했는데 ‘수리 및 기타개인서비스업’(83.6→90.4), ‘숙박 및 음식점업’(91.8→96.3) 등 5개 업종에서 상승한 반면에 ‘운수업’(93.3→90.5), ‘사업시설관리 및 사업지원서비스업’(91.3→89.0) 등 5개 업종에서 하락했다.
내수판매전망(92.3→92.9), 영업이익전망(87.5→88.8), 자금사정전망(83.2→84.9)은 소폭 상승했으나 수출전망(96.8→90.3)은 소기업 수출부진으로 크게 하락하고, 역계열 추세인 고용수준전망(95.3→95.7)은 상승해 수출과 고용전망은 전월보다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2018년 5월의 전망치와 최근 1년 항목별 전망 평균치와 비교해보면 제조업에서는 경기전반, 생산, 내수, 수출, 영업이익, 자금사정, 원자재 전망치는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비제조업에서는 수출전망이 크게 감소해 악화된 반면 경기전반, 내수, 영업이익 전망치는 개선된 것으로 조사됐다.
프로필은 기사 하단에 위의 사진과 함께 제공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