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두산중공업, 1조8천억 규모 삼척화력발전소 건설공사 수주
두산중공업이 국내에서 다섯 번째 1000MW급 화력발전소 수주에 성공했다. 두산중공업은 1조8000억원 규모 삼척화력발전소 1, 2호기 건설 프로젝트를 수주하고, 발주처인 포스파워와 공사 계약을 체결했다고 25일 밝혔다. 총 공사비는 약 3조5000억원 규모로, 두산중공업(1조8000억)은 포스코건설(1조7000억)과 컨소시엄을 이뤄 수주에 성공했다. 강원도 삼척시 적노동 일대에 건설되는 삼척화력발전소 1, 2호기는 총 발전용량 2100MW(1050MW X 2기) 규모로, 발전 효율이 높은 초초임계압 방식으로 지어질 예정이다. 두산중공업은 터빈, 보일러 등 발전소 주기기 공급과 유관 건설 공사를 맡을 계획이며 1호기는 2023년 10월, 2호기는 2024년 4월 준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1000MW 초초임계압 화력발전소(USC)는 터빈에 유입되는 증기의 압력이 246㎏/㎠이상이고, 증기온도가 593도 이상인 발전소를 말한다. 증기 압력과 온도가 높을수록 발전 효율이 높아져 연료 소비를 줄이는 반면 황산화물 등 온실가스 배출량은 감소시키는 최신 기술이다. 두산중공업은 2013년 신보령 화력발전을 시작으로, 강릉안인화력(보일러/터빈), 고성하이화력(터빈), 신서천화력(터빈/발전기)에 이어 국내에서 다섯 번째 1000MW급 화력발전소 주기기를 공급해왔다. 윤석원 두산중공업 EPC BG장은 “환경에 대한 사회적인 관심이 높은 만큼 세계 최고 수준의 친환경 화력발전소를 건설할 계획”이라며 “독보적인 국내 1000MW급 화력발전소 건설 실적을 기반으로 해외시장을 적극 공략해 나갈 것이다”고 밝혔다.
편집국
2018-07-25
-
전기硏, 광주 에너지밸리 시험적체 문제 해소
배종인 기자
2018-07-25
-
폭염·휴가철 前, 역대 최대전력수요 9,070만kW 기록
연일 폭염과 본격적인 휴가철 전 조업집중으로 인해 전력수요가 역대 최대치를 기록함에 따라 정부가 예의주시하며 산업계에 수요감축요청(DR)까지 고려하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3일 17시에 전력수요가 9,070만kW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는 역대 최대치로 지난 금요일 8,808만kW 대비 약 260만kW가 급증한 수치다. 이는 재난수준의 폭염의 영향이 크다. 통상, 여름철 1℃ 상승시에 전력수요가 평균 80만kW가 증가하는 패턴을 감안할 때, 기온상승으로 약 175만kW 이상의 전력수요가 상승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또한 주말에 소멸될 것으로 전망되었던 태풍 암필이 중국 상륙 후에도 간접적인 영향을 계속 미치면서 월요일 습도(46%)도 전력수요 추가 상승에 기여한 것으로 분석됐다. 현재 예비력은 760만kW(원전 5기, 표준석탄화력 15기 용량), 예비율은 8.4%를 기록하고 있다. 24일 최대전력수요는 오늘과 유사하거나, 다소 상승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산업부는 수요감축요청 시행여부에 대해서 전력수급 여건과 본격적인 휴가철을 앞둔 기업들의 조업 상황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판단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신근순 기자
2018-07-24
-
두산중공업, 2,300억 규모 오만 해수담수화 플랜트 수주
편집국
2018-07-23
-
갯벌內 블루카본, 온실가스 저감 도움준다
해양환경공단의 블루카본 연구개발사업이 온실가스를 낮추는 기술로 그 중요성을 인정받았다.해양환경공단(KOEM, 이사장 박승기)이 수행하는 ‘블루카본 정보시스템 구축 및 평가관리기술 개발’ 이, 지난 18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 주관하는 ‘2018년 기후변화대응 대표기술 10선’에 선정돼 장관상을 수상했다. 블루카본은 갯벌, 잘피, 염생식물 등 연안에 서식하는 식물과 퇴적물에 저장되어 있는 탄소를 말한다. 육상 산림보다 우수한 탄소흡수 및 저장능력으로 인해 신규 탄소흡수원으로 주목받고 있다.우리나라는 전체 면적 2,487.2㎢에 달하는 세계 5대 갯벌 보유국으로서 블루카본 개발 및 활용에 대한 높은 잠재성을 지니고 있다. 이번에 선정된 블루카본 기술개발사업은 연안 블루카본 현황조사 및 정보시스템 구축을 통해 △해양수산부문 기후변화 적응 체계 마련 △해양(연안) 생태계 우수한 탄소흡수능력을 활용한 국가 중장기 온실가스 감축목표 달성 △신기후체제 이행 기여가 목표이다.박승기 해양환경공단 이사장은, “관련 연구기관과 함께 향후 블루카본에 대한 국가 온실가스 통계 구축, 신규 탄소흡수원으로써 국제적 인증, 해양수산부문 기후변화 적응체계 마련 등 체계적으로 사업을 추진해 나갈 것”이라 밝혔다.해양수산부 소관 연구개발사업이 기후변화대응 10대 기술에 선정된 것은 지난 2015년(심해저 미생물을 이용한 수소 생산 기술 개발), 2016년(CO2 해양지중저장기술개발)에 이어 이번이 세 번째이다. 한편, ‘기후변화대응 대표기술 10선’은 지난 3년(2015~2017)간 부처별로 지원한 국가연구개발사업 중 기후변화대응 3대 분야(탄소저감, 탄소자원화, 기후변화적응)와 관련해 창의성, 우수성, 사회적·경제적 파급력 등을 평가해 선정한 것이다.
편집국
2018-07-23
-
에너지공단, 국내 CDM 심사원 기술교육 실시
배종인 기자
2018-07-23
-
KCC, 국내 최대 규모 도시형 태양광발전소 준공
편집국
2018-07-20
-
LG화학, 1~5월 전세계 전기차용 배터리 출하량 2위
신근순 기자
2018-07-20
-
LG전자, 獨에 가정용 ESS 출시…유럽 공략 가속
편집국
2018-07-17
-
상반기 ESS 1.8GWh 보급…전년比 20배↑
국내 에너지저장장치(ESS) 보급량이 정부의 재생에너지 확대 정책에 힘입어 급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통상자원부(장관 백운규)는 올 상반기 ESS 보급량이 전년동기대비 20배 늘어난 1.8GWh를 기록했다고 17일 밝혔다. 이는 지난 6년간의 총 보급량(1.1GWh)을 훨씬 상회하는 수준이다. ESS 1MWh 설치비가 약 5억4천만원임을 감안하면 시장규모가 1조원에 육박할 정도로 규모가 크다. 이러한 시장확대는 재생에너지 확산과 함께 ESS가 재생에너지 출력 변동성을 흡수하는 유연성 설비로 주목받은데 있다. 국내 재생에너지 보급은 17년 상반기 781MW에서 18년 상반기 1,650MW로 급증했다. 용도별로는 재생에너지연계용으로 전년동기(42MWh) 대비 16배 증가한 683MWh가 구축된 것으로 조사됐다. 이러한 급격한 증가는 신재생에너지공급인증서(REC) 가중치 부여(태양광 5.0, 풍력 4.5) 등 성과급 제도와 재생에너지가 확산의 영향이 크다. 피크저감용의 경우 2020년 일몰예정인 요금특례제 혜택 극대화를 위한 쏠림 현상의 영향으로 올 상반기에 전년동기(5MWh)대비 226배 증가한 1,129MWh가 구축된 것으로 파악됐다. 산업부는 ESS 보급 확대와 함께 산업 자생력 및 경쟁력 제고에 중점을 두고 정책을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이를 위해 ESS를 태양광발전과 수요관리사업 등 2가지 이상 용도로 활용하여 경제성을 개선하는 복합용도 ESS 비즈니스 모델 실증을 올해 하반기 중에 착수할 예정이다. 또한 연말까지 공동주택 최초 ESS 구축사례를 창출하고, 향후 신개념 모델 개발·실증을 통해 가정용 ESS 보급을 촉진할 계획이다. 이밖에도 기존대비 30%이상 저렴한 폐배터리의 재활용 촉진을 위해 ‘전기차·ESS 폐배터리 재활용 센터’ 건설을 위한 차년도 신규예산 확보를 추진 중이다. 산업부 관계자는 “ESS 확산 및 경쟁력 강화를 통해 에너지전환, 재생에너지 3020의 차질없는 이행과 ESS 관련 기업의 수출 확대 및 투자로 이어지는 선순환 구조를 구축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신근순 기자
2018-07-17
-
KCC, 부산 태양광발전사업 착수
편집국
2018-07-13
-
화학(연),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효율 20.9% 달성
편집국
2018-07-10
-
한전, 인도 에너지 신사업 진출
한전이 인도의 에너지저장장치(ESS), 스마트그리드(SG), 전기차(EV) 충전사업 등 에너지 신사업 분야에 진출한다. 한국전력(대표이사 사장 김종갑)이 10일 ‘한·인도 비즈니스 포럼’ 참석차 방문한 인도에서 인도 송전망공사 PGCIL(Power Grid Corporation of India Limited)와 ‘에너지 신사업 기술협력 MOC’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최근 인도 모디 정부는 전력 인프라 확충이라는 국정 목표를 세워서, 향후 인도 내 대규모 전력망 건설 및 스마트그리드 사업 확대가 예상된다. 양사는 ESS, SG, EV 충전사업 등 에너지 신사업 분야 상호 협력 체제를 구축하여 성장 가능성이 높은 인도의 에너지 신사업 시장에 공동 진출하기로 했다. 또한 25%가 넘는 인도의 송배전 손실을 줄이기 위해 한전의 선진 원격검침 기술을 활용해 전력손실 감소 프로젝트도 추진한다. 한편, 인도정부 관계자와 국내 기업 간 사업개발 협력을 위해 아시아개발은행(ADB)이 주관하는 비즈니스 상담회에서 한전은 인도 동부해안 3개 주정부 관계자들을 만나 한전의 세계적인 전력기술을 홍보하여 추후 이들 주정부와 에너지 신사업을 공동 개발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했다.
편집국
2018-07-10
-
에기평 원장, 석탄발전 환경설비 현장방문
배종인 기자
2018-07-04
-
화력발전 상한제약 10월 시범운영, 내년 본격시행
배종인 기자
2018-06-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