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대일렉트릭, 獨 에너지관리 신사업 공략 박차
편집국 기자
2017-04-26
-
에너지공단, 에너지이용합리화자금 맞춤형 홍보
배종인 기자
2017-04-25
-
에기평, 청소년 에너지전문가 꿈 키운다
배종인 기자
2017-04-25
-
에기평, 미래에너지시장 전략 도출 논의
배종인 기자
2017-04-25
-
소규모 신재생발전 사업자 계통접속 빨라진다
정부가 전력 계통접속용량 부족으로 사업이 지연되고 있는 소규모 신재생발전 사업자들의 불편해소를 위해 나선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해 10월 ‘1MW 이하 소규모 신재생 계통접속 보장’ 정책을 시행한 이후 접속 수요가 급증해 일부 사업자의 계통접속이 지연됨에 따라 연말까지 모두 해소할 계획이라고 25일 밝혔다.
이에 3월말 현재 접속용량 부족으로 대기중인 약 974MW(3,681건)에 대해 변압기당 접속용량을 25MW에서 50MW로 늘리는 한편, 변압기 및 배전선로 등을 추가로 설치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산업부는 풍부한 일조량과 상대적으로 값싼 토지 가격으로 소규모 태양광 발전이 밀집된 전남·전북·경북 지역의 현재 접속대기 중인 용량이 연내 사라질 것으로 기대했다.
또한 새롭게 진입하는 신재생발전 사업자에 대해서는 한국전력의 홈페이지를 통해 사업희망 지역의 계통 접속 여유 용량을 조회할 수 있는 ‘분산전원 연계정보’ 서비스를 적극 알리고 병목 예상지역에 필요 설비를 선제 투자한다는 계획이다.
이밖에도 호남 지역 등 태양광 발전이 편중된 지역의 사업자에게 계통 여유가 있는 다른 지역을 알려주어 분산배치를 유도하고 향후 8차 전력수급기본계획 수립시 신재생에너지 증가 규모 등을 반영해 추가 송·변전 설비 등에 대한 투자 계획 등을 검토할 예정이다.
산업부 관계자는 “연말까지 대기중인 용량이 모두 접속되도록 최선을 다하고, 지속적으로 계통접속이 신재생 보급 확대를 위한 걸림돌이 되지 않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엄태준 기자
2017-04-25
-
한전, 美 태양광·ESS활용 플랫폼 사업 진출
편집국 기자
2017-04-23
-
파인테크닉스, 이동형 ESS 무정전 장치 개발
편집국 기자
2017-04-23
-
한전, 제2차 에너지 스타트업 육성기업 모집
한국전력(사장 조환익)이 오는 4월30일까지 에너지신산업 중심의 미래성장 동력을 발굴 육성하기 위하여 ‘제2차 KEPCO 에너지 스타트업’을 모집한다.
이번 2차 모집은 지난 3월 제1차 선정기업(18개사)에 이어 에너지신산업중심의 제2차 스타트업 약 40여개사를 모집하는 것이다.
한전은 에너지신산업분야 미래성장동력을 발굴하고 에너지생태계의 성장발전을 위해 2020년까지 KEPCO 에너지 스타트업 300개사 발굴 및 육성 사업을 지속 추진할 것이다.
이번 공모 대상에는 예비창업자까지 확대됐다. 한전은 최종 선정된 스타트업에 대해 △기업별 최장 2년 동안 2억원 한도의 자금 지원 △빛가람혁신센터에 입주 오피스 제공과 한전의 실증 시험센터 이용 △한전의 특허 기술 활용과 분야별 기술 멘토링 등을 지원할 예정이다.
또한 스타트업 프로그램 이후에도 후속 투자연계 프로그램, 중소기업 R&D협력, 수출 파일럿 프로젝트 등 동반성장 프로그램과 연계하여 강소 수출기업으로 성장해 나갈 수 있도록 체계적인 지원에 나선다.
편집국 기자
2017-04-21
-
LG화학·삼성SDI, LIB ESS시장 과반 돌파
업태준 기자
2017-04-21
-
에너지공단, 태양광 대여사업 본격 추진
배종인 기자
2017-04-20
-
해자협, 자원개발 투자분야 교육과정 운영
직장인들의 해외자원개발 직무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이 마련됐다.
해외자원개발협회(회장 이승훈)는 오는 5월16일부터 6월1일까지 6일(격주 화·수·목)에 걸쳐 ‘자원개발 투자분야 교육과정’을 운영할 계획이다.
이번 과정은 E&P 투자 검토 시 필요한 사업 평가방법, 리스크 관리 등과 관련된 교육으로 국내 현장실습도 1박2일(5월25∼26일) 포함돼 있다.
강사진은 금융기관, 투자운용사, 회계법인, 컨설팅 업체 등 해당 분야의 전문가들로 구성됐다.
본 과정은 자원개발 자산운용전문가 기초과정에 해당하며, 기초과정과 심화과정(석유가스·광물자원)을 모두 수료한 사람은 자원개발펀드를 운용할 수 있는 해외자원개발 투자운용인력 ‘자격’(산업통상자원부 고시)이 인정된다.
그동안에는 교육이 주간에 이뤄져 참가가 어려웠던 직장인들이 저녁 시간을 활용해 직무역량을 증진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자원개발과 관련된 업계 재직자라면 누구나 수강할 수 있다.
교육 참가비는 현장실습비를 포함해 6만원이며, 참가 희망자는 협회 홈페이지(www.emrd.or.kr)를 참고하거나 교육운영팀(02-2112-8713)으로 문의하면 된다.
배종인 기자
2017-04-20
-
한경연, “주거용 ESS 시장 키우려면 진입규제 완화해야”
배종인 기자
2017-04-19
-
ESS, 신재생E 확대에 ‘성장일로’
신근순 기자
2017-04-19
-
한전, 美 30MW 태양광발전소 운영 개시
편집국 기자
2017-04-19
-
급속충전기 1,300기 돌파…전기차 10대 당 1기
편집국 기자
2017-04-19
- 많이 본 뉴스
-
-
1
’24년 LIB 양극재 수요, 전년比 24%↑
-
2
이엠엘, 300억 새만금 첨단금속 소재 공장 착공
-
3
철도공단, “학익역 사업 정상적 진행 실시설계 완료”
-
4
산업부, 4300GWh 수소발전 입찰시장 개설
-
5
㈜위드피에스, 한화시스템 ‘L-SAM 주전원공급유닛’ 계약
-
6
PMI바이오텍, 굴껍질 재활용 칼슘 120억 계약
-
7
코스모화학, 1Q 영업익 1억…흑자전환
-
8
링크솔루션, 98억 주형 3D프린팅 공정개발 주관
-
9
1~3월 非中 전기車 인도량, 전년比 20%↑
-
10
신재생E, 국내 발전 비중 10% 첫 돌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