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수출(3월1~20일)은 전년동월대비 35.1% 증가한 376억8천불, 수입은 48.4% 증가한 354.9억불로 무역수지는 21억9천만불 흑자를 기록했다.
수출은 신흥시장 중심 수요회복으로 글로벌 경제위기 본격화 이전인 2008년 3월(359억9천만불) 수준보다 높은 376억8천만불을 기록했다.
전년동월대비 주력품목 대부분이 큰 폭의 수출증가세를 보였다. 반도체는 123.8%의 증가율을, 자동차부품은 105.5% 증가했으며 자동차(62.5%), 가전(56%), 액정디바이스(45.2%), 석유화학(41.3%) 등이 뒤를 따랐다. 반면, 무선통신기기(△15.6%)와 선박(△18.2)은 감소했다.
전년동기대비 중국(47.5%)·ASEAN(61.8%) 등 對개도국 수출과 미국(30.4%)·일본(34.3%)·EU(8.4%) 등 對선진국 수출 모두 확대했다. 반면, 칠레 대지진으로 對칠레(△46.9%) 등 중남미 수출은 감소했다.
수입은 수출용 원자재·설비부품인 반도체 제조장비와 철강제품 등이 증가하며, 전월 309억4천만불 보다 높은 354억9천만불을 기록했다.
원자재는 전년동월대비 유가상승 등으로 원유(81.5%), 석유제품(41.4%), 가스(21.4%), 비철금속(79.7%) 등 증가했다. 특히 원유는 도입단가 상승으로 전년동월대비 81.5% 증가한 51억2천만불 수입으로, 전월과 동일한 수입금액을 보였다.
전년동월대비 수출용 원자재·설비부품인 반도체 제조장비는 287.5%, 철강제품은 29.7% 급증했다.
무역수지는 전월대비 주요품목 수출은 증가했으나 에너지 수입은 유사해, 2월(20억7천만불)보다 1억2천만불 증가한 21억9천만불 흑자를 기록했다.
전월대비 선박수출은 감소(48→33억불)했으나 무선통신기기(20→22억불), 자동차(23→29억불) 등 대부분 품목 수출은 증가했다.
전월대비 원유(51→51억불)는 동일했으며, 석유제품(16→14억불) 수입은 감소하고, 석탄(8→9억불), 가스(20→22억불) 수입은 증가했다.
지식경제부 관계자는 “4월 이후 무역여건은 원화절상과 원자재가 상승 및 미국·중국간 통상분쟁 심화 등 불안요인이 잠재돼 있다”라며 “하지만 해외수요 회복, 중국의 가전하향 확대 등 내수확대 지속으로 반도체, 디스플레이 등 주력 품목 수출이 확대돼 연간 200억불 무역흑자 달성 가능할 것”으로 전망했다.
아울러 “1/4분기 무역흑자 기조가 지속될 수 있도록 수출기업들의 환리스크 관리, 수출마케팅 강화 및 무역금융애로 해소 등 수출총력지원체제를 지속 강화할 방침”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