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4Q 반도체 설비투자액, 전년比 31%↑ 예상
김민석 기자
2024-11-20
-
10월 반도체 수출 전년比 40%↑
김민석 기자
2024-11-15
-
SEMI, 3Q 세계 실리콘 웨이퍼 출하량 6%↑
김민석 기자
2024-11-14
-
천안시-삼성전자, 반도체 패키징 공정 설비 증설 협약
김민석 기자
2024-11-13
-
기계연, TMDc·그래핀 이종구조 반도체 제작 성공
김민석 기자
2024-11-07
-
산업부, AI 활용 산업·에너지 기술개발 수요조사 실시
김민석 기자
2024-11-06
-
가천대-충북대 연구팀, 탈모치료 QD-OLED 패치 개발
김민석 기자
2024-11-05
-
SK하이닉스, 세계 최대 용량 48GB 16단 HBM3E 첫 공개
신근순 기자
2024-11-04
-
UNIST, 150억 규모 ‘반도체 특성화대학 지원사업’ 선정
UNIST가 반도체 실무형 전문 인재 양성에 본격 나선다.UNIST(총장 박종래)가 교육부 '2024년 반도체 특성화대학 지원사업'에 선정, 4년간 사업비 150억 원(국비 140억 원, 지방비 10억 원)을 확보했다고 지난 21일 밝혔다.'반도체특성화대학 지원사업'은 2023년에 시작된 사업으로, 산업 수요에 맞는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반도체 인력 양성 체계와 실습 시설 구축 등을 지원한다. 사업은 수도권과 비수도권, 단독형과 동반성장형으로 나눠 운영된다. UNIST는 비수도권 단독형 재공모에서 최종 선정됐다.UNIST는 2021년 반도체 소재·부품 대학원을 개설하고, 2023년에는 산업통상자원부의 '반도체 특성화대학원 지원사업'에 선정돼 매년 65명의 석·박사 인재를 배출하고 있다.소재, 소자, 공정, 패키징 분야에서 UNIST는 4년간 220명의 실무형 전문 인재를 양성할 계획이다. 신소재공학과 등 5개 학과가 참여해 '반도체 특성화 융합전공'을 신설하고, 집중형 강의와 실무 중심 프로젝트, 산업체 실습 등 산학 연계형 교육과정을 운영한다.국비 지원은 인건비, 연구시설·장비 구축, 교육과정 개발 등에 사용된다. 울산시도 2025년부터 3년간 총 10억원을 지원해 반도체 인재 양성에 힘을 보탤 예정이다.UNIST는 R&D 현장에 즉시 투입 가능한 전문 인력을 양성할 방침이다. 학생들이 주도적으로 반도체 산업의 핵심기술을 연구하며 이해도를 높이고, 기업과 긴밀히 협력해 실무형 인재로 성장할 수 있도록 체계적인 교육을 받는다.사업 책임자인 김수현 UNIST 신소재공학과 교수는 "반도체 산업의 미래를 이끌 실무형 인재를 체계적으로 양성하겠다"며 "글로벌 경쟁에서 앞서갈 수 있도록 혁신적인 교육과 연구에 더욱 집중하겠다"고 밝혔다.울산시 관계자는 "반도체 산업의 급성장으로 전문 인력 수요가 늘어나고 있다"며 "UNIST와 긴밀히 협력해 기업이 필요로 하는 양질의 실무 인재를 양성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반도체는 일상생활부터 첨단 산업까지 필수적인 핵심기술로, 전문 인력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UNIST의 이번 선정은 지역과 국가의 반도체 경쟁력을 높이는 데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고은희 수습기자
2024-10-30
-
KTC, ‘강원형 반도체 생태계’ 조성 협력
신근순 기자
2024-10-30
-
UNIST 이규호 교수팀, 반도체설계대전 국무총리상 수상
신근순 기자
2024-10-30
-
UNIST, 저전력 M램 데이터 저장 메모리 소자 개발
김민석 기자
2024-10-28
-
산업부-과기부, 차세대 반도체 제조·장비 핵심기술 상용화 논의
김민석 기자
2024-10-28
-
SK하이닉스, 3분기 HBM 매출 전년比 330%↑
김민석 기자
2024-10-25
-
`25년 실리콘 웨이퍼 출하량, 10% 반등 예상
김민석 기자
2024-10-24
- 많이 본 뉴스
-
-
1
“韓 AI 투자 中 1/3 불과, AI 강국 4년 골든 타임”
-
2
2024년 철강 31社 경영실적
-
3
1~3월 전기車 배터리 사용량, 전년比 39%↑
-
4
LG화학, 제철소 CO2 포집 CO·H2 전환 추진
-
5
한화방산 3社, 중남미 방산 新시장 개척
-
6
탄소산업진흥원, “기관장 업추비 4800만원 사실 아냐, 공시 단위 입력 오류”
-
7
1~3월 글로벌 전기車 인도량, 전년比 35%↑
-
8
제이앤티씨, TGV 유리기판 신사업 본격 추진
-
9
화학연, 수중 로봇용 인공 근육 개발
-
10
국토부, ’28년 상용화 수소열차 실증 착수