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경부, 2024년 신재생E 발전 8.9%로 확대
신근순 기자
2010-12-28
-
코퍼스트/
고봉길 기자
2010-12-27
-
희토류·Li, 2019년 자주개발률 ‘26%’
정부가 신성장동력산업의 핵심 소재인 희토류·리튬 확보를 위해 新전략광종으로 선정하고 2019년까지 자주개발률 목표를 26%로 끌어올린다는 계획을 밝혔다.
지식경제부는 이와 같은 내용을 담은 ‘제4차 해외자원개발 기본계획’을 22일 수립·발표했다. 해외자원개발기본계획은 해외자원개발사업법에 따라 매 3년마다 10년 단위로 수립되는 해외자원개발에 관한 장기적이고 종합적인 기본계획이다. 최근 원자재 값이 급등하며 국제적으로 에너지·자원 확보 경쟁이 심화되는 상황이어서 이번 계획의 달성 여부가 관심을 받고 있다.
이번 4차 계획을 통해 지경부는 희토류·리튬을 新전략광물로 선정하고 원유·가스 및 6대 전략광물에 대한 자주개발률 장기 목표를 설정했다.
희토류·리튬의 자주개발률 목표는 2009년 7.3%에서 2019년 26%로 대폭 확대됐다. 유연탄·우라늄·철·동·아연·니켈 등 6대 전략광물 자주개발률 목표는 2009년 25%에서 2019년 42%로, 같은 기간 원유·가스는 9%에서 30%로 각각 늘었다.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주요 추진전략으로는 △新전략광물 및 비전통 에너지자원 확보 △자원개발 공기업 경쟁력 강화 △자원협력 △투자재원 확대 △자원개발 서비스기업 신규 육성 △인력양성 및 R&D 추진 등이 제시됐다.
우선 신산업과 연계성이 높고 수요 급증이 예상되는 리튬, 희토류는 신전략광물로 선정돼 전략광물에 준하는 정책적인 지원이 집중돼며 국내 유망 광화대 탐사와 비축도 확대된다. 지경부는 2016년까지 크롬, 몰리브덴 등 희유금속 8종을 7만6,000톤, 이중 희토류는 약 1,200톤 비축키로 했다. 생산기술의 발달로 북미 등을 중심으로 생산량이 증대되고 있는 오일샌드, 셰일가스 등 비전통 에너지자원 상용화를 고려한 新자원개발 핵심기술로드맵이 구축된다.
자원개발 공기업인 석유공사는 대형화를 지속 추진하고 M&A, 기술력 제고 등을 통해 자생적 성장기반 마련에 주력한다. 가스공사는 LNG 구매력을 활용한 자원개발 사업 확대, 광물자원공사는 세계 20위권의 자원개발 전문기업으로의 도약이 추진된다. 이를 위해 초기 대규모 투자비가 소요되고 투자회수 기간이 장기인 자원개발사업의 특수성을 고려한 공기업 평가제도로 개선된다.
자원협력을 위해 우리나라의 장점을 살린 차별화된 한국형 자원개발 협력모델이 추진되며, 자원개발과 SOC 사업 등이 연계된 동반진출사업의 활성화가 지원된다.
매장량기초금융(RBF, Reserve Based Financing) 등 신금융기법의 활성화, 무역보험공사와 수출입은행의 금융지원 확대, 연기금의 자원개발 투자 활성화 등을 통해 투자 재원이 확대된다. 무역보험공사의 자원개발 보증액은 올해 2조원에서 2013년 3조5,000억원으로, 같은기간 수출입은행의 자원개발 융자액은 3조원에서 5조원으로 늘린다는 계획이다. 또한 2012년부터 해외자원개발 융자 전액이 민간기업에 지원된다.
자원개발 서비스 기업 육성과 활성화를 위해 성공불 융자의 가점부여 등 적극적인 지원 방안이 마련된다. 지경부는 우선 파급효과가 큰 탐사자료 취득·처리 및 원유·가스전 기술평가·중개서비스를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이밖에도 인력양성을 위해 자원개발 특성화 대학은 인턴십 프로그램 등 현장실무 인력 양성에 주력하고, 장기적으로 자원개발전문대학원 설립이 추진된다.
신근순 기자
2010-12-24
-
SK에너지, 광구 포트폴리오 재편
다음달 1일부로 석유와 화학사업을 분할하고 ‘SK이노베이션’으로 사명을 변경하는 SK에너지가 보유광구 포트폴리오 재편을 통해 자금을 확보하고 전략적 석유개발사업 운영에 나선다.
SK에너지(대표 구자영)는 23일 서린동 SK본사에서 열린 이사회에서 석유개발 브라질 법인(SK do Brasil Ltda.)이 보유한 주식 전량을 덴마크 Maersk Oil(머스크 오일)社에 24억달러에 매각하는 안건을 의결했다고 23일 발표했다.
브라질 광구 개발을 위해 2000년에 설립된 SK에너지 브라질 법인은 생산광구인 BM-C-8과 탐사광구인 BM-C-30 및 BM-C-32의 3개 해상광구에 대해 각각 40%, 20%, 26.67%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BM-C-8 광구는 일일 1만 배럴의 지분 원유를 생산하고 있으며, BM-C-30/32탐사 광구는 석유 탐사 및 개발 활동이 전개되고 있는 브라질 캄포스(Campos)분지 심해에 위치하고 있다.
SK에너지 관계자는 이번 계약이 “석유개발 사업에서 글로벌 메이저로 성장하기 위한 경영전략의 일환”이라며 “탐사·생산광구간 적정 포트폴리오 구축과 회사 규모에 맞는 적정 투자를 통해 원유를 조기확보하는 한편, 정부의 자주개발률 확대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또한, SK에너지는 매각을 통해 확보된 자금 유동성을 기반으로 생산 및 개발단계의 광구 매입 또는 해외 석유개발 기업 인수 등 다양한 사업기회를 모색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특히 베트남, 페루, 콜롬비아 등의 유망 광구에 대한 탐사 및 개발 작업을 성공적으로 추진해 보유 매장량 및 생산량을 늘리고 SK에너지의 기업 역량에 적합한 광구 포트폴리오를 구성해 자원개발 사업 최적화에 나설 전망이다.
또한 올해 상반기 미국 휴스턴에 설립한 자원개발 기술연구소(E&P Technical Center)를 통해 기술력을 강화하고 광구 운영 능력을 확보해 직접탐사, 개발 및 생산활동을 수행하는 글로벌 석유개발 전문회사로 부상한다는 계획이다 .
SK에너지 구자영 사장은 “지금까지 축적해 온 자원개발 사업의 노하우를 바탕으로 ‘선택과 집중’을 통한 한단계 도약을 이뤄나갈 시기” 라며 “투자자금 확보와 광구 보유 재편성으로 효율적인 석유개발 사업을 이끌어 나감으로써 정부 정책과의 일관성을 유지하고 국내 에너지 자주확보에 기여할 수 있는 기업으로 성장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편 SK에너지는 1983년 국내 민간기업 최초로 해외 자원개발 사업에 뛰어든 이래로 2009년말 기준 5억 배럴의 원유를 확보하고 현재 하루 7만5,000배럴의 지분 원유를 생산하고 있다. 현재 16개국 30개 광구에서 탐사·개발·생산을 진행하고 있으며 올해 준공한 페루 LNG를 비롯하여 예멘, 오만, 카타르 등 4개국에서 LNG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다.
신근순 기자
2010-12-24
-
한국원자력연구원
◇부장급
▶정책연구부장 원병출
◇팀장급
▶원자력정책팀장 이태준 ▶장치개발팀장 염기언
엄태준 기자
2010-12-23
-
수도권매립지 PV, 서부·남부·동서발전 품에
김성준 기자
2010-12-22
-
석유公, 내년 유가 배럴당 80~85불
최근 연중 최고치를 기록하며 강세를 보이고 있는 국제유가가 내년에는 배럴당 평균 80~85달러에 머물 것이라는 예측이 나왔다.한국석유공사(사장 강영원)는 20일 ‘2010년 석유시장 평가 및 2011년 유가전망’ 자료를 통해 내년 국제유가는 두바이유 기준으로 배럴당 올해보다 2~7달러 상승한 80~85달러 수준이 될 것으로 전망했다.이에 대해 석유공사 관계자는 “중국 등 개도국의 경제 성장에 따른 빡빡한 석유수급과 투기자금 유입 증대, 기후 및 지정학적 불안 등이 내년도 유가 상승요인이지만 세계 경기회복 둔화 우려와 높은 석유재고 등으로 상승폭은 제한될 것”이라고 분석했다.또한 “올해 국제유가와 관련해선 ”3분기 이후 국제유가가 동절기 이상한파 등의 영향으로 배럴당 80달러대 후반 수준을 지속하고 있다”며 “미국 등 주요국의 경기부양 추진으로 유동성 규모가 증가해 석유시장으로 자금유입이 늘었고, 동절기 이상한파로 난방유 수요도 증가했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한편 미국 에너지정보청(EIA)은 지난 7일 단기전망보고서를 통해 내년 평균 유가를 배럴당 86.08달러로 전망했다. 이는 전월전망치 대비 0.91달러 오른 수치다.EIA는 최근 석유수요의 강세로 인해 재고 감소세가 나타나고 있으며 내년 수요도 견조한 성장세를 이어갈 전망이라고 밝혔다. 이러한 석유 수요 증가는 중국, 중동, 브라질 등 개도국들이 견인할 것으로 예측했다. 또한 올해 세계석유수요 증가분이 비 OPEC 공급 증가분의 약 2배에 달하고 있어 재고 감소세가 내년에도 지속될 것으로 전망했다.
신근순 기자
2010-12-21
-
한국석유공사
전보 12월20일 ◇처·실장급 전보 ▶생산시설건설단장 노시대 ▶비축시설처장 김중현 ▶구리지사장 강남의 ▶거제지사장 이용국 ▶울산지사장 한병호 ▶석유비축처장 김강석 ▶평택지사장 함윤 ◇팀장급 전보 ▶가스전관리사무소 업무관리팀장 김득수 ▶서산지사 안전운영팀 담당역 정병철 ▶기술계획실 기술협력팀장 김경복 ▶경영지원처 에특회계팀 담당역 정영식 ▶시추운영단 시추지원팀장 최찬호 ▶석유정보센터 OPINET사업추진전담반장 최창완 ▶재무처 회계세무팀장 홍대정 ▶구리지사 관리팀장 홍유택 ▶재무처 자산유동화팀장 김기봉 ▶생산시설건설단 생산시설건설팀장 전영진 ▶기획조정실 인사팀 담당역 이강수 ▶석유공학실 저류공학팀 담당역 이원규 ▶법무팀장 김진 ▶시추운영단 시추지원팀 담당역 백인천 ▶거제지사 안전운영팀 담당역 이영훈 ▶용인지사 안전운영팀장 백종연 ▶카자흐스탄사무소 담당역 이진호 ▶재무처 융자팀장 조대홍 ▶석유공학실 저류공학팀장 권오광 ▶리그사업처 리그사업팀장 기세영 ▶서산지사 관리팀장 이진형 ▶여수지사 안전운영팀 담당역 김성열 ▶경영지원처 복지후생팀장 이필광 ▶서산지사 안전운영팀장 황호윤 ▶평택지사 관리팀장 차준호 ▶거제지사 관리팀장 김교중 ▶울산지사 관리팀장 최태림 ▶여수지사 안전운영팀장 신종현
신근순 기자
2010-12-21
-
석유公, 신입직원 직무연수 일환 봉사활동
신근순 기자
2010-12-17
-
STX에너지-석유公, 美 알라바마주 유전 인수
신근순 기자
2010-12-16
-
석유公, 加 헌트社 상류부문 전량 인수
신근순 기자
2010-12-16
-
포스코파워, 美 세계 최대 PV발전소 개발
신근순 기자
2010-12-16
-
국내외 자원개발 전문인력 ‘한눈’
신근순 기자
2010-12-13
-
태양광업계 ‘3분기 경영실적’
||
올해 국내 주요 태양광 업체의 3분기 경영실적은 세계 경기 개선과 세계적인 신재생에너지 수요 증가의 영향으로 전년동기 대비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올해 세계 태양광 시장규모는 시장을 주도하고 있는 독일 시장의 성장과 중국 업체들의 공격적인 태양전지 생산캐파 증설로 당초 10GW로 예상됐으나 실제로는 15~16GW로 증가됐다. 이에 폴리실리콘, 웨이퍼 부족 현상이 나타나는 등 태양광 시장은 다시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최근 공시된 업체별 3분기 실적을 보면 폴리실리콘, 잉곳, 웨이퍼에서 셀·모듈, 설비까지 밸류체인을 형성한 현대중공업은 전년동기 대비 7% 증가한 5조3,337억원의 매출을 올렸다. 이 중 7,144억원이 전기전자 파트 매출이고 태양광 분야가 여기에 포함된다. 영업이익은 7,988억원, 당기순이익은 8,634억원이다. 이는 전년동기 대비 각각 50.2%, 61.7% 늘어난 수치다.올해 현대중공업과 함께 폴리실리콘 생산에 나선 KCC는 전년동기 대비 2.6% 감소한 7,033억원의 매출을 기록했다.KCC의 영업이익도 전년동기 대비 43.3% 감소한 528억원을 나타냈고 당기순손실 772억원으로 적자전환하는 등 전반적인 부진을 보였다. 세계적인 폴리실리콘 공급업체 OCI는 3분기 6,363억원의 매출을 올려 전년동기 대비 2.3% 성장했다. 영업이익은 1,713억원으로 전년동기 대비 6.2% 줄었지만 당기순이익은 1,559억원으로 오히려 2.5% 증가했다. OCI는 폴리실리콘에서만 전체의 46%에 달하는 2,926억원의 매출을 올리며 이 부문에서는 전년동기 대비 4%의 증가폭을 나타냈다. 설비와 장비부문 국내 선두기업들은 괄목할 만한 성장세를 나타냈다. 이는 중국 태양전지 제조업체들의 공격적인 증설에 따른 장비 수요 증가에 의한 것이다. JA Solar, Suntech, Yingli 등 세계 TOP 태양전지 메이커들은 생산능력을 각각 1GW급으로 확장했다. 또한 고효율 태양전지 제품 생산 확대에 따른 장비교체의 영향도 컸다.태양광 설비업체 이테크건설은 전년동기 대비 200.6% 증가한 2,746억원의 매출을 달성했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100억원을 기록해 적자에서 흑자로 돌아섰으며 당기순이익도 65억원으로 전년동기 대비 209.4% 확대됐다.태양광 장비 생산기업 주성엔지니어링 역시 전년동기 대비 204.5% 늘어난 매출 1,532억원을 기록했으며, 영업이익도 242.9% 증가한 182억원으로 가파른 상승세를 보였다. 특히 당기순이익은 157억원으로 증가율이 무려 2,673%에 달했다. 전체 매출 중 태양전지 장비 부문은 전체의 38%를 차지하는 584억원으로 매출 증대를 견인했다. 주성엔지니어링의 3분기 매출을 국내·외로 나눠보면 국내 매출은 34억원으로 5.8%에 그친 반면 해외 매출이 551억원으로 94.2%를 차지하고 있다.이 같이 해외시장에서 더욱 평가받고 있는 주성엔지니어링은 향후 중국의 기존고객들로부터의 반복 수주와 신규 BIPV 시장 확대 전망에 따라 수주 증가가 예상된다. 특히 싱글보다는 수주규모가 큰 신기술 탠덤 태양전지(Tandem Solar Cell) 장비 수주가 큰 몫을 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장비 전문기업 이오테크닉스는 전년동기 대비 194.4% 증가한 707억원의 매출을 달성했다. 영업이익은 171억원, 당기순이익은 113억원을 올려 전년동기 대비 각각 466.9%, 627.1% 급상승했다.신성홀딩스 또한 전년동기 대비 407.3% 증가한 692억원의 매출을 올렸으며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도 각각 75억원과 56억원으로 모두 흑자전환됐다.태양광발전 전문업체로 모듈, 인버터 등을 생산하는 에스에너지는 지난 3분기 654억원의 매출을 달성, 전년동기 대비 17%의 증가를 나타냈다. 영업이익도 전년동기 대비 20.3% 확대된 51억원을 기록했다. 반면 당기순이익은 34억원으로 전년동기 대비 4.3% 줄었다.지난 9월 포스코플랜텍과 함께 태국 정부와 태양광발전소 건설 MOA 계약을 체결한 에버테크노는 올해 3분기 627억원의 매출을 올려 전년동기 대비 229.8%의 성장을 거뒀다. 영업이익은 78억원, 당기순이익은 56억원을 달성해 모두 흑자전환에 성공했다.설비업체 신성이엔지는 3분기 594억원의 매출을 올려 전년동기 대비 351%의 증가를 나타냈다.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은 각각 56억원과 44억원을 달성, 모두 흑자전환됐다.태양광 장비업체 한미반도체는 전년동기 대비 123.8%의 증가한 459억원의 매출을 올렸다. 영업이익은 97억원으로 전년동기 대비 217.8% 늘었고 당기순이익도 55억원으로 251.2% 증가했다. 한미반도체의 태양광 장비 관련 매출은 3분기 전체 매출 459억원 가운데 약 3%에 해당하는 14억원이다.웨이퍼와 설비 제조회사 웅진에너지는 403억원의 매출을 올려 전년동기 대비 33.2%의 증가폭을 나타냈다. 영업이익은 139억원으로 전년동기 대비 0.3% 소폭 하락했다. 당기순이익은 113억원으로 전년동기 대비 12.8%의 증가율을 기록했다.잉곳·웨이퍼 업체 오성엘에스티는 전년동기 대비 46.3% 증가한 401억원의 매출을 달성했다. 반면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은 각각 12억원과 11억원으로 전년동기 대비 각각 53.1%, 23.6% 후퇴했다.태양광 창호 제작업체 이건창호의 3분기 매출은 222억원으로 전년동기 대비 47.3% 감소했다.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은 각각 11억원, 13억원 손실을 기록해 모두 적자전환 됐다.실리콘 웨이퍼 및 태양전지용 전극페이스트를 생산하는 대주전자재료는 올해 3분기 155억원의 매출을 달성, 전년동기 대비 18%의 성장을 실현했다. 반면, 영업이익은 9억원으로 전년동기 대비 52.9% 줄었고 당기순이익은 10억원 손실로 적자전환됐다.웨이퍼 생산업체 티씨케이는 전년동기 대비 29.2%의 증가한 120억원의 매출을 올렸으며 영업이익은 35억원으로 전년동기 대비 60.8%, 당기순이익은 26억원으로 38.7% 증가했다.||
김성준,이일주 기자
2010-12-11
-
한수원, 국내 최초 30년 만기 회사채 발행
신근순 기자
2010-12-08
- 많이 본 뉴스
-
-
1
“韓 AI 투자 中 1/3 불과, AI 강국 4년 골든 타임”
-
2
2024년 철강 31社 경영실적
-
3
1~3월 전기車 배터리 사용량, 전년比 39%↑
-
4
LG화학, 제철소 CO2 포집 CO·H2 전환 추진
-
5
1~3월 글로벌 전기車 인도량, 전년比 35%↑
-
6
탄소산업진흥원, “기관장 업추비 4800만원 사실 아냐, 공시 단위 입력 오류”
-
7
제이앤티씨, TGV 유리기판 신사업 본격 추진
-
8
한화방산 3社, 중남미 방산 新시장 개척
-
9
국토부, ’28년 상용화 수소열차 실증 착수
-
10
화학연, 수중 로봇용 인공 근육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